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키시치도

 


1. 개요
2. 고키(五畿)
2.1. 기나이(畿内)
3. 시치도(七道)
3.1. 호쿠리쿠도(北陸道)
3.2. 도카이도(東海道)
3.3. 토산도(東山道)
3.4. 산요도(山陽道)
3.5. 산인도(山陰道)
3.6. 난카이도(南海道)
3.7. 사이카이도(西海道)
4. 번외: 홋카이도(北海道)
5. 관련 문서

五畿七道(ごきしちどう, 오기칠도)

1. 개요


10세기 헤이안 시대에 확립된 일본의 옛 행정구역. 대략 68개 정 있는 '''쿠니'''(国)[1]들을 '수도(교토) 근처 5개 쿠니(五畿], '''고키''')와 7개의 도(七道], '''시치도''')'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고키시치도(五畿七道, 오기칠도)라고 한다. 고키시치도를 이루는 하위 행정구역이 쿠니인데, 쿠니는 율령제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하여 영제국(令制国), 율령국(律令国)[2]이라고도 하며, 고대에는 쿠니마다 코쿠후(国府)를 두어 행정구역으로서 기능했으나 영주의 힘이 강해지면서 사실상 관습적 구분처럼 변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각 영제국을 국력에 따라 대국, 상국, 중국, 하국으로, 교토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내(기나이), 근국, 중국, 원국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이 중 거리에 따른 분류 기준으로서의 중국은 주고쿠 지방의 어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틀의 경우 일본의 도도부현 틀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변경점이라면 5기7도에 따라 분류가 나뉘었고 오늘날 주코쿠 지방에 해당하는 산요도, 산인도가 JR 서일본의 영업구역에 맞게 기나이(관서지방)과 동일한 색으로 분류된 것 정도. 다만 호쿠리쿠도는 JR 홋카이도 색으로 분류되어 버렸다.(...)
[image]
위에 표시된 것은 색칠된 7개의 도, 회색인 기나이(畿内). 아래의 각 항목에 서술된 것은 쿠니. 대략 헤이안~에도 시대까지는 68개(또는 이키쓰시마를 제외한 66개)가 있었다고 한다[3]. 수도권이라고 할 수 있는 5개 쿠니의 지역을 기나이라고도 하며, 지방은 기나이를 중심으로 각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태[4]인 7개의 도(道)로 구분한다. 지금은 홋카이도만 도(道)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5]일본 철도의 역들을 보면, 역 앞에 쿠니의 이름을 붙여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무사시사카이역이라든지, 카와치마츠바라역이라든지.
[image]
밀리터리, 특히 해전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익숙한 이름들이 많이 보일 것인데 이는 구 일본군 해군이 전함급 함선들에게 바로 이들 지명을 함명으로 붙였기 때문이다.[6]
한국 창작물 중 쿠니의 이름이 나오는 작품으로는 일동장유가가 있다. 주방(스오), 안예(아키), 비후(빈고), 비전(비젠), 파마(하리마), 섭진(셋츠), 하내(카와치), 근강(오미), 미장(오와리), 원강(토토미), 준하(스루가), 무장(무사시) 등이 등장한다.

2. 고키(五畿)


이하의 분류는 "옛 지명(쿠니) = 옛 지명(슈): 현재 지명(도도부현)" 순으로 되어 있다. 다만 슈(州)가 들어가는 별칭이 다른 쿠니의 것과 같은 경우는 해당 쿠니들을 아울러 부르는 이름일 수 있다.[7]

2.1. 기나이(畿内)


오늘날은 간사이긴키(近畿) 지방이라고도 한다. 교토부, 오사카부 일대.
  • 야마시로(山城(やましろ산성) = 산슈(山州산주), 조슈(城州성주)
: 교토부 남동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요슈(雍州)라고도 불리웠다.
  • 야마토(大和(やまと대화) = 와슈(和州화주)
  • 카와치(河内(かわち[8]하내) = 카슈(河州하주)[9]
: 오사카부 중부.
  • 이즈미(和泉(いずみ[10]화천) = 센슈(泉州천주)
: 오사카부 남서부.
  • 셋츠(摂津(せっつ섭진) = 셋슈(摂州섭주)
: 오사카부 북부 ~ 효고현 남동부.

