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종합버스터미널

 

[image]
[image]
[image]
1. 개요
2. 구조
3. 노선
3.1.1. 호남권
3.1.2. 영남권
3.2.1. 수도권
3.2.2. 강원권
3.2.3. 충청권
3.2.4. 영남권
3.2.5. 호남권
4. 버스 승차홈
4.2. 시외버스
5. 중간정류소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야탑동 341)에 있는 고속/시외버스 터미널이다. 수도권 전철 분당선야탑역과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는 대형 복합 건물인 "테마폴리스" 안에 실내 터미널 형태로 조성되어 있으며 하차장은 1층, 승차장은 지하 1층에 위치해 있다.
[image]
좌측 건물이 모란역 일대에 있었을 적 터미널. 원래는 모란역 근처, 현 성남시 재개발 홍보관과 메트로칸 빌딩 자리에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통합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나,[1] 2001년에 고속터미널이 현 위치로 먼저 이전하고, 2004년에는 시외버스 터미널도 이전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성남 시민 외에 분당 아랫동네인 용인시 수지구기흥구 일대에서도 이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특히 기흥구 주민의 경우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보정동이나 구성 지역에서는 고민 없이 수지구처럼 여기로 오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는 신갈정류장, 기흥역, 영통입구, 수원터미널 등의 선택지가 있는데 이 중에 철도(분당선)와 연계가 되는 곳은 기흥역 빼고는 없기 때문에 교통편을 감안하여 본 터미널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나마도 기흥역은 최근에 조성되기 시작한 중간 정차지이고, 기존에는 처인구에 있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너무 멀다는 사정 때문에 주로 신갈정류장을 이용했던 지역이다. 대부분은 이 신갈정류장이나 영통 쪽 정류장을 이용하는 편이지만, 예를 들어 주말에 좌석편이 남아 있지 않아 여의치 않는 경우 본 터미널을 대안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타 지역에서 이 터미널행 버스 승차권을 살때 분당행으로 달라고 해도 다 알아듣고 성남행 승차권을 준다. 코버스 등의 앱이나 발권 키오스크 등 시스템상에 성남(분당)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실제 행선지에 성남(분당)으로 붙어 있는 버스들도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애초에 터미널 소재지가 분당구이다.

2. 구조


터미널은 복합 쇼핑몰인 테마폴리스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대로 하차장은 1층에 있고[2] 매표소와 승차장이 지하 1층에 있는 구조이다.
분당선 야탑역을 바로 잇는 연계 통로도 애초에 테마폴리스 건물 완공 때부터 만들어져 있었으나, 소유권 분쟁 때문에 2010년이 되어서야 일반에 개방되었다.관련 기사 지하 2층에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전에는 야탑역에서 이 곳을 오가려면 야탑역에서 지상으로 빠져나와 횡단보도를 건너야 했다.
한 때 이 연계 통로 양쪽으로 점포 자리가 만들어져 있으며 유리벽과 문, 몇몇 점포가 있었다. 그러나 시에서 허가 받지 않고 무단으로 점포를 지은 불법 건축물이었으며, 철거 통보를 받고 지금은 모두 철거되었다. 그 자리를 밟고 지나가지 말라고 띠가 둘러져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제거된 상태다.
신도시에 위치하여 상당히 빨리 터미널 건물이 현대식으로 증축된 곳임에도 불구하고 소유권 분쟁으로 시끄러운 일이 많았으며, 초반에는 복합쇼핑몰에 까르푸(현 홈플러스)를 제외하면 입주 업체들도 없어서 쇼핑몰의 상당수 공간이 빈 채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 문제는 여러 해가 지나도 해결되지 않아, 2008년에도 전기와 가스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관련 기사
2015년 4월 건물 유지비 등의 체납 문제로 터미널내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다. 이 때문에 정상적인 발권 업무이 불가하므로 모든 창구가 폐쇄됐다. 임시 방편으로 무인 발권기를 이용하거나, 임시로 마련된 창구에서 티켓팅을 할 수 있으나 현금 결제는 불가하고 신용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성남터미널은 경매에 넘겨진 상태며, 정상화까지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015년 7월 말부터 터미널이 정상화되어 창구에서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하다. 예매는 그 동안 발권했던 버스연합회가 아닌 터미널협회에서 예매해야 한다. 2016년 6월 8일부터는 예매가 티머니 시외버스 예매 홈페이지로 변경된다. 고속버스 측은 중간에 터미널 사업자가 바뀐 듯하다. 고속버스 승차권 좌측 하단 기준으로 지엠코리아 or 지엠지 → 엔에스피
지금은 잘 운영 중이며, 홈플러스CGV 야탑점을 찾는 고객이 꾸준하고, 그 외에 결혼식 등을 할 수 있는 연회장이 생겨 현상 유지는 잘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주말에는 홈플러스나 연회장 등을 찾는 사람들이 몰려 주변 도로에 다소 불편을 주기도 한다.
기존까지는 아무것도 없었던 건물 1층 외부 측에 유동인구가 많은 야탑역 방향으로 ABC마트, 할리스커피 등이 입점하여 2016년부터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9년 들어 스타벅스써브웨이 등의 브랜드들이 추가 입점하여 예전보다 매우 활발한 분위기가 되었다. 그전부터 상업 시설을 유치하려고 몇 차례 특정 커피 브랜드 현수막이 붙기도 하는 등 움직임이 있는 자리였다.

