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토내해

 


'''세토내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창작물에서


1. 개요


((内海(ないかい[1]
'''세토내해(세토나이카이)'''는 일본 열도큐슈, 시코쿠, 혼슈로 둘러싸인 바다를 의미한다. 칸몬 해협을 통해 동해로, 키이 수도와 분고 수도를 통해 태평양으로 빠져나간다. 북쪽 및 동쪽은 혼슈, 남쪽은 시코쿠, 서쪽은 큐슈가 있어서 사방이 육지인 일종의 지중해.
크기는 동서로 450km, 남북으로 15~55km 정도로 바다치고는 길쭉하고 좁아서, 바다라기보다는 매우 넓은 과 비슷하다. 실제로 브라질아마존 강도 강폭이 16~20km가 넘는 곳도 있으니. 평균 깊이는 37.3m로 황해보다도 얕다. 아와지시마(淡路島)이나 쇼도시마(小豆島), 인노시마(因島), 스오오시마(周防大島) 등의 3,000개 정도의 이 존재한다. 일본 내 다른 해역명과 마찬가지로 과거 쿠니(国)에서 유래한 명칭이 많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3개의 거대한 교량을 혼슈시코쿠연락교(本州四国連絡橋)라고 하는데, 세토 대교아카시 해협 대교, 그리고 세토우치시마나미해도가 있다.
일본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오카야마나 다카마츠 등지의 강수량은 1,200mm 수준에 불과하다.
제2차 세계대전일본 해군의 요충지로도 사용되었다. 당장에 구레항도 세토내해에 위치해 있다.
서부 일본열도를 종단하는 듯한 모양새 때문에 과거부터 현재까지 중요한 수운의 교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육상교통보다 해상교통이 훨씬 빨랐던 과거에는 당연히 산요도-사카이도 루트[2]를 대체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세토내해 양안에 이십여 개의 왜성을 쌓아 방어선을 정비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통신사 또한 지금의 도쿄까지 갈 때 부산에서부터 오사카까지는 세토내해를 통한 수운을 이용, 거기서부터 도쿄까지는 육로로 이동했다. 현재도 부산-오사카행 항로는 이 이 지역을 경유한다. 그 내용은 팬스타 문서 참조.
심지어 현재도 일본 서부 국내화물의 상당수는 한국과 달리 철도도로운송이 아닌 수운을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철도[3]의 화물분담율은 수운 대비 10%에 불과한 실정.[4] 이러다 보니 해상관제가 매우 중요해지는데, 내륙 수도라는게 다 그렇지만 유속이 빠르고 위험해서 심심하면 선박 사고가 일어난다. 특히 많이 일어나는 게 좌초사고가 아닌 '''교통사고'''인데, 현대의 대형화된 선박으로는 왕복 2차선 도로마냥 세토내해를 줄줄이 항해해야 하기 때문에 까딱하다간 정면으로 들어받거나 뒤에서 추돌하는 수가 있기 때문.
도쿄 사람들이 도쿄만의 물고기를 높게 치듯이, 간사이 지방의 미식가들은 대체로 이 바다에서 잡은 해산물을 가장 귀히 여긴다. 그런데 두 바다 모두 육지에 둘러싸인데다가 오랜기간 동안 산업폐기물이나 생활하수를 버려댄지라 현재도 그 영향이 남아있어서 오염도가 심각하다고 한다.
교통순회-관제를 위해 내해의 대교를 이용하는 독특한 안전대책을 사용한다. 도로패트롤은 도로나 시설의 상황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항상 관제실을 연계하면서 24시간체제로 순회를 하고, 도로 낙하물 회수 등 사고처리등 현장에의 신속한 대응으로 통행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최대 수심 105미터이다. 동쪽은 나루토 해협으로 필리핀 해로 연결되며, 서쪽은 간몬 해협으로 동해와, 분고 수도로 필리핀해와 연결된다. 수심이 깊지못하여 국제항로보다 일본국내항로에 특화된 지역이라 볼 수 있다.

2. 창작물에서



[1] 세토(瀬戸) 자체가 좁은 여울이라는 뜻으로, 일반명사가 고유명사가 된 사례다. 자세한 내용은 세토 문서 참조.[2] 현재의 야마구치-오사카[3] 물론 일본의 철도망은 1,435mm인 표준궤가 아니라 1,067mm 협궤를 사용하여 표준 크기의 컨테이너는 실을수도 없고, 주력전차 등의 중수송을 하려면 불편하기 때문에 그런 것도 있다.[4] 때문에 태평양전쟁 시절 미군의 기뢰전에 의해 수운이 마비되자 화물 운송에 막대한 차질이 생기기도 했다. 미군은 이를 노려 몰락작전시 대규모 기뢰전으로 일본의 수운을 원천적으로 차단, 기아 상태로 만들어버리겠다는 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