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1. 개요
2. 상세
2.1. 서양의 범위
3. 서양인
4. 오해와 편견
4.1. 금발벽안은 서양만의 특징이다?
4.2. 서양 문명은 다른 문명에 비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했다?
4.3. 서양 관념은 고대부터 있었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


西洋
'''서양'''은 동양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그 범주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보통 서유럽과 북미 지역은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2. 상세


서구 또는 옥시덴트(Occident)라고도 부른다. Occident의 어원은 무언가 아래로(밑으로) 내려간다는 뜻의 라틴어 occido에서 파생된 occidentem으로 '해가 지다'라는 뜻이며, 독일에서는 이를 뜻풀이해서 'Abendland'로 부른다.
'Western world'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단, 미국에서는 'Western'이라고 하면 캘리포니아같이 미국 내의 서부 지방을 뜻하는 말도 되므로 상황이나 문맥에 따라서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서양이란 단어는 중국의 송나라 시기에도 쓰였으나 현재와 같은 용법으로 정착된 것은 원나라명나라를 거쳐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이 세계 지도를 한자번역하면서 정착한 것이다. 선교사들은 유럽 서쪽의 바다대서양으로 지칭하고 자신들을 대서양인이라고 불렀는데, 이때부터 서양이란 단어가 유럽을 가리키게 되었다.
근대 이후로 서양이라 하면 기독교 문화권인 지역을 가리킬 때가 많았다. 사실 대한민국에서는 서양이라고 하면 유럽[1]북미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만, 서양은 오세아니아중남미, 남아공도 포함할 수 있는 개념이다.
동양이라는 단어가 그렇듯이, 서양이라는 단어도 다극화된 현대의 문화권을 지칭하기에는 무리가 많은 용어이다.

2.1. 서양의 범위


[image]
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이 바라본 서양(Western, 진한 파란색). 헌팅턴은 가톨릭개신교 문화권을 Western으로 보았다. 그래서 필리핀파푸아 뉴기니도 Western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비판과 논란이 매우 많은 분류이다.''' 일단 이슬람교는 시아파수니파가 서로 갈등이 심한데다, 불교도 대승 불교상좌부 불교가 다른데 그냥 하나로 묶었다. 또한 베트남은 역사적으로 북부 지방을 제외하면 유교 문화권이라고 볼 수 없다. 일본은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분류되지만, 헌팅턴은 특이하게도 'Japanese'로 따로 분류했는데, 신토불교의 강한 영향력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헌팅턴 개인의 선호 때문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유교가 국가의 근본과 체제가 된 중국 대륙이나 한반도와 달리 일본은 신토와 불교가 계속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다만 일반적으로 일본을 유교 문화권이라고 분류하는 만큼 일본에서도 유교의 영향력은 매우 컸고, 애초에 에도 막부는 통치 이념을 성리학으로 삼았다. 또한 한반도와 중국 대륙으로부터 기원한 문물로 사회의 근간을 이룬 일본을 독자적으로 분류한 것은 너무 지나치다는 비판이 있다. 그리고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는 저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에서 헌팅턴이 중국과 한국을 같은 문화권으로 묶은 것을 비판하였다.
고대 그리스인, 로마인들은 자신을 서양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고, 중세 유럽인들은 종교에 따라 문화권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유럽에서는 동서 대분열십자군 전쟁으로 가톨릭정교회의 사이가 나빠졌는데, 당시 가톨릭 지역은 정교회 문화권을 같은 문화권이라 생각한 적이 없었고, 16세기 종교개혁 이후로 개신교가 발생하자 개신교 지역은 이단지역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기독교가 늦게 전파된 북유럽과 동유럽은 중세시대엔 다른 세계로 간주되었다. 19세기에 북서유럽인들은 남유럽을 아프리카로 간주하고 러시아를 비롯한 동유럽을 아시아로 간주하기도 했다. 심지어 20세기 초까지 잉글랜드 바로 옆에 있는 아일랜드는 유럽이 아니라고 생각되었다.

'''아프리카는 피레네 산맥 이남부터 시작한다.''' (Africa begins at the Pyrenees.)

