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헌수

 

1. 개요
2. 병인양요

양헌수 장군 승전비
梁憲洙
(1816~1888)

1. 개요


조선 후기의 장군. 본관은 남원, 호는 하거, 시호는 충장. 병인양요강화도에서 정족산성 전투를 지휘한 것으로 유명하다.

2. 병인양요


유학자 이항로제자이며 최익현하고 친구이다.[1] 1848년 무과에 급제했고 선전관이 되었다. 철종 때는 참상으로 승진했고 이후 희천군수와 갑산부사로 부임했다. 1865년 제주목사로 있었는데 탐관오리 백기호를 처벌해 백성들의 신망을 받았다. 1866년 강화부 정족산성 수성장 및 승정원의 동부승지로 있었다.
1866년 프랑스군이 강화도에 침략했는데 양헌수는 좌선봉장으로서 500여 명의 군사들을 이끌고 정족산성에 잠복했다. 양헌수는 조선군의 조총이 사거리와 총탄 수에서 프랑스군보다 무기 성능이 떨어졌기 때문에 성벽 뒤에 숨어 있다가 프랑스군이 성에 가까이 오면 집중 사격하는 전술을 택했는데 프랑스 해군 대령 올리비에와 일종의 게릴라전을 펼친 것이다. 그로 인해 조선의 기록에 따르면 프랑스군 6명이 죽고 30명이 부상당했다. 프랑스의 기록에는 3명이 죽고 35명 부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2]
양헌수는 병인양요 이후 출세가도를 달리기 시작했는데 한성판윤이 되고 황해도 병마절도사에 이어 어영대장이 된다. 그 뒤에는 형조판서공조판서재상이 되는데 무관이 재상까지 오르는 일은 드문 사례다. 1876년에는 강화도 조약에 반대했는데 이걸로 보아 개화파는 아니고 보수적인 척화론자로 추정된다. 병인양요 때 서양과 싸우기는 했으나 외국과 개항하는 일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제너럴 셔먼호 사건미국 배를 물리친 박규수가 개화론자였던 것과 비교된다.
1887년 독련사로 천거되나 늙은 나이를 근거로 나아가지 않았다. 결국 1888년 11월 73세에 사망한다. 양헌수의 무덤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덕수리 산59-3에 있다. 양헌수의 신도비도 양평군에 있다.
[image]
2013년 서울특별시에서 양헌수의 '병인양요 일기'를 문화재로 지정했다. 양헌수 덕에 정족산성 안의 정족산 사고에 보관 중이던 조선왕조실록과 도서들이 약탈을 피할 수 있었다. 강화군에서 어재연과 같이 조선 후기에 서양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구한 영웅으로 평가받는다. 강화군은 어재연, 양헌수 장군에 대해 열심히 홍보하고 유적지를 정비한다.

[1] 이항로는 3살 때 천자문을 뗐다고 한다. 최승로, 이이천재라 불린 인물들은 천자문을 3살 때 뗐다.[2] 문수산성에서 한성근이 양헌수와 같은 전략으로 프랑스군이 27명의 사상자를 내게 만든다. 이 공으로 한성근 역시 양헌수처럼 출세가도를 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