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역

 


이 역과 판교역 사이에 성남역이 공사 중이다.
'''이매역'''
[image]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이매역'''
(성남아트센터)
'''이매역'''
<width=120px><bgcolor=#ffffff,#191919>
판교 방면 판 교
← 1.5 ㎞ ||<width=120px><bgcolor=#005bac> [[수도권 전철 경강선|{{{#!html<div style="font-size:13px"><font color="#FFFFFF">경강선<br>(K411)</font>
]]
}}}}}}

'''다국어 표기'''
영어
Imae
한자
二梅
중국어
일본어
二梅(イメ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지하 738 (이매동)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수서역 관리/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분당선

경강선
'''개업일'''
분당선
2004년 1월 16일
분당선
경강선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수인·분당선)
지하 4층 (경강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수인·분당선, 경강선)
'''열차거리표'''
'''분당선'''
이 매
'''경강선'''
이 매
二梅驛 / Imae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2.1. 이용 팁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사건·사고
6. 승강장


1. 개요


[image]
이매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27번[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지하 738 (이매동) 소재.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1번.[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지하 738 (이매동) 소재.
운영사는 두 곳 모두 한국철도공사이다.

2. 역 정보


분당선 초기 개통 당시 야탑역과 서현역 간 거리는 '''3.1㎞'''로 성남 시내 분당선 구간 중에서 제일 멀었다. 그래서 1994년 신도시 형성 당시부터 이매동 주민들이 중간역을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였다. 서현역대한민국 철도청 등지에서 시위를 벌이는 노력 끝에 이매역 설치가 확정되었다.[3]
원래 1999년에 개통하려 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2004년에야 개통되었다. 첫 삽은 2000년 3월쯤에서야 떴다. 대한민국 지하철 지하구간 중 영업중인 역과 영업중인 역 사이의 터널 한복판에 역을 신설한 최초 사례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이 그 뒤를 이었다.
2차 개통 구간이 개통된 이후에 지어졌기 때문에, 승강장 디자인은 1차 개통구간과 달리 2차 개통 구간과 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역의 시설물을 설치할 때 착오가 있었는지, 역명판이나 표지판에 2004년 당시 코레일의 CI폰트인 코레일체가 아닌 울릉도체가 적용되어 있어서 여타 2차 개통 구간의 역과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이용승객에 비하면 대합실 규모가 매우 큰 데 이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과 환승이 되기 때문이다.
이 역의 1, 2, 9번 출구는 기존의 지하보도를 리모델링 하여 대합실과 연결한 것으로, 방아로 인근 자연마을에서 이매초등학교 등으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이 지하보도는 이매역 건설을 염두에 두고 지어진 것이 아니라서 맞이방과 거리가 좀 있는 편이다. 그래서 3~8번 출구와는 거의 한 블럭(약 300m) 정도 떨어져 있다.
분당선 승강장은 2016년 9월 스크린도어 설치를 시작해 2017년 3월 가동중이다. 경강선 측은 개통 당시부터 설치되어 있었다.
2018년 12월 17일부터 12월 30일까지 분당선 게이트 재배치 공사를 진행한다. 이 덕에 기존에 횡단이 불가능하던 분당선 승강장이 양방향 횡단이 가능해졌으나, 역사 대합실 내부 횡단은 불가능해졌다.
야탑역에서 이 역으로 오는 도중에 터널이 갈라지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분당선경강선 간의 연결선이다. 경강선 차량을 반입하거나, 중검수를 하기 위해 차량을 이동시킬 때 이용된다.
[image]
위 사진과 같이 분당선과 경강선 승강장이 각각 지하 2층과 지하 3층에 위치하게 되며 T자형 환승구조다. 「<우수건설현장>성남-여주 복선전철 건설사업 현장」, 2012-11-05, 한국건설신문
참고로 최초이자 유일하게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환승역들 중에서 지상 노선이 없는 역이다.[4] 분당선, 경강선 모두 한국철도공사 소속 관할이며 지하에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승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 이 때문에 개통 초기에는 출구로 나온 줄 알고 당황하거나, 환승하는 노선이 민자 구간인줄 알고 신분당선처럼 추가요금이 빠져나가는 줄로 알아 승객들이 태그를 망설이는 바람에 환승게이트 앞이 정체를 빚기도 했다. 그래서 이후 환승게이트에서는 추가요금이 붙지 않는다는 안내문을 붙였다. 여담으로 이매역 환승 게이트의 경우 카드를 찍지 않아도 통과된다. 설치된 이유가 단지 승하차 고객 수 측정용이기 때문.
환승역이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런 건지 분당선 일부 열차에서는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처럼 환승 안내 시 얼씨구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나, 2019년 TTS 안내방송 개정 후에는 송출되고 있다.
분당선 및 경강선 승강장 모두 역명의 유래가 된 "두 그루의 매화나무"와 관련된 벽화가 그려져 있다. 분당선 쪽 벽화는 한자 "이"와 "매"를 큼지막하게 그려넣고 매화그림이 들어갔다면, 경강선 쪽은 글자 없이 매화 그림만 있다. 경강선 쪽이 비교적 최근에 그려져서 그런지 더 세련되고 깔끔하게 그려져있는 편이다.