3. 시치도(七道)



3.1. 호쿠리쿠도(北陸道)


후쿠이현에서 니가타현까지 일본 서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지방. 호쿠리쿠 본선, 그리고 현재 일부 개통된 호쿠리쿠 신칸센의 유래가 되었다.
  • 에치젠(越前(えちぜん월전) = 엣슈(越州월주)
: 후쿠이현 동부. 에치젠 철도, 에치젠시의 유래가 됨.
  • 에치고(越後(えちご월후) = 엣슈(越州월주)
  • 사도(佐渡(さど좌도) = 사슈(佐州좌주), 도슈(渡州도주)
: 니가타현 사도가 섬.
  • 엣추(越中(えっちゅう월중) = 엣슈(越州월주)
  • 노토(能登(のと능등) = 노슈(能州능주)
: 이시카와현 북부. 노토 철도, 노토초 등의 유래가 됨.
  • 카가(加賀(かが가하) = 카슈(加州가주)
: 이시카와현 남부. 카가시의 유래가 됨.
  • 와카사(若狭(わかさ약협) = 쟈쿠슈(若州약주)
: 후쿠이현 서부.

3.2. 도카이도(東海道)


미에현을 시작으로 이바라키현까지 이어지는 지방.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 등의 유래가 되었다.
  • 히타치(常陸(ひたち상륙) = 조슈(常州상주)
: 이바라키현 대부분. 히타치나카 해안철도의 유래가 됨.
  • 시모사(下総(しもうさ[11]하총) = 소슈(総州총주), 호쿠소(北総북총)
: 치바현 북부 + 이바라키현 남서부.
  • 카즈사(上総(かずさ[12]상총) = 소슈(総州총주), 난소(南総남총)
: 지바현 중부.
  • 아와(安房(あわ[13]안방) = 보슈(房州방주), 안슈(安州안주), 때로 난소(南総남총)
: 지바현 남부. 난카이도의 아와(阿波)와는 다른 지방.
시모사, 카즈사, 아와 세 지역을 합쳐서 보소(房総, 보슈 + 소슈)라고 하기도 한다. 이 표현은 지바현을 구성하고 있는 보소 반도에 남아 있다.
  • 무사시(武藏(むさし무장) = 부슈(武州무주)
: 도쿄도+사이타마현+가나가와현 동부. 여담으로 도부 철도, 세이부 철도의 유래는 바로 이 '무사시노쿠니'를 기준으로 동서로 나눈 것이다.
  • 사가미(相模(さがみ상모)[14] = 소슈(相州상주)[15]
: 가나가와현 대부분. 사가미 철도의 유래가 됨.
  • 카이(甲斐(かい[16]갑비) = 코슈(甲州갑주)
: 야마나시현. 야마나시현의 현청 소재지인 고후시의 명칭도 여기서 나왔다.
  • 스루가(駿河(するが준하) = 슨슈(駿州준주)
: 시즈오카현 동부.
  • 이즈(伊豆(いず[17]이두) = 즈슈(豆州두주)
: 시즈오카현 동남부(이즈 반도) 및 도쿄도 도서부(이즈 제도). 여기에서 이즈시가 유래되었다.
  • 토토미(遠江(とおとうみ[18]원강) = 엔슈(遠州원주)
: 시즈오카현 서부.
  • 미카와(三河(みかわ[19]삼하) = 산슈(三州[20]삼주)
: 아이치현 동부. 메이테츠 미카와선의 유래가 됨. 현재에도 차량 번호판에 미카와 차량등록사무소의 번호판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그 지명에 남아있다.
  • 오와리#s-3(尾張(おわり[21]미장)[22] = 비슈(尾州미주)
: 아이치현 서부.
  • 이세(伊勢(いせ이세[23]) = 세이슈(勢州세주)
: 미에현 중부. 이세 철도, 이세시의 유래가 됨.
  • 이가(伊賀(いが이하) = 이슈(伊州이주)
: 미에현 북서부. 이가시의 유래가 됨.
  • 시마시(志摩(しま지마) = 시슈(志州지주)
: 미에현 동남부. 킨테츠 시마선, 특급열차 시마카제의 유래가 됨.