3. 노선


40분 거리에 있는 동서울의 하위호환 버전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노선이 꽤 많은 편이다. 특히 상술한 대로 용인시 기흥, 수지 사는 사람들은 용인터미널보다 이곳을 선호한다.
1군 고속버스 회사로는 금호고속, 중앙고속, 동양고속, 천일고속, 금호속리산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A], 충남고속[A], 대원고속[A]이 성남터미널에 들어온다. 특히 본진이 청주금호속리산고속본진과 거리가 있는 장거리 노선인 대구, 부산, 통영행을 운행 중인지라 성남터미널을 포커스급으로 이용 중이다. 선산, 금산인삼랜드, 정안, 낙동강의성 환승휴게소를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횡성휴게소를 제외하면 이 터미널에서 웬만한 환승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매는 모두 코버스에서 가능하다.
이 터미널로 진출입하는 고속버스들은 궁내동의 경부고속도로 서울TG에서 요금을 한 번 내고 판교JC를 통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한 후, 성남IC로 진출하여 여수네거리를 경유하여 터미널로 들어온다. 그러나 광주원주고속도로의 개통 후 대구, 부산방면 노선들은 3번 국도를 거쳐 경기도 광주시 초월IC로 넘어가서 광주원주고속도로를 타는 경로로 주로 간다. 대구 방향 기준 후자의 방법은 잘 쓰지 않고, 전자의 방법을 주로 쓴다.
중앙고속성남시 면허(차적)이긴 하지만, 진주행과 창원(마산 경유)행, 광주행만 성남터미널에서 운행한다. 이 터미널에 들어오는 고속버스 회사는 금호고속, 금호속리산고속, 동양고속이 대부분 보인다.
2017년 6월 30일부터 성남 ↔ 광주 노선에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운행된다.[3] 서울 외 지역만을 운행하는 노선으로는 인천광주, 인천국제공항(인천종합경유) ↔ 김해 노선과 함께 처음이다.
단점이 있다면, 상당수가 차급이나 배차간격[4]동서울/강남발보다 나쁘다는 게 단점. 예를 들어 강남/동서울-안동은 FX212 신차가 들어오고 30분 간격[5]으로 운행 중이지만 성남-안동영주를 거쳐 가는데다 차량도 구형 크루져1이 다닌다. 경주/포항행도 동서울에선 40분 간격으로 다니지만 성남에선 하루4회이다. 차급이나 배차간격도 동서울보다 떨어진다.

3.1. 고속버스


  • 정안알밤휴게소, 선산휴게소, 낙동강의성휴게소 등의 휴게소까지 발권 불가 및 프리패스 사용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참고]

3.1.1. 호남권


'''호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정안알밤휴게소
광주
'''
일 20회
금호고속
중앙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광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정안알밤휴게소'''
1:10
₩ 7,200
₩ 10,400(우등)
'''비아동'''
'''광주''' 발권 후 하차
'''광주(유스퀘어)'''
3:15
₩ 18,600
₩ 27,500(우등)
₩ 30,300(프리미엄(월~목))
₩ 35,7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30,2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
06:30, 07:20, 08:10, 09:00, 09:50, 10:40, 11:30, 12:20, 13:10, 14:00, 14:40, 15:20, 16:00, 16:50, 17:40, 18:30, 19:20, 20:10, 21:00, (심야)22:00
고속버스 성남-광주 참조.
06:30 ~ 20:10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정안알밤휴게소
전주
'''
일 19회
금호고속
천일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정안알밤휴게소'''
1:10
₩ 7,200
₩ 10,400(우등)
'''호남제일문'''
'''전주''' 발권 후 하차
'''전주(고속)'''
2:30
₩ 13,400
₩ 19,600(우등)
₩ 21,5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
06:00, 07:00, 08:00, 09:00, 10:00, 10:40, 11:30, 12:20, 13:10, 14:00, 14:40, 15:30, 16:20, 17:10, 18:00, 18:40, 19:30, 21:00, (심야)22:30
고속버스 성남-전주 참조.
07:00 ~ 19:30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3.1.2. 영남권


