서울 버스 N61

 


[image]
[image]
삼화상운 소속 차량.
관악교통 소속 차량.[1]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수요
4.2. N61번 출발시간표
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2]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
종점[3]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주공7단지)
종점

첫차
23:40
기점

첫차
23:40
막차
04:10
막차
04:10
배차간격
15~30분 (1일 12회)
운수사명
관악교통 / 삼화상운
인가대수
12대[4]
노선
양천공영차고지 - 신정동현대아파트 - 개봉역 - 철산리버빌아파트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단지오거리 - 가산초등학교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 경남·임광아파트 - 방배역 - 서울고등학교 - 서울남부터미널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봉은사역·삼성1파출소 - 청담역·경기고교 - 영동대교 - 노룬산시장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 - 능동사거리·군자역 - 군자교 - 면목119안전센터 - 면목2동주민센터 - 중화역 - 먹골역 - 태릉입구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하계역 - 중계역 - 상계주공1~6단지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등학교 → 노원역 → 상계주공1~6단지 → 이후 역순

2. 개요


관악교통, 삼화상운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8.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4년 11월 16일에 수요 급증에 따른 배차간격 효율을 위해 차량 2대를 증차하여 8대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6년 11월 28일에 163번과 643번 출신 차량이 증차분으로 투입되어 10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배차간격이 50분까지 벌어지는 시간대를 없애기 위해 2017년 8월 28일부터 모든 시간대에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간표가 조정되면서 양 방향 공통으로 첫차는 23시 50분에서 40분으로, 막차는 3시 50분에서 4시 10분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 2018년 10월 8일부터 2대가 증차되어 12대로 운행한다. 다만 배차간격이 모든 시간대에 걸쳐서 조금씩 감소되는 방식이 아닌, 15분 간격으로 출발하는 시간대를 몇 군데 만드는 방식으로 시간표가 조정됐다.관련 공문
  • 구로고가차도가 철거됨에 따라 2019년 4월 10일부터 상계7단지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 가산파출소,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양천공영차고지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관련 공문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 현존하는 심야버스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 이 노선은 남부순환로를 가로지르는 노선이며, 이 노선의 제일 큰 특징은 남부순환로을 노선 길이의 절반 이상 경유한다는 점이다. 또한 남부순환로의 전체 길이도 절반 이상 경유한다.
  • 146번643번을 합친 노선이다. 다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643번의 정금마을~고속터미널~사평역 경유 구간을 방배역~남부터미널~교대역 경유로 바꿨고, 146번의 신논현역 회차구간 미경유 및 상계7단지에서 출발시 수락산역 - 마들역 구간을 경유하지 않는다. 이 점에 있어서 상계동 - 중화동 구간은 실상 105번과 비슷하다. 군자지하차도 - 성수4거리 구간은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역으로 우회하는 형태이다.
  • 하지만 심야 노선이 없다시피했던 643번 코스 대부분과, 예전에 있었던 심야버스 운행이 없어져서 분통을 자아냈던 146번 코스에 확실한 심야노선이 생겼다는 메리트가 워낙 커서 저 정도 차이는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5] 하지만 강남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버스로 심야에 도착하면, 택시를 타야된다.
  • 시외구간(광명시)이 존재하는 노선이다.[6] 다만 길지는 않고 광명시 주요 시가지와 거리가 있는 철산리버빌아파트단지를 지날 뿐이다. 삼화상운 입장에선 구 30번과 30-2번 이후 거의 10년 만에 다시 광명 땅을 밟게 된다.
  • 관악교통에겐 처음이자, 유일하게 한강 이북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이 노선 이전에는 한강을 건너는 노선이 없었다. 한강 끝자락인 영동대교 근처인 삼성동 부근에서 회차한 적은 있어도, 넘어가는 노선은 없었기 때문.
  • 사당역에서 N15번과 7770번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단, 7770번은 평일만 해당.
  • 서울남부터미널을 경유하는 유일한 심야버스 노선이다.[7]
  • 동일로 구간과 테헤란로 구간에서 N13번과 구간을 공유한다. 다만, 테헤란로 구간에서는 N13번과 기.종점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정류장 노선도를 확인하고 탑승해야한다.[8] 또한 남부순환로에서 N15번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관악우체국부터 남서울농협까지.