---

작자 미상(나폴레옹이라는 설이 가장 유명). 이베리아 반도는 유럽이 아니고 아프리카라는 뜻으로 오래 전부터 떠돌고 있는 유명한 농담이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이후로 유럽 내 민족주의가 누그러지고 냉전이 시작되자 유럽인들 내에서 유럽이라는 정체성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하얀 검둥이로 취급받던 아일랜드와 기니 검둥이 취급받던 이탈리아가 서양(Western)으로 간주되었고, 냉전이 끝나고는 동유럽과 러시아도 서양으로 간주되었다. 따지고 보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가 서양이라는 사고방식은 의외로 멀지 않는 과거에야 완성된 것이다. 지금도 서양내 우파적 자유주의자와 주류 보수주의자들은 반서방적인 러시아를 유럽으로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 반면 극우 성향을 띠는 사람 중에는 친러 성향을 가진 경우도 많아서 러시아에 동질감을 느끼기도 한다. 다만 과거 20세기에 서양 극우주의자들이 러시아를 미개한 유색인 취급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아이러니한 일이다. 또한 유대-기독교 개념을 지지하는 신우파대안우파 온건파는 이스라엘을 서양으로 간주하고 있다.
특정 지역이 서양으로 간주되는 과정은, 그 지역의 사람들이 세속주의적 유럽계 백인으로 간주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다. 2010년대 이후로는 이슬람권인 터키EU에 가입하려고 줄기차게 시도하고 있는데, 실제로 특정 단체나 지표에서는 터키를 유럽, 더 나아가서 서양의 일원으로 보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유럽인들에겐 아시아, 아프리카로 간주되어 왔던 대(大)중동, 아프리카의 뿔, 인도의 경우도 피부색과는 상관없이 일단 인종적으로는 코카소이드이고 유럽계 백인과 멀지 않기에, 만일에 테러와의 전쟁이 종식되고 경제 상황과 사회가 안정되며, 유럽처럼 세속주의가 대세가 된다면 언젠가 해당 지역들도 서양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2]
물론 기존 서양권 사람들이 생각하는 서양 국가의 개념에는 세속주의에 더해 암묵적으로 '안정적인 사회상'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기에 위의 나라들이 서양으로 간주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허나 아예 가능성이 없지는 않은게, 상술하였듯이 서양이라는 개념은 처음부터 지금같은 형태가 아니였다. 아일랜드러시아 등은 비교적 최근까지 유럽 취급조차 해주지 않았으며, 19세기 이전 서유럽에서는 아슈케나지 유대인이 동양적으로 간주되고 정교회도 동양적인 종교로 간주되었다. 지금의 유럽인들이 서로를 같은 서양인으로 인식한 것은 기독교 권력이 약화되고 세속주의가 대세가 되면서부터다. 다만 한국일본은 정치적·경제적으로 해당 조건에 부합하지만, 보통 '서방'으로는 간주되도 '서양'으로는 간주되지 않는다. 그만큼 한국과 일본은 여타 서양 국가들과는 역사적·문화적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3. 서양인


서양에 살면서 서양의 문화에 적응한 사람을 뜻한다. 동양인의 반대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지역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모든 민족과 인종을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이다. 동서양을 비롯해 동양인·서양인이라는 구분 개념은 사람마다 기준이 제각각이고, 과학적인 의미가 없다.

4. 오해와 편견



4.1. 금발벽안은 서양만의 특징이다?


대안우파, SJW는 서양 문명의 시초라고 생각하는 고대 그리스를 소재로 한 대중매체가 묘사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대개 금발벽안으로 등장해서 금발벽안의 서양만이 가진 고유한 특징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현재 서양에 흑발흑안이 있는 것은 유대인, 아랍인, 투르크인, 흑인, 몽골인의 유입 때문이라고 착각하고 있다.[3]
그러나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적으로 고대 그리스인과 고대 로마인은 북동유럽형 금발벽안의 백인보다는 북아프리카, 레반트, 아나톨리아 지역 등지의 흑발흑안의 백인이 다수라는 것이 증명되었고, 금발벽안 백인의 원천은 우크라이나와 캅카스 북부 지역이다. 이에 대해 고대 페르시아/이란사에 관해 책을 여럿 낸 바 있는 카베 파로크(Kaveh Farrokh) 박사는 고대 그리스인을 서유럽인처럼 금발벽안으로 묘사한 것은 영미권이 만든 편견이라고 비판했다.[4]

4.2. 서양 문명은 다른 문명에 비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했다?