'''영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낙동강의성휴게소
부산
'''
일 11회
금호고속
금호속리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부산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낙동강의성휴게소'''
2:00
₩ 19,800(우등)
'''부산(노포동)'''
4:15
₩ 35,600(우등)
₩ 39,1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월~목)'''
07:20, 09:30, 11:30, 13:30, 15:00, 17:00, 18:40, (심야)22:00
'''운행시각표(금~일)'''
06:30, 08:20, 10:00, 11:40, 13:30, 14:30, 15:10, 16:50, 18:40, (심야)22:00
고속버스 성남-부산 참조.
06:30 ~ 18:40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를 경유한다.
막차 한정으로, 두실역에서 중간 하차가 가능하다.
금호고속 차량이 '''여기'''에 주박하지 않으며, 반대로 금호속리산고속 차량도 부산에 주박하지 않는다.
(KOBUS 통해 확인)

'''선산휴게소
서부산
'''
일 2회
금호고속
금호속리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서부산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13,800
₩ 20,200(우등)
'''서부산(사상)'''
4:15
₩ 24,400
₩ 36,300(우등)
'''운행시각표'''
09:05, 17:20
고속버스 성남-부산사상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09:05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09:05 = 금호속리산고속 / 17:20 = 금호고속

'''선산휴게소
동대구
'''
일 12회
금호속리산고속
동양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동대구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13,800
₩ 20,200(우등)
'''서대구'''
3:25
₩ 18,100
₩ 26,800(우등)
₩ 29,400(심야우등)
'''동대구'''
'''운행시각표'''
06:40, 08:00, 09:20, 10:40, 12:00, 13:20, 14:40, 15:50, 17:00, 18:00, 20:00, (심야)22:00
고속버스 성남-동대구 참조.
06:40 ~ 18:00 시간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09:20 = 금호속리산고속 / 14:40 = 동양고속 고정이다.

'''선산휴게소
진해
'''
일 3회(월~목)
일 4회(금~일)
동양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진해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20,200(우등)
'''마산(고속)'''
3:50
₩ 32,500(우등)
₩ 35,700(심야우등)
'''진해'''
4:20
₩ 33,700(우등)
₩ 37,0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
07:30, 15:00, 18:30, (심야)22:00(금~일)
고속버스 성남-진해 참조.
07:30 ~ 18:30 시간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 7월 29일부터 마산행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내서를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서로 가고 싶은 승객은 선산휴게소에서 환승해야 한다. 단, 의 기간(당일 전 날부터) 경우, 마산 발권 후, 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막차 끊기면 택시로 이용해야기 때문에

'''선산휴게소
창원
'''
일 5회
동양고속
중앙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창원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13,800
₩ 20,200(우등)
'''마산(고속)'''
3:50
₩ 21,900
₩ 32,500(우등)
'''창원'''
3:50
₩ 22,100
₩ 32,800(우등)
'''운행시각표'''
09:00, 11:00, 13:00, 16:30, 20:00
고속버스 성남-창원 참조.
09:00 ~ 16:30 시간대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금산인삼랜드휴게소
진주
'''
일 5회
동양고속
중앙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
1:45
₩ 11,100
₩ 16,600(우등)
'''개양'''
3:25
₩ 20,700
₩ 30,700(우등)
'''진주(고속)'''
3:40
'''운행시각표'''
10:00, 13:00, 15:30
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를 경유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성남발 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
1:45
₩ 16,600(우등)
'''진주혁신도시'''
3:25
₩ 30,700(우등)
'''진주(고속)'''
3:40
'''운행시각표'''
07:30, 18:30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를 경유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금산인삼랜드휴게소
통영
'''
일 2회
고려여객
금호속리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통영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
1:45
₩ 16,600(우등)
'''통영'''
3:55
₩ 34,600(우등)
'''운행시각표'''
09:30, 17:30
고속버스 성남-통영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를 경유한다.
09:30 = 금호속리산고속 / 17:30 = 고려여객(프리패스 사용 불가)
고려여객 차량도 티머니 E-Pass를 지원한다.