4.1. 수요


  • 엄청나게 많으며 수요 때문에 신설 후 무려 3번씩이나 증차된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중에서 가장 악명높은 구간인 신림-강남 구간과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강북구간(노원~건대입구 구간)을 지나니 당연히 수요가 폭증할 수 밖에 없다. 정말 궁금하다면, 막차가 끊긴 시간대인 1~2시 쯤에 종점 지역에서 한 번 완주를 해보자. 앉아가는 것이 정말 얼마나 큰 행복인지 깨닫게 된다.
  • 다른 심야버스와 다르게 한 번 타면 물갈이 수요가 아닌 장거리 위주 승객들이 많다. 특히 양천 방향 노선의 경우, 건대입구역부터 신림역까지 하차하는 승객이 거의 없고 꾸역꾸역 탑승객만 계속 밀려들어온다.
강북 구간은 더 하다. 참고로 이 노선은 상하행 상관 없이 남부순환로양천공영차고지를 빠져나온 직후인 신정아파트.서부트럭터미널 정류장부터 방배동 경남아파트 사거리(경남임광아파트 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이 거리가 자그마치 16km이다. 당연히 표정 속도도 거의 노들로 다니던 리즈시절 버스들[9]을 생각나게 할 만큼 꽤 빠른 편이다.[10]
어느 정도냐면, 양천공영차고지에서 사당역까지 30분이 걸린다. 평일 기준으론 사당역에서 7770번도 연계가 가능하고, 강남역까지 거쳐가니, 택시 기사들에겐 이만한 주적이 없다.
  • 따라서, 단돈 2,150원으로 서울 서쪽 끝인 양천구[11]→서남부→강남→성동→7호선 구간의 서울시계 북부 지역 근처까지 가기 때문에 이만한 심야 서울 일주 노선은 없는 셈이다. 때문에 이 노선을 이용해서 시내버스 여행을 연천역에서 시작할 수 있게 만든 노선이기도 하다.
  • 현존하는 심야버스 노선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긴 노선이다.[12] 결국 2014년 11월 16일부터 차량 2대를 추가 투입해 총 8대로 운행하고 배차간격도 30분대까지 줄였다.[13] 이후 2016년 11월말에 2대가 증차되었다.
  • 하지만 증차를 해도 승객이 도저히 감당이 안 되는 모양. 많은 승객으로 인해서 결국 언론까지 탔다. 해당 기사 증차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기사에 언급된 시점 보다 늦어졌지만 2018년 10월 8일부터 2대가 더 증차되었다. 이제는 배차간격이 최소 15분까지 줄어든다.

4.2. N61번 출발시간표


양천공영차고지 / 상계7단지 출발
23:40
00:10
00:25
00:40
01:10
01:40
02:10
02:40
02:55
03:10
03:40
04:10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1번
<color=#ffc600> 연도
<color=#ffc600> 일평균 승차량
<color=#ffc600>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980명
-
2014년
1,163명
△ 183
2015년
1,488명
△ 325
2016년
1,557명
△ 69
2017년
1,911명
△ 354
2018년
2,056명
△ 145
2019년
2,541명
△ 485
2020년
2,146명
▽ 395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서울 심야버스 중에서 수요가 가장 많다. 승객 수가 무려 1141번 버스하고 비슷하다.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1] 사진 속 차량은 전기버스로 대차 후 643번에서 운행 중[2] 관악교통(N61양천) 출발점[3] 삼화상운(N61상계) 출발점[4] 회사별 6대씩 저상버스로만 운행. 관악교통은 643번을, 삼화상운은 146번 예비차를 공동사용한다.[5] 반대로 동일로 구간은 노원교차고지/마들로(수락산역) 구간 미경유, 화양사거리 - 성수사거리 구간을 미경유하기에 해당 구간은 여전히 심야시간대 버스 이용이 불편한 편이다. 그나마 전자는 경기도 광역버스로 대체할 수 있지만, 후자는...[6] N37번도 송파방향 한정으로 고양시의 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에 선다.[7] 이 덕분에 서울남부터미널에 심야 차편으로 도착하면 매우 편리하다.[8] 선릉역을 예로 들면, N13번의 노원구 방향과 N61번의 양천구 방향이 같은 방향이고 N61번의 노원구 방향과 N13번의 송파구 방향이 같은 방향이다.[9] 특히, 노들로를 완주하던 642번.[10] 다만, 전체 구간으로 따지자면, N30번이 부동의 1위.[11] 말이 양천구지, 신정동에서도 가장 서쪽 끝이다!!! 좀만 걸으면 구로구 궁동이고, 걸어서 15~20분 만에 부천시계지역인 춘의동을 작동터널을 통해 넘어갈 수 있다.[12] 이 타이틀은 N30번이 가져간다. 여긴 고정 40분 배차이다.[13] 강남역 기준으로 신림.양천 방향시 643번 막차 끊어지면 본 노선과는 1시간의 공백기가 있엇는데, 야간 대체수단도 없는 구간이다 보니 당연히 탔다하면 가축수송은 물론이요. 한 대 보내면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하기에 극악하기에 증차가 필요한거다. 반대로 강남역에서 노원구 방향은 노원구 한정으로 3100.3600번이 늦게 다니고 146번 막차가 양천 측 첫차보다 10분가량 늦게까지 다닐 정도로 심야 초반의 교통망이 잘 된 지역이라 차원이 완전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