3.3. 토산도(東山道)


시가현에서 아오모리현까지 산을 따라 이어지는 지방.
무츠#s-1국과 데와국은 영역이 다른 쿠니들에 비해 매우 넓은데, 원래 율령국 제정 당시에는 상당부분이 에미시의 영역이었고 야마토 조정의 힘이 미치지 못했다. 에미시를 몰아내며 무츠와 데와의 영역은 계속 성장했지만 오랜 기간 동안 구역재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무츠#s-1(陸奥(むつ육오)[24] = 오슈(奧州오주)
  • 이와키(磐城(いわき반성) = 반슈(磐州반주)
: 후쿠시마현 동부 + 미야기현 남부.
  • 이와시로(岩代(いわしろ암대) = 간슈(岩州암주)
: 후쿠시마현 서부.
: 미야기현 대부분 + 이와테현 일부.
: 이와테현 일부 + 아키타현 일부.
  • 리쿠오(陸奥(りくおう[25]육오)
  • 데와(出羽(でわ[26]출우)[27] = 우슈(羽州우주)
  • 우젠(羽前(うぜん, 우전)
: 야마가타현 대부분.
  • 우고(羽後(うご, 우후)
: 아키타현 + 야마가타현 일부. 우고마치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 코즈케(上野(こうずけ[28]상야) = 죠슈(上州상주), 죠모(上毛상모)
: 군마현. 현재는 그 일부가 우에노 촌으로 존재.
: 도치기현. 도부 철도 특급열차 시모츠케, 시모츠케시의 유래가 됨.
: 나가노현. 시나노 철도의 유래가 됨.
  • 히다#s-1(飛騨(ひだ비탄) = 히슈(飛州비주)
: 기후현 북동부. 현재의 히다시.
  • 미노(美濃(みの미농) = 노슈(濃州농주)
: 기후현 남부.
  • 오미(近江(おうみ[29]근강)[30] = 고슈(江州강주)
: 시가현. 오미 철도의 유래가 됨.

3.4. 산요도(山陽道)


야마구치현에서 세토내해를 따라 이어지는 지방. 산요 본선산요 신칸센, 산요 전기철도의 유래가 되었다.
아래의 산인도(山陰道)와 함께 지명의 유래는 주코쿠산맥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는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지명을 지을 때 주역의 음양오행을 기준으로 (북반구에서) 산의 북쪽은 그늘이 지므로 음(陰)이라 하고, 산의 남쪽은 해가 잘들기 때문에 양(陽)이라 하였기 때문이다.

  • 하리마(播磨(はりま파마) = 한슈(播州파주)
: 효고현 남서부.
  • 미마사카(美作(みまさか미작) = 사쿠슈(作州작주)
: 오카야마현 북동부.
  • 비젠(備前(びぜん비전) = 비슈(備州비주)
: 오카야마현 남동부.
  • 빗츄(備中(びっちゅう비중) = 비슈(備州비주)
: 오카야마현 서부.
  • 빙고#s-5(備後(びんご비후) = 비슈(備州비주)
: 히로시마현 동부.
  • 아키#s-7(安芸(あき안예)[31] = 게이슈(芸州예주)
: 히로시마현 서부.
  • 스오(周防(すおう[32]주방)[33] = 보슈(防州방주)[34]
: 야마구치현 동부.
: 야마구치현 서부. 나가토시의 유래가 됨. 메이지 유신을 주도했던 주동세력인 조슈 군벌이 이곳을 연고지로 한다.

