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군가)
'''Священная война'''[1]
The Sacred War
성스러운 전쟁
작사: 바실리 레베데프-쿠마치 (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Лебедев-Кумач, 1898-1949)
작곡: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1883-1946)
1941년 소련에서 발표가 된 군가로 독소전쟁 때 발표됐다. 실제로 이곳 저곳 2차대전 소련군 관련해서 많이 쓰이는 음원. '일어나라 거대한 나라여(Встсвай, Страна Огромная)'라는 별칭이 있는데 이것은 첫째 줄의 가사이다. 이런 면에서는 같은 소련 군가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와 비슷하다.[2]
1941년 6월 24일, 그러니까 독소전이 개전 된지 이틀이 지나서, 당시 소련의 신문 이즈베스티야와 붉은 별에 이 시가 발표가 되었다. 이 시를 본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는 이 시를 제재로 하여 바로 곡을 만들었다. 곡을 만들 당시 이걸 인쇄해서 연주자들에게 배포할만한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에 알렉산드로프는 칠판에 분필로 곡을 썼고 가수들과 연주자들은 각자 노트에 그것을 베꼈다고 한다.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연주자들은 리허설에 매진을 하였다. 마침내 6월 26일, 모스크바의 벨라루스 철도역에서 이 곡이 처음으로 공연이 되었다. 이 날 성전은 성공적으로 다섯 번 공연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성전은 한동안 소련 전역으로 퍼지지는 않았다. 희망을 강조해야할 전쟁기에 너무 비극적인 곡조라고 생각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마침내 10월 15일, 독일 국방군이 모스크바 코앞의 도시인 칼루가와 르제프, 칼리닌을 접수하자 성전은 연방 전역의 라디오에서 울려퍼지기 시작하였다.
그때부터 성전은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특히 방어전을 치르는 부대에서 더 인기가 많았다. 참전용사가 이 노래에 대해 회고하는 인터뷰나 글을 읽어보면 성전이 준 충격이 어느정도인지 실감할 수 있다. 벨라루스나 우크라이나의 숲 속에서 독일군에게 쫓기는, 배고프고 손과 발이 얼어가는 파르티잔들이 휴대용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이 곡을 듣고 분기탱천하였다는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곡조부터 적에 대한 분노를 이끌어내고, 비장한 느낌을 주며 가사는 두말할것도 없다. 전쟁 중 이 곡은 공식적으로 두번 녹음이 되었다. 전후 기간에는 자주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불렀고 작곡자 알렉산드로프는 이 곡을 계기로 소련에서 큰 성공을 하였다. 원래 능력이 있는 사람이지만. 그는 소련 국가를 작곡한 사람이기도 하다.
소련 붕괴 이후 모스크바서 열리는 승전 기념 퍼레이드에서 맨 처음 러시아 국기가 들어올때 연주되는 음악도 바로 성전이다.
콘서트나 기타 공연 따위에서 이 곡이 울려퍼지면 관객들이 미리 약속이라도 한 듯 느닷없이 기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독소전의 상징과도 같은 곡에 전쟁을 기리기 위해 일어서는 것이라 의무는 아니다. 주로 전쟁의 영향을 많이 받은 노인들이 먼저 일어나고 젊은이들이 멍때리고 있다가 뒤따라 일어나는 식. 가끔식 눈물을 흘리면서 경청하는 사람도 있다.
2015년 승리의 날 70주년 기념 퍼레이드에서 '성전' 부분만 편집한 영상. 1분 16초부터 보자.
카자흐스탄에서도 쓰였다. 3분 7초부터.
2007년 5월 22일, 알렉산드로프 앙상블(붉은 군대 합창단)이 공연을 한 브뤼셀의 나토 사령부에서 '성전'이 울려퍼졌다. 뭐 가사 자체가 파시스트만 까니까 문제는 없을지도. 또 워낙 유명한 곡인지라 각지에서 번안 되었다. 러시아어도 가사 바리에이션이 많은데 번안 쯤이야. 북한, 중국 등.