3.2. 시외버스



3.2.1. 수도권


[image]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요금
비고
고양
무정차
대원고속
1일 3회
4,900원
-
송탄
오산, 국제대학교
경기고속
40~80분
2,500원
8416번
평택
용이동, 평택대학교
경기고속
30~60분
4,400원
8321
시화
군포, 대야미, 상록수역, 한양대, 안산, 안산역
선진고속
30~40분
4,900원
8467번
안성
공도, 대림동산,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한경대학교, 안성시민회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경기고속
1일 5회
6,100원
8435번
이천
사음 2동, 도예촌
대원고속
1일 1회
4,900원
8417번 [6]
인천
모란역
대원고속
20~25분
3,700원
8806번
부평
모란역,부천
선진고속
30~40분
3,000원
8414번

3.2.2. 강원권


  •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요금
비고
춘천
가천대학교
강원고속대원고속
60~90분
7,100원
10,500원(우등)
9회 시외우등
원주
이천, 문막
경기고속대원고속
30~70분[7]
8,100원
-
강릉
무정차/장평, 진부, 횡계
경기고속
1일 15회[8]
15,100원/19,200원
-
속초
원통
금강고속
1일 9회
17,600원/21,000원
-
삼척
동해
경기고속강원흥업
1일 6회
24,100원
시외우등
정선[9]
문막, 원주, 쌍룡, 연당, 영월, 문곡, 미탄
경기고속
1일 1회
22,300원
-
태백
고한/원주, 신림, 주천, 영월, 석항, 녹전
경기고속화성고속
1일 7회[10]
20,300원/26,400원
시외우등
영월
문막, 원주, 신림, 황둔, 주천
경기고속
1일 4회
17,400원
-
홍천
양평
금강고속
1일 9회
11,500원
-
와수리
장지역. 가락시장역, 잠실역, 장현, 포천, 양문, 운천, 신철원
경기고속
1일 4회
11,000원
3007번

3.2.3. 충청권


[image]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요금
비고
대전
무정차
중부고속금남고속
40분
10,000원
-
청주
무정차
삼흥고속새서울고속
30~40분
7,800원
-
태안
기지시, 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 어송리
한양고속충남고속
1일 4회
11,000원
-
안면도
기지시, 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 태안, 남면, 창기리
한양고속충남고속
1일 4회
14,700원
-
천안
무정차
금남고속한양고속충남고속대원고속[11]
30~40분
5,200원
-
아산
천안, 봉강교(서부휴게소)
한양고속충남고속금남고속대원고속[12]
30~60분
7,200원
-
보령
고덕, 내포(충남도청), 홍성, 광천
충남고속, 한양고속
1일 4회
11,600원
-
논산
천안, 광정, 석송, 모란, 공주, 계룡, 화마루, 상월, 노성
금남고속
1일 2회
14,700원
-
예산
천안, 봉강교(서부휴게소), 아산, 신창, 신례원
충남고속
1일 1회
10,100원
-
유성
정부대전청사(둔산동)
금남고속중부고속
30~40분
10,000원
-
부여
천안, 공주
금남고속
1일 2회
12,900원
-
제천
무정차
대원고속
1일 7회
9,900원
-
단양
문막, 원주
경기고속
1일 2회
17,400원
-
진천
백암, 죽산, 두원공대, 광혜원, 이월
경일여객
1일 4회
8,900원
-
음성
광주(경기도), 대소
대원고속
1일 3회
10,600원
-
충주
일죽, 생극, 용원, 주덕
경기고속
1일 1회
10,700원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일죽, 생극, 용원, 주덕, 충주
경기고속
1일 2회
10,700원
-
수안보
일죽, 생극, 용원, 주덕, 충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경기고속
1일 4회
12,800원
-

3.2.4. 영남권


  •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비고
안동
풍기, 영주
코리아와이드 경북경기고속
1일 6회
시외우등
김해[13]
구미
코리아와이드 경북
1일 4회
-
상주
문경, 점촌
대원고속
1일 5회
-
예천
문경, 점촌, 용궁
경기고속
1일 1회
-
포항
경주
아성고속천마고속대원고속
1일 4회
-
울산
무정차
아성고속천마고속경기고속
1일 4회
시외우등
해운대
좌천
대원고속
1일 2회
경산시, 청도군, 밀양시 등과 같이 철도 강세 지역이다 보니 노선이나 횟수는 많이 빈약하다. 분당선 타고 수원역 가서 경부선을 이용하던가 아니면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면 된다.