3.5. 산인도(山陰道)


시마네현에서 교토 북부까지 동해를 타고 이어지는 지방. 산인 본선의 유래가 되었다.
  • 탄바(丹波(たんば단파) = 탄슈(丹州단주)
: 교토부 중부.
  • 탄고(丹後(たんご단후)[35] = 탄슈(丹州단주)
: 교토부 북부.
  • 타지마(但馬(たじま단마) = 탄슈(但州단주)[36]
: 효고현 북부.
  • 이나바(因幡(いなば인번) = 인슈(因州인주)
: 돗토리현 동부.
  • 호키(伯耆(ほうき[37]백기) = 하쿠슈(伯州백주)
: 돗토리현 서부.
  • 이즈모#s-1(出雲(いずも[38]출운) = 운슈(雲州운주)
: 시마네현 동부. 이즈모시의 유래가 됨.
  • 이와미(石見(いわみ[39]석견)[40] = 세키슈(石州석주)
: 시마네현 서부.
  • 오키(隠岐(おき은기) = 온슈(隠州은주), 인슈(陰州음주)
: 시마네현 오키 섬.

3.6. 난카이도(南海道)


지금의 시코쿠와 키이 반도. 난카이 전기철도의 유래가 되었다.
  • 키이(紀伊(きい기이[41])[42] = 키슈(紀州기주)
  • 아와지(淡路(あわじ[43]담로) = 탄슈(淡州담주)
  • 아와(阿波(あわ[44]아파) = 아슈(阿州아주)
: 도쿠시마현. 토카이도의 '아와(安房)'와는 다른 지방.
  • 사누키(讃岐(さぬき찬기) = 산슈(讃州찬주)
: 카가와현.[45]
  • 이요(伊予(いよ[46]이예) = 요슈(予州예주)
: 에히메현. 이요 철도의 유래가 됨.
  • 도사(土佐(とさ토좌)[47] = 도슈(土州토주)

3.7. 사이카이도(西海道)


지금의 규슈. 작은 규모의 섬에 존재하던 이키, 쓰시마, 독립국이었던 류큐를 제외하고 9개의 쿠니가 있었던 것이 규슈(九州)의 유래가 되었다.
  • 치쿠젠(筑前(ちくぜん축전) = 치쿠슈(筑州축주)
: 후쿠오카현 북부.
  • 치쿠고(筑後(ちくご축후) = 치쿠슈(筑州축주)
: 후쿠오카현 남부.
  • 부젠(豊前(ぶぜん풍전) = 호슈(豊州풍주)
: 후쿠오카현 동부 + 오이타현 북부.
  • 분고(豊後(ぶんご풍후) = 호슈(豊州풍주)
: 오이타현 대부분.
  • 히젠(肥前(ひぜん비전)[48] = 히슈(肥州비주)
  • 히고(肥後(ひご비후) = 히슈(肥州비주)
  • 휴우가(日向(ひゅうが[49]일향) = 닛슈(日州일주)
: 미야자키현. 휴가시의 유래가 됨.
  • 사쓰마(薩摩(さつま살마) = 삿슈(薩州살주)
: 가고시마현 서부. 조슈 군벌과 결탁하여 메이지 유신을 주도했던 사쓰마 군벌이 여기 출신이다.
  • 오스미(大隅(おおすみ[50]대우) = 구슈(隅州우주)
: 가고시마현 동부.
  • 이키(壱岐(いき일기)[51] = 잇슈(壱州일주)
: 나가사키현 이키 섬.
  • 쓰시마(対馬(つしま대마) = 타이슈(対州대주)
: 나가사키현 쓰시마 섬(대마도).
  • 류큐(琉球(りゅうきゅう[52]유구) = 류슈(琉州유주)
: 오키나와현. 원래 류큐는 일본의 율령국이 아닌, 독립된 류큐왕국이었다. 그러나 1872년, 일본제국에 의해 으로 격하되고, 1879년 류큐처분으로 일본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그러면서 류큐 번의 뒤를 이어 설치된 오키나와현을 편의상 구색맞추기로 일본 내 다른 지역들처럼 류큐노쿠니(琉球国(りゅうきゅうのくに)로도 불렀다. 다만 한자어 유구국(琉球國), 류큐어 루추쿠쿠(ルーチュークク), 일본어 류큐코쿠(りゅうきゅうこく)는 예로부터 류큐왕국의 정식 명칭이었다.

