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시내버스/차량

 


1. 개요
2. 현재 운용 차종
3. 과거 운용 차종
4. 여담


1. 개요


원주시 시내버스에서 운행했거나 운행중인 차량에 대해 서술한다.

2. 현재 운용 차종


  •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도입하였다. 2020년 현재 원주시 시내버스의 주력차종이다.
  •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2018년부터 현재까지 도입 중인 개선형 차량이다.
  •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도입하였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는 초저상버스 SE 모델로 도입하였고 저상버스 보조금 유용 등으로 원주시 시내버스에서 저상버스는 2013년 이후로 더 이상 도입하지 않는다.[1]

3. 과거 운용 차종


  • 현대자동차 에어로타운 디젤: 2005년 이후 중고로 도입한 버스로 전중문 폴딩형과 슬라이딩형이 공존하였다. 동신운수에서만 도입하였으며 전량 2001~02년식 6대였으며 이 중 1대만 전중문 폴딩형 차량이였다. 4대는 2010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버스로, 나머지 2대는 2012년 2월에 현대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
  • 현대자동차 E-에어로타운: 2005년 도입분이자 전문형 버스로 시외노선에 투입되었다. 현재는 동신운수에서 시외노선을 운행하지 않는다.
  • 현대자동차 HD160: 1977~79년 자체 출고분에다가 전문형을 매입해서 중문을 생성하여 전중문형으로 개조한 차량도 존재했다.
  • 현대자동차 HD170: 1980~81년에 도입하였다.
  • 현대자동차 FB485: 1982~85년에 도입하였다.
  • 현대자동차 FB500: 1986~91년에 도입해서 1998년까지 운행했다고 한다. 전중문 폴딩형도 많이 운행하였다.
  • 현대자동차 RB520L: 1986~91년 초까지 도입한 현대 리어엔진 도시형버스다. 2001년 초까지 생존하였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520L: 1994년까지 도입하였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540/에어로시티540L: 1993~95년 초에 도입하였다. 이 외에 시외노선에 스텐바디 전문형도 운행했었다.
  •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540/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540L: 1995년 첫 도입하여 2000년까지 많이 도입하였다. 1996~97년형으로 추정되는 중고차량 에어로시티540SL 도 있었다. 이 외에 좌석노선에 전문형도 운행하였다. 2010년까지 생존하였다.
  • 현대자동차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2000~04년에 도입하였고 당시만 해도 디젤차량으로 도입하였다. 사각램프 적용(2000~02년식) 차량 중에서 노란색 시트 적용 차량은 2012년 2월에 동신운수를 끝으로 모두 전멸되었고, 파란색 시트 적용 차량은 2012년 9~10월에 동신운수를 끝으로 모두 전멸되었다. 동글이 차량(2003~2004년식)은 2013년 중반에 동신운수를 끝으로 모두 전멸되었다.
  • 현대자동차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2005년에 태창운수가 천연가스버스 차량으로 2대 도입하였다. 2012~2013년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었다.
  •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2005년부터 2008년 초까지 도입한 현대 도시형버스다. 원주 첫 가스차량이기도 하다. 2018년 12월 당시만 하더라도 2007~08년식 차량이 일부 생존하였으나 2019년 1월 개편에 따라 남은 2007~08년식 9대가 감차로 인하여 말소됨에 따라 원주시를 포함한 강원도 전 지역에서 고상형 동글이 차량은 모두 전멸되었다. 이 중 1대는 저상 차량이었다. 남은 2007년식 9대가 말소되면서 2019년 1월 현재 원주시 시내버스 차량 중에서 구형 동글이 차량은 저상 차량 대도여객 1대만이 생존중이었으나 아래에 나와있듯 대차됨에 따라 전멸되었다.
  •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2007년부터 2008년초까지 도입한 저상버스다.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각각 보유하고 있었지만 동신운수의 차량은 폐차 되었고 대도여객의 경우 2019년 1월 기준, 1대만 운행중이었으나 2019년 6월 현재 19년식 NSAC 개선형 고상 차량으로 대차됨에 따라 원주시를 포함한 강원도 전 지역에서 구형 동글이 차량은 모두 전멸되었다.
  • 새한자동차 BF101: 1978년 말부터 1982년까지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1: 1983~86년 초까지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1Q: 대체로 1987~89년에 도입하였고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 대우자동차 BF105: 1994년까지 도입하였고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2003년까지 생존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5: 1994년까지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6 하이파워 디젤: 1993년부터 1998년 초까지 많이 도입하였다. 1994년까지는 '무냉방+철창틀' 형식으로, 1995년에는 '냉방형+철창틀' 형식으로, 1996년 부터는 2/3개폐창으로 도입하였다. 이 외에 2001년~2002년에 중고로 도입한 전중문 시내좌석형을 도입해서 원주시 일반도색으로 칠해서 운행한 적도 있었고, 구 흥기운수 출처 BS106L 1997년형을 중고로 도입한 적도 있었다.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디젤/천연가스버스: 본래 1998년부터 도입했는데 2001~02년에 한때 들어오지 않았다가 2003~05년에 들어왔다. 2005년에 한해서 가스차로 도입했는데 잔고장으로 인하여 2012년에 조기대차되었다.
  •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태창운수가 2005년에 가스차량으로 2대 도입하였었다. 단, 잔고장으로 인하여 2대 모두 BS106 로얄시티처럼 2013년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었다.

4. 여담


그 유명한 현대 동네인 울산전주마저 뛰어넘는 현대빠로[2] 2015년에 최후의 BS106이 대차된 후로는 현대 원메이크며, 이는 전국 시 단위 지역 중에서 똑같은 케이스로 목포, 순천, 포항, 여수가 있다. 또한 같은 도 내 도시인 춘천시 시내버스 또한 현대빠로 유명하지만 이쪽은 아직 자일대우버스가 몇대 존재한다.
에어컨은 DNKA(덴소풍성), 동환산업, 갑을오토텍 제품을 혼용하여 장착한다.
자동변속기 차량과 수동변속기 차량 모두 운용하고 있다. 자동변속기는 주로 ZF를 이