2.1. 이용 팁


경강선 승강장이 한 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분당선에서 경강선으로 환승할 때는 수원 방면일 경우에는 맨 앞칸에, 청량리 방면일 경우에는 맨 뒷칸에 타는 것이 비교적 거리가 짧다. 특히 배차간격이 20분으로 긴 편인 경강선을 놓치면 시간상 손해가 막심하므로, 도착이 몇 분 안 남은 상황에서는 미리 분당선을 타고 갈 때 열차를 가로질러서 가면 시간 상 이득을 볼 수 있다.
경강선 이용자 기준 화장실이 단하나, 그것도 분당선 1,2번출구쪽인 정반대에 위치해 있어 멀어도 너무 멀다. 볼일은 미리미리 봐두어야 한다.
판교역과 마찬가지로 경강선 열차시간과 맞아서 턱걸이로 열차에 승차하려면 출입문이 열리자마자 무지막지하게 뛰어야 한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아파트와 빌라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3번 출구 쪽은 주택, 빌라 등으로 구성된 자연마을이고, 4~9번 출구 쪽으로는 이매촌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다. 단지 규모가 크지 않고 상업시설이 부족해서인지 성남시 내 다른 분당선 역들에 비해 수요가 적은 편이다. 일평균 승차량은 5000명 정도로, 서현역야탑역 승차량의 4분의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래도 비슷하게 핌피로 인해 만들어져 강남리 마을전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에 비하면 이용객이 많은 편이다. 또한 환승역이 되면서, 땅값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하여 경강선 개통으로 가장 큰 수혜를 얻은 곳이기에 추후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주 이용객은 인근 주민과 학생들이다. 송림중, 돌마고, 태원고, 이매중, 이매초가 인근에 있다. 이 중 송림중·고와 돌마고는 3번 출구에서 도보 5분 정도로 가깝다보니 이매역을 통해 통학하는 학생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주말에는 이매역에서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대형 교회 두 곳이 있어서 교인들이 많이 이용한다. 인근 군부대 장병들도 가끔 보인다.
또한 청솔학원, 메가스터디 등 입시 및 재수학원이 대거 입점해있어 아침/밤 10시로 학기 중에 지하철이 상당히 붐비게 된다. 물론, 이 때 외는 비교적 한산하지만 이매역의 탑승객 수의 상당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때 분당선 한정 부역명이였던 성남아트센터는 1번 출구 쪽에 있다. 하지만 가장 가까운 1번 출구에서도 600m 가량 떨어져 있어서 가깝다고 보기 어렵다. 1번 출구 바로 앞 버스정류장에서 아무 버스나 타서 바로 다음인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정거장에서 내리는 것이 가장 빠르다. 결국 최근에 부역명에서 삭제되었다.
3번 출구 방향 이매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주로 시내버스를 타고 이매역까지 와서 지하철을 탄다. 럭키타운 아파트를 종점으로 하는 시내버스 배차 간격은 짧으면 12분에서 길면 25분 정도. 기존에는 야탑역으로 가는 251번 마을버스서현역으로 가는 71번 마을버스가 번갈아 출발했었으나, 2019년 5월 13일부터는 서현역으로 가는 누리3번 시내버스만 운행하고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이매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광역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7,919명
8,825명
9,233명
9,508명
10,113명
9,943명
9,941명
9,954명
9,752명
10,416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0,357명
10,503명
10,228명
10,140명
10,543명
10,659명
'''7,159명'''
'''수도권 전철 경강선'''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미개통
4,944명
4,211명
4,317명
4,118명
'''2,928명'''
  • 지역 주민의 요구로 뒤늦게 만들어진 역치고는 꽤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경강선 개통 이전에도 하루 평균 1만 명의 수요가 있었으며, 경강선이 뚫린 이후에는 더 늘어서 2019년 기준 14,777명(두 노선 총합)이 타고 내린다.
  • 야탑역과 이 역은 분당선의 수송 분담률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이후의 역인 서현역부터는 서울-분당 사이의 통행에서 광역버스가 우위를 보이며, 각 역의 많은 이용객은 상당수가 구간 수요로 채워져 도시철도 역할의 비중이 더욱 더 높다.
  • 향후 경강선이 서판교를 거쳐 안양, 광명, 시흥, 연수역까지 연장될 경우, 경강선 승하차량이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5. 사건·사고