4. 번외: 홋카이도(北海道)


홋카이도는 근대에 와서야 일본령이 되었기 때문에 전근대에는 정식 행정구역인 쿠니가 설치된 적이 없다.[53] 홋카이도(道)라는 지명은 근대에 정착한 것이며 예전에는 '에조(아이누족)'의 땅, 즉 '에조치(蝦夷地)'라고 불렸다. 홋카이도는 원래의 지역 구분인 7도(道)에 포함되지 않는다. 메이지 2년(1869) ~ 15년(1882)에 와서야 11개 쿠니를 두었다.
: 현재의 오시마 종합진흥국, 히야마 진흥국의 남반부.
: 현재의 시리베시 종합진흥국의 대부분 및 히야마 진흥국의 북반부.
: 현재의 이부리 종합진흥국의 전역 및 오시마 종합진흥국의 북반부, 이시카리 진흥국의 치토세, 에니와시, 카미카와 종합진흥국의 일부.
: 현 이시카리 진흥국에서 치토세, 에니와시를 제외한 지역, 시리베시 종합진흥국의 오타루시 일부, 소라치 종합진흥국의 전역, 카미카와 종합진흥국의 일부.
: 현 루모이 진흥국 전역 및 카미카와 종합진흥국의 카미카리 고개 이북, 소야 종합진흥국의 일부.
: 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의 전역 및 소야 종합진흥국의 대부분. 키타미시의 유래가 됨.
: 현 히다카 진흥국.
: 현 토카치 종합진흥국에서 아쇼로 군의 대부분을 제외한 지역.
: 현 쿠시로 종합진흥국 및 아쇼로 군의 대부분.
: 현 네무로 진흥국 및 하보마이 군도, 시코탄 도(1885년에 치시마로 이관).
: 현 쿠나시리 도(러; 쿠나시르) 이북 및 치시마 열도(=쿠릴 열도), 가라후토(현 사할린 ; 1875년 편입), 시코탄(1885년 네무로로부터 이관).