현재까지도 유럽중심주의자들은 서양이 고대 그리스부터 민주주의를 발명하는 등 다른 문명들과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현대의 민주주의와 달리 1만명 이하의 도시 단위에서만 진행되었고 여성, 노예, 외지인에게는 참정권이 없었다. 또한 프랑스 혁명 직전까지 서양인들도 동양인들처럼 국왕들과 귀족들이 생산 수단을 장악해서 다수 대중들을 착취하거나 전쟁, 노역에 동원했으며 당시 기독교도 이성을 폄하하고 비합리적인 신앙을 우선시했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과학 혁명, 산업 혁명, 계몽주의가 서양 전체에서 발생한 사건이 아닌 영국, 미국, 프랑스에 한정되었다는 것을 증명했고 이러한 혁명들도 유럽 내에서 자체적으로 가능한 것이 아닌 아메리카 원주민, 중국 문명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라고 증명했다. 예수회 선교사는 16세기부터 중국과 교류를 하면서 당시 성행했던 기독교와 달리 유교는 인본주의 성향이 있고 이는 유럽인 자신이 믿던 신앙은 신으로부터 주어진 것이 아닌 인간이 만든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도 선교를 하는 과정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중 하나인 이로쿼이 부족들은 국왕, 귀족같은 소수 엘리트 집단이 독단적으로 정치하거나 경제를 장악한 것이 아닌 모든 부족원들이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을 만나면서 재산을 독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서양의 민주주의, 사회주의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과학 혁명과 산업 혁명이라는 것도 19세기 후반 제국주의 시대에 서양 역사학자들이 타칭한 것이고 당시에는 그걸 혁명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17세기 당시에 과학 혁명이라는 것은 당시에 성행했던 자연 철학이 과학의 바탕이 된 사건이고 산업 혁명도 자본가들의 이윤 추구기술의 바탕이 된 사건이다. 이는 서양인이 과학, 기술을 추구할 의도로 과학 혁명, 산업 혁명이 생겨난 것이 아니라 당시 영미권, 프랑스의 문명 풍토가 우연히 과학, 기술의 독특한 발전으로 결론이 난 것이다.

4.3. 서양 관념은 고대부터 있었다?


서유럽과 동유럽은 20세기에는 같은 서양으로 간주했지만, 중세 시대에는 로마 가톨릭동방 정교회로 각각 양분되어 있었고 이들은 십자군 전쟁 이전에도 성상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들은 서로를 다른 문화권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최초의 서양 제국이라고 평가받는 고대 로마도 게르만족을 야만인 취급했고, 라인 강 너머의 로마 영역 바깥의 유럽 지역보다는 로마 영토에 속했던 북아프리카, 아나톨리아, 레반트를 같은 문화권, 문명권이라고 생각했다. 다만 이런 관념은 8세기까지만 있었는데 이는 정통 칼리파 시대가 북아프리카와 레반트를 장악하여 서남유럽이 비잔틴 제국, 반달 왕국, 서고트 왕국과 교류가 단절되었기 때문이다. 그 전인 5세기에 게르만족서로마 제국를 장악하면서 게르만족이 살던 본토인 독일, 오스트리아,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가 서양 문명권에 편입되었고 7세기부터 비잔틴 제국이 동유럽에 동방 정교회를 선교하면서 우크라이나부터 시작해서 최종적으로 러시아까지 편입된 것이다. 다만 북유럽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부터 지리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있었기 때문에 기독교 전파가 가장 늦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개신교가 주류가 되었다.
프랑스 혁명이후로 문명을 구분하는 기준이 종교가 아닌 민족이 되면서 아일랜드, 남유럽, 동유럽은 종교보다는 과학적 인종주의[5]를 내세워 영국,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만이 고대 그리스, 로마의 직계 후손이며 나머지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영향을 받은 혼혈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6] 그러나 이런 관념은 나치 독일홀로코스트를 자행해 민족주의에 대한 회의여론이 커지면서 끝났다.

5. 여담


한국에서는 서양하면 영미권을 먼저 떠올리며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영미권은 엄밀히 말해서 서양의 부분집합에 해당한다. 나무위키에서도 두 단어를 혼용하는 서술을 볼 수 있는데, 서양이 가리키는 범위는 영미권 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영미권에만 해당하는 내용을 가지고 '서양에서는'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엄밀히는 틀린 말이 될 수 있다.

6. 관련 문서


[1] 구는 구라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럽을 한자음차한 말이다.[2] 만약에 해당 지역들이 서양으로 간주된다면 자국 내에서도 서양식 인종구분이 생길 것이며 이목구비가 오스트랄로이드니그로이드적인 사람은 흑인으로 간주될 수가 있다.[3] 아메리카에서도 히스패닉 때문에 금발벽안이 사라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그들은 히스패닉을 메스티소, 물라토, 삼보 같은 혼혈인로만 한정하고 있다.[4] 알렉산드로스를 금발로 묘사하다(네이버 블로그)[5] 현재는 사이비과학으로 간주된다.[6] 아일랜드도 금발벽안이 많은 지역이지만 잉글랜드 지배층의 반가톨릭주의 때문에 유색인종으로 간주되어 차별받은 곳이다. 그들은 당시 아일랜드인이 이베리아인이 바다를 건너서 생겨났다는 사이비 역사학을 내세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