영화 컴 앤 씨에서 파르티잔 대원들이 숲 속에서 단체 사진을 찍을 때 이 곡이 BGM으로 등장한다. 단체 사진을 찍기 전 대원들이 장갑차를 타고 올 때 세 전차병을 아코디언으로 연주하는 장면도 있다.
또한 영화 마이웨이에도 이 곡이 흘러나온다. 준식(장동건 분)과 타츠오(오다기리 조 분)와 함께 포로 생활 대신 소련군의 병사가 된 종대(김인권 분)가 같은 트럭에 탄 병사들을 독려하고자 찰진 발음으로 부른다. 그리고 이어지는 독일군과의 전투신 내내 배경음악으로 깔린다.
그 밖에 소설 메트로 2033에서 바이오매스의 정신 공격에 맞서기 위하여 멜니크 대령과 그의 대원들이 성전을 부른다. 어느정도 효과는 있었으나, 지나치게 강한 정신공격에 다른 방도를 찾아야 했다. 국내 번역판에선 이 곡에 대해 별다른 이야기 없이 그냥 넘길법도 한데, 각주로 이 곡의 개요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번역상태도 괜찮은 편이다.
그 외에도 조금 쌩뚱맞게도 쌍용예가의 CF에도 사용되기도 했다. 상류층 복장을 한 여성들이 건설도구들을 다루는 장면인데 단순히 강렬하고 웅장한 곡조이기에 선정된 듯 하다. 중간 중간 붙여넣기를 한 터라 가사에도 별 다른 의미가 없어졌다. http://www.adic.co.kr/gate/video/show.hjsp?id=I179593 자세한건 여기를 참고.
가사는 링크된 붉은 군대 합창단의 곡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한글자막+독음 표기 영상
어떤 분위기에서 불리는지 잘 보여주는 영상.[3][4]
여성 가수[5] 가 부른 버전은 왠지 살벌하게 느껴진다.
(전원 기립한채 경청하는 장면이 인상적인데, 독소전 기간동안 죽은 소련 사람만 2000만명이 넘어간다. 러시아에서 성전이 군가 이상의 상징성을 가졌다는걸 보여주는 장면이다.)
1999년 12월 22일 아스키에서 나온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팬저 프론트에서 소련 측으로 선택했을 경우 나오는 가사없는 버전.
다른 소련군가들 처럼 성전 또한 다른나라에 개사되었다. 아래에는 독일어와 중국어 링크가 있으며, 북한에도 이 성전을 번역한 곡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동독에서도 이 곡이 개사되었다. 독일을 물리치러 만들어진 곡이 독일어로 개사된 것을 생각하면 충격과 공포가 아닐 수 없다.[7]
본 음원은 동독의 민중가수 에른스트 부슈#s-2의 낭독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가창 형식으로 구성된 음원도 따로 존재한다.
6절까지 만들어졌으나 이 동영상에서는 1절 - 3절 - 4절 - 1절의 순으로 부르므로 그 가사들만 게재한다.
번안 과정에서 원제인 성스러운 전쟁 대신 "정의의 싸움이다"라고 제목이 바뀌었다. 또한 원곡과 달리 총 3절밖에 없는데, 원곡의 1, 2, 4절을 번안하고 3절을 뺐다. 3절 내용이 평원 운운하는 내용이라 북한 사정에 안 맞아서인 듯하다.