5. 관련 문서



[1] 영어로는 '도'와 같이 'province'로 번역.[2] 이러한 용어는 일본어 くに(国)가 그냥 '나라'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보니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영제국'마저 대영제국을 이르는 말로도 쓰이다 보니 보통 '율령국'이라는 용어를 많이 쓰는 듯하다.[3] 쿠니의 수는 신설, 통폐합, 분할, 구역변경 등의 변화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시대별로 조금씩 다르다[4] 홀로 동떨어진 형태인 사이카이도는 예외[5] 그러나 홋카이도는 근대에 와서야 일본의 영토가 된 곳이기 때문에 정작 여기서의 7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6] 유일하다시피한 예외가 후소급 전함 1번함 후소. 이는 일본 그 자체를 의미하던 옛 명칭 부상국(扶桑国)에서 함명을 따 왔기 때문이다.[7] 일본에서는 주(州)가 국(国)과 동일한 의미로 쓰였고 훈독으로 읽을 때 둘 다 '쿠니'라고 읽었다. 예를 들어 호슈(豊州)는 부젠노쿠니(豊前国)이나 분고노쿠니(豊後国)의 둘 중 하나를 가리키기도 하고 둘을 한꺼번에 가리키기도 한다.[8] 구 표기법 かはち[9] 역시 위의 카슈(加州)와는 다르다.[10] 구 표기법 いづみ[11] 구 표기법 しもふさ. 참고로 しもうさ에서 もう 부분이 장음인지 아닌지가 논쟁이다. 장음이면 한글 표기가 '시모사'가 되고, 장음이 아니면 '시모우사'가 되니 한글 표기와도 관련있는 문제이다. 일본어 장음 판별법 참조.[12] 구 표기법 かづさ[13] 구 표기법 あは[14]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페레스베트를 사가미로 개명[15] 위의 카즈사, 시모사를 이르는 소슈와 다르다.[16] 구 표기법 かひ[17] 구 표기법 いづ[18] 구 표기법 とほたふみ[19] 구 표기법 みかは[20] 또는 參州삼주.[21] 구 표기법 をはり[22] 태평양 전쟁 당시 계획된 키이급 전함의 2번함 함명에 사용될 예정이었지만,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 키이급 전함의 건조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23] 특이하게도 일본어 발음과 한글 한자 발음이 같은 사례.[24] 메이지 원년(1868), 무츠를 이와키/이와시로/리쿠젠/리쿠츄/리쿠오(陸奥)로 나눔. [25] 옛 이름인 무츠와 한자가 같지만 음독(音読み)한다. 역사적으로 무츠 지역은 리쿠젠 지역에서 뻗어나갔으며 무츠 분할 이후의 리쿠오와는 달랐던 탓에 관청에서는 옛 이름과의 구분을 위해서라도 리쿠오라는 음독명을 사용하였으나, 민간에는 침투하지 못한 탓에 무츠 분할 이후로도 리쿠오 대신 무츠라고 불리고 있다.[26] 구 표기법 では[27] 메이지 원년(1868), 데와를 우젠/우고로 나눔. [28] 구 표기법 かうづけ[29] 구 표기법 あふみ[30] 키이급 전함 4번함의 유래가 된 지명이다.[31] 사쓰마급 전함 중 하나. 이후 공고, 이세 건조 과정에서 표적함으로 전락하여 침몰한다.[32] 구 표기법 すはう[33]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포베다[34] 도카이도 아와의 보슈와는 다르다.[35]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폴타바[36] 바로 위의 탄슈와 동음이의어다. 심지어 우리말 발음마저 둘 다 단주로 똑같다.[37] 구 표기법 はうき[38] 구 표기법 いづも[39] 구 표기법 いはみ[40]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오룔[41] 역시 한글 한자어와 일본어 발음이 비슷한 사례.[42] 태평양 전쟁 당시 88함대 계획의 9~12번째 전함으로 계획되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된 키이급 전함 1번함 키이의 이름의 유래가 된 지명이다. 이후에도 야마토급 4번함 계획으로 부활하지만 역시나 예산부족으로 취소. 참고로 스트라이커즈 1945에서 일본 스테이지 보스로 등장하며 모델은 야마토급 전함이다.[43] 구 표기법 あはぢ[44] 구 표기법 あは[45] 카가와의 명물 사누키 우동의 이름이 바로 옛 지명인 사누키에서 온 것이다.[46] 상용한자 전에는 豫. 상용한자의 予가 豫로도 쓰인다.[47] 동명의 전함은 카가급 전함 2번함으로 계획되어 있었지만 건조 도중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건조가 중단되어 표적함으로 처분되었다. 참고로 해당 함급은 일본에서는 88함대 계획의 순번에 따라 카가를 1번함으로 간주해 카가급 전함이라 부르고, 서양권에서는 토사의 기공 시기가 더 빨랐기 때문에 토사를 1번함으로 간주해 토사급 전함이라 부른다.[48]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레트비잔[49] 구 표기법 ひうが[50] 구 표기법 おほすみ[51] 러일전쟁에서 노획한 러시아 전함 니콜라이1세[52] 구 표기법 りうきう[53] 쿠니보다 작은 행정구역인 으로는 마츠마에 씨(松前氏)가 다스린 마츠마에 번이 있었다. 쌀이 안 나와서 고쿠다카가 0이었으나 에도 막부에 의해 1만 석 격의 다이묘로 인정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