3.2.5. 호남권


  •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비고
목포
영광, 무안
금호고속대한고속
1일 3회[14]
-
해남
영광, 무안, 목포
금호고속
1일 1회
-
정읍
무정차
경기고속
1일 3회
시외우등
여수
순천
금호고속경기고속전북고속
1일 8회
-
동광양
수원, 광양
대원고속
1일 3회
시외우등
부안
익산, 김제
금남고속
1일 2회
-
군산
무정차
경기고속금남고속충남고속
1일 7회
-
강진
나주, 영암
금호고속[15]
1일 2회
시외우등
중고생할인 적용

4. 버스 승차홈



4.1. 고속버스


  • 1번: 진주, 통영
  • 2번: 마산, 창원
  • 3번: 부산, 부산사상[부산내에선], 해운대[16]
  • 4번: 대구
  • 5번: 전주
  • 6번: 광주

4.2. 시외버스


  • 7번: 장지역, 잠실, 의정부, 덕계, 동두천, 소요산, 전곡, 연천, 운천, 신철원, 와수리
  • 8번: 송탄, 평택, 평택대, 안성, 중앙대, 동아방송예술대, 오산
  • 9번: 죽산, 광혜원, 두원대, 이월, 진천, 청주
  • 10번: 일죽, 생극, 주덕, 충주, 수안보, 건국대, 제천, 대소, 음성
  • 11번: 양평, 홍천, 원통, 속초, 춘천
  • 12번: 원주, 신림, 주천, 영월, 신고한, 상동, 태백, 단양, 정선, 장평, 진부, 횡계, 강릉, 동해, 삼척
  • 13번: 이천, 문막, 고양(화정)
  • 14번: 대전, 유성, 대전청사, 세종, 세종청사
  • 15번: 천안, 광천, 태안, 논산, 서대전, 아산, 보령, 안면도, 강경, 부여, 예산, 당진, 합덕, 서천, 광천, 홍성, 내포, 구룡동, 운산, 서산, 장항, 공주
  • 16번: 익산, 광양, 목포, 김제, 군산, 삼호, 부안, 영광, 해남, 정읍, 무안, 순천, 여수, 나주, 영암, 강진
  • 17번: 문경, 점촌, 상주, 용궁, 예천, 구미, 경주, 포항, 울산, 영주, 안동, 김해
  • 18번: 군포, 상록수, 예술인아파트, 중앙동, 안산시청, 안산역, 시화공단
  • 19번: 예비홈
  • 20번: 인천(관교동), 부평역, 부천

5. 중간정류소



[1] 1990년대 당시 이미 모란시외터미널은 포화 상태였던 데다가 낡을 대로 낡았었는데, 소유권 분쟁으로민해 제때 이전하지 못해서 주차장에 승강장을 만들어 두는 등 눈물이 앞을 가리는 기괴한 운영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몇 안되는 승강장으로 상당히 많은 버스가 오갔다.[2] 종착한 차량은 나선형의 통로를 통해 지하 승차장으로 들어간다. 층이 다르지만, 복층으로 승차장이 있는 동대구터미널에도 나선형 통로가 있다.[A] A B C 시외버스 노선으로 들어온다.[3] 불행하게도 성남 ↔ 광주 노선은 프리미엄 고속버스의 첫 사상사고를 낸 노선 1호로 기록됐다. 금호고속이 2018년 10월 23일 광주에서 성남으로 올라가던 도중 논산천안고속도로에서 사고를 냈기 때문이다.[4] 물론 성남시 인구와 용인시 수지구 인구가 서울 동부의 인구보다는 당연히 적으니…[5] 서울경부는 1시간 간격[참고] 프리미엄, (당일 전 날부터), 임시 시간대)[6] 성남터미널 수도권 노선중에 유일하게 시외버스모바일애매가 불가능한 노선으로 매표소가서 현장 발권을 하거나 교통카드로 승차한다.[7] 이천 경유 3회 경유했지만 현재는 코로나 여파로 이천 경유를 하지 않는다.[8] 무정차 13회, 장평/진부/횡계 경유 2회[9] 부천 출발이다.[10] 고한 경유 6회, 완행 1회[11] 유구행으로 1일 2회 운행. 12:39/18:16 출발[12] 유구행이며 1일 2회로 12:39/18:16 출발[13] 원래 직통 과 구미경유 가 있었는데 직통노선 돌리시던 분께서 김천 경유로 노선변경을 하려고 했는데 무기한 보류하셨다는듯 하다.[14] 무안 경유 1회[15]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이므로 티머니 E-Pass 미장착 차량 투입 시 수동으로 검표한다.[부산내에선] 부산서부터미널 혹은 부산서부정류장으로 부르기도 하다.[16] 참고로 고속버스는 아닌데 부산지역이 없다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