The Sacred War
성스러운 전쟁
작사: 바실리 레베데프-쿠마치 (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Лебедев-Кумач, 1898-1949)
작곡: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1883-1946)
1. 개요
1941년 소련에서 발표가 된 군가로 독소전쟁 때 발표됐다. 실제로 이곳 저곳 2차대전 소련군 관련해서 많이 쓰이는 음원. '일어나라 거대한 나라여(Встсвай, Страна Огромная)'라는 별칭이 있는데 이것은 첫째 줄의 가사이다. 이런 면에서는 같은 소련 군가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와 비슷하다.[2]
1941년 6월 24일, 그러니까 독소전이 개전 된지 이틀이 지나서, 당시 소련의 신문 이즈베스티야와 붉은 별에 이 시가 발표가 되었다. 이 시를 본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는 이 시를 제재로 하여 바로 곡을 만들었다. 곡을 만들 당시 이걸 인쇄해서 연주자들에게 배포할만한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에 알렉산드로프는 칠판에 분필로 곡을 썼고 가수들과 연주자들은 각자 노트에 그것을 베꼈다고 한다.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연주자들은 리허설에 매진을 하였다. 마침내 6월 26일, 모스크바의 벨라루스 철도역에서 이 곡이 처음으로 공연이 되었다. 이 날 성전은 성공적으로 다섯 번 공연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성전은 한동안 소련 전역으로 퍼지지는 않았다. 희망을 강조해야할 전쟁기에 너무 비극적인 곡조라고 생각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마침내 10월 15일, 독일 국방군이 모스크바 코앞의 도시인 칼루가와 르제프, 칼리닌을 접수하자 성전은 연방 전역의 라디오에서 울려퍼지기 시작하였다.
그때부터 성전은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특히 방어전을 치르는 부대에서 더 인기가 많았다. 참전용사가 이 노래에 대해 회고하는 인터뷰나 글을 읽어보면 성전이 준 충격이 어느정도인지 실감할 수 있다. 벨라루스나 우크라이나의 숲 속에서 독일군에게 쫓기는, 배고프고 손과 발이 얼어가는 파르티잔들이 휴대용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이 곡을 듣고 분기탱천하였다는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곡조부터 적에 대한 분노를 이끌어내고, 비장한 느낌을 주며 가사는 두말할것도 없다. 전쟁 중 이 곡은 공식적으로 두번 녹음이 되었다. 전후 기간에는 자주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불렀고 작곡자 알렉산드로프는 이 곡을 계기로 소련에서 큰 성공을 하였다. 원래 능력이 있는 사람이지만. 그는 소련 국가를 작곡한 사람이기도 하다.
소련 붕괴 이후 모스크바서 열리는 승전 기념 퍼레이드에서 맨 처음 러시아 국기가 들어올때 연주되는 음악도 바로 성전이다.
콘서트나 기타 공연 따위에서 이 곡이 울려퍼지면 관객들이 미리 약속이라도 한 듯 느닷없이 기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독소전의 상징과도 같은 곡에 전쟁을 기리기 위해 일어서는 것이라 의무는 아니다. 주로 전쟁의 영향을 많이 받은 노인들이 먼저 일어나고 젊은이들이 멍때리고 있다가 뒤따라 일어나는 식. 가끔식 눈물을 흘리면서 경청하는 사람도 있다.
2. 영상
2015년 승리의 날 70주년 기념 퍼레이드에서 '성전' 부분만 편집한 영상. 1분 16초부터 보자.
카자흐스탄에서도 쓰였다. 3분 7초부터.
2007년 5월 22일, 알렉산드로프 앙상블(붉은 군대 합창단)이 공연을 한 브뤼셀의 나토 사령부에서 '성전'이 울려퍼졌다. 뭐 가사 자체가 파시스트만 까니까 문제는 없을지도. 또 워낙 유명한 곡인지라 각지에서 번안 되었다. 러시아어도 가사 바리에이션이 많은데 번안 쯤이야. 북한, 중국 등.
영화 컴 앤 씨에서 파르티잔 대원들이 숲 속에서 단체 사진을 찍을 때 이 곡이 BGM으로 등장한다. 단체 사진을 찍기 전 대원들이 장갑차를 타고 올 때 세 전차병을 아코디언으로 연주하는 장면도 있다.
또한 영화 마이웨이에도 이 곡이 흘러나온다. 준식(장동건 분)과 타츠오(오다기리 조 분)와 함께 포로 생활 대신 소련군의 병사가 된 종대(김인권 분)가 같은 트럭에 탄 병사들을 독려하고자 찰진 발음으로 부른다. 그리고 이어지는 독일군과의 전투신 내내 배경음악으로 깔린다.