2016년 하반기까지도 분당선 역들 중 스크린도어가 없는 몇 안되는 역이었다보니 인명사고가 간혹 발생했었다.
2015년 9월 29일 오후 10시 30분경 20대 남성이 선로에 내려와 걷다가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처음에는 여성이 단순 발목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익일 1시경 정정되었다.
2016년 6월 25일 오후 2시경, 90대 노인이 왕십리 방면으로 가는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경찰은 개찰구를 통과해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을 이용하여 직접 선로에 내려간 것이라고 밝혔다.

6. 승강장



6.1.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image]
(스크린도어 설치 전)
야탑
2


1
서현
1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기흥·수원·초지·인천 방면
2
야탑·수서·선릉·왕십리 방면
1년 뒤인 2005년에 개통한 동묘앞역용두역은 개통되자마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지만,[5] 2004년에 개통한 이매역의 스크린도어는 2017년 3월이 되어서야 가동되었다.

6.2. 경강선


[image]
판교
1


2
삼동
1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 방면
2
경기광주·곤지암·이천·여주 방면

[1] 분당선 1단계 구간 12개 역들 중 유일하게 역 번호가 개정된 후 개통했으므로 이 역은 처음부터 K227번이었다.[2] 성남역 개통 후 경강선의 역번호가 하나씩 높아져서 K412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3] 「서현~야탑역 4.3㎞ 6월 완공, 분당 지하철 타구간거리 2배, 지역주민 중간역 설치 요구」, 1994-02-12, 동아일보 기사에서는 일관되게 서현~야탑이 '''4.3㎞'''라고 나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곳곳 부실…「과천선」 재판 우려」, 1994-09-02, 동아일보, 「이매역 설치 요구 시위 분당 매송주민 5백명」, 1995-05-28, 동아일보[4] 인덕원역에 경강선이 개통되면 유일 타이틀은 깨지게 된다. 과천선과 경강선 모두 한국철도공사 소속이기 때문이다.[5] 동묘앞역과 용두역은 가장 먼저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수도권 전철 역에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