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맨쇼

 


1. 혼자서 진행하는 쇼
2. 다른 사람에 비하여 너무 혼자 나섬을 비꼬아 이르는 말
3. 원맨팀


1. 혼자서 진행하는 쇼


solo performance
one-man show

2. 다른 사람에 비하여 너무 혼자 나섬을 비꼬아 이르는 말


[image]
프로스포츠계의 대표적인 나쁜 의미의 원맨쇼 전문가 코비 브라이언트
농구에서 특히 심하고 NBA에서 주로 볼호그(Ball Hog)라고 부른다. 공을 나눠먹을수 있는 단체 경기는 거의 다 발생한다. 축구할 때 공을 받고 자기 혼자 드리블이며 개인기며 하다가 뺏기는 친구 같은 경우다.
하지만 진짜 독보적으로 잘하는 사람에게 감탄의 의미로 쓰이거나 그런 형식으로 돌아가는 팀을 비꼬는 표현으로 쓰인다.
후자의 경우는 원맨팀이라고 더 많이 쓰이며 이런 팀이 잘 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기 때문에 대개 원맨쇼를 하는 사람은 영고라인에 입성하게 된다.

3. 원맨팀


파생어로 원맨팀(one-man team)이란 말이 있다. 말 그대로 팀이 있는데 자기 혼자만 활약을 하고 나머지 팀원들은 활약을 거의 전혀 못 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당연하지만 원맨팀은 '''결코 좋은 상황이 아니다.''' 팀의 에이스 1명만으로 성적을 유지하는 상황인데, 만약 그 에이스 1명이 사고라도 나서 당분간 경기 출전을 못 한다고 생각해보자. 그 팀은 곧바로 최하위권의 성적을 찍게 되고 재수없으면 팀이 해체된다. 스포츠의 세계가 그렇듯이 한 명만 매우 잘 하는 것보다는 여러 명이 적당히 잘 하는 게 낫다. 괜히 올림픽월드컵 등 전 세계 최고의 운동경기에서 참가국들이 원맨팀인 상황을 가장 경계하는 게 아니다.[1]
원맨팀을 먹여살리는 에이스를 소년가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kt 롤스터 - 이영호[2]
  • 화승 오즈 - 이제동
  • POS - 박성준[3]
  • Plus - 오영종[4]
  • 하이트 스파키즈 - 신상문[5]
  • eSTRO - 신희승[6]
  • Prime - 장현우[7]
  • CJ Entus - 김준호[8]
  • Afreeca Freecs - 유영혁 [9]
그 와중에 SK텔레콤 T1(도재욱, 김택용, 정명훈 등)은 워낙 에이스급 선수들이 타 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기에 원맨팀 소리를 듣지 않았다.
또한 야구, 축구 등 다른 스포츠에서도 팀은 암흑기인데 혼자 잘하며 팀을 이끌어가는 선수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5886899678 시기의 한화 이글스 류현진이 있다.

[1] 특히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은 개인보다는 단체로 모두 다 잘 해야 된다. 이러니 축구계, 야구계, 농구계, 배구계 등에서는 원맨팀인 상황을 가장 경계할 수밖에...[2] 08-09이전 한정. 이후로는 우정호김대엽이 그럭저럭 백업이 되면서 탈출.[3] 2004년까지는 변변찮은 약체팀이었으나 박성준이 질레트 스타리그를 우승하는 등 팀의 기둥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에도 박성준 의존도가 높은 팀이었으나 2005년 중반부터 박지호의 포텐이 터지면서 부담이 그나마 덜어졌고 이후 스폰서도 얻고 염보성, 김택용, 이재호 등이 속속들이 등장하며 원맨팀을 벗어난다.[4] 성학승, 박지호, 삼성준 등 팀을 떠받칠 재목이던 선수들을 다 내보내는 가운데 조정웅이 꾸역꾸역 키워낸 에이스. 오영종의 So1 스타리그 우승은 2004년까지만 해도 헥헥대던 Plus팀을 극적으로 살려낸 사건이었다. 이후 스폰서를 얻고 드래프트로 선수들을 키워내면서 오영종 원맨팀은 벗어나게 되지만 08-09시즌을 끝으로 이제동 원맨팀에 가까워진다.[5] 이쪽은 진정한 원맨팀을 보여주었다. 감독인 이유찬이 승부조작을 눈 감아주며 대놓고 독촉까지 한 것도 모자라 결국 원종서를 포함한 하이트 스파키즈 선수들의 대다수가 모조리 승부조작을 저지르게 되어 팀이 매우 크게 흔들렸고, 결국 CJ 엔투스에 합병되는 굴욕까지 당한다. 그 과정 동안 신상문이 팀의 감독까지 맡아가며 선수 활동을 했을 정도다.[6] 성적보다는 팀의 인지도와 가치를 끌어올리는데 기여했다. 신희승이 그나마 안습한 이스트로 선수들 중에선 개인리그에서 족적을 남긴 건 사실이지만, 프로리그 성적을 보면 원맨팀이라 하기엔 글쎄올시다 수준. 신희승의 플레이 스타일상 프로리그에서 안정적인 성적을 기대하긴 힘들었기 때문에 이스트로는 기복이 적고 안정적인 선수를 키워내려했고 그 결과가 박상우다.[7] 정훈이도 없고, 성주도 없고...[8] 프로리그 2016에서 혼자 18승 6패 찍을 동안 이 16승 35패를 찍었다(...). [9] 2020 시즌 1 팀전 한정. 8강에서는 그래도 팀원들이 전부 1인분 이상을 하며 성공적인 리빌딩이라고 평가 받았으나 4강 들어서는 오히려 유영혁만 혼자 고군분투 할 뿐, 나머지 4명은 1인분도 못해주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옛말. 시즌 2에서는 팀원들의 기량에 비해 유영혁이 걸림돌이 된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