그 밖에 소설 메트로 2033에서 바이오매스의 정신 공격에 맞서기 위하여 멜니크 대령과 그의 대원들이 성전을 부른다. 어느정도 효과는 있었으나, 지나치게 강한 정신공격에 다른 방도를 찾아야 했다. 국내 번역판에선 이 곡에 대해 별다른 이야기 없이 그냥 넘길법도 한데, 각주로 이 곡의 개요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번역상태도 괜찮은 편이다.
그 외에도 조금 쌩뚱맞게도 쌍용예가의 CF에도 사용되기도 했다. 상류층 복장을 한 여성들이 건설도구들을 다루는 장면인데 단순히 강렬하고 웅장한 곡조이기에 선정된 듯 하다. 중간 중간 붙여넣기를 한 터라 가사에도 별 다른 의미가 없어졌다. http://www.adic.co.kr/gate/video/show.hjsp?id=I179593 자세한건 여기를 참고.
가사는 링크된 붉은 군대 합창단의 곡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한글자막+독음 표기 영상
어떤 분위기에서 불리는지 잘 보여주는 영상.[3][4]
여성 가수[5] 가 부른 버전은 왠지 살벌하게 느껴진다.
(전원 기립한채 경청하는 장면이 인상적인데, 독소전 기간동안 죽은 소련 사람만 2000만명이 넘어간다. 러시아에서 성전이 군가 이상의 상징성을 가졌다는걸 보여주는 장면이다.)
1999년 12월 22일 아스키에서 나온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팬저 프론트에서 소련 측으로 선택했을 경우 나오는 가사없는 버전.
3. 가사
4. 개사곡
다른 소련군가들 처럼 성전 또한 다른나라에 개사되었다. 아래에는 독일어와 중국어 링크가 있으며, 북한에도 이 성전을 번역한 곡이 있다.
4.1. 독일어(독일민주공화국)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동독에서도 이 곡이 개사되었다. 독일을 물리치러 만들어진 곡이 독일어로 개사된 것을 생각하면 충격과 공포가 아닐 수 없다.[7]
본 음원은 동독의 민중가수 에른스트 부슈#s-2의 낭독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가창 형식으로 구성된 음원도 따로 존재한다.
4.2. 중국어(중화인민공화국)
6절까지 만들어졌으나 이 동영상에서는 1절 - 3절 - 4절 - 1절의 순으로 부르므로 그 가사들만 게재한다.
4.3. 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번안 과정에서 원제인 성스러운 전쟁 대신 "정의의 싸움이다"라고 제목이 바뀌었다. 또한 원곡과 달리 총 3절밖에 없는데, 원곡의 1, 2, 4절을 번안하고 3절을 뺐다. 3절 내용이 평원 운운하는 내용이라 북한 사정에 안 맞아서인 듯하다.
5. 관련 문서
[1] 라틴자는 Svyashchennaya voyna. 하지만 발음으로서 я(ya)에 강세가 없을땐 и(i)처럼 발음되고 о에 발음이 없을땐, а처럼 발음되므로 Svishchennaya vayna(스비셴나야 바이나)으로 발음된다. 어려울 것 없이 음악을 들어보면 알게될 것이다.[2] 마찬가지로 '백군과 검은 남작(Велая Армия, Чёрный Барон)'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 노래의 첫 마디가 '백군과 검은 남작이 차르의 권좌를 복구시키려한다'이기 때문이다.[3] 참고로 이 영상은 모스크바 전투(1985)라는 소련의 영화에서 나오는 장면이다. 여담이지만 독일군 전차를 잘 보면 T-55, T-62 같은 전차도 나온다.(...)[4] 그에 더해서 모스크바 방어전과 태풍 작전이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중간중간에 티거등 후기 전차들이 나온다.(...)[5] 엘레나 바엔가(Елена Ваенга), 1977년 1월 27일에 태어난 러시아의 싱어, 송라이터, 배우[6] 2번 부른다[7] 동독은 자신들의 국가 정통성을 공산주의자들의 반나치 투쟁에서 찾았으니 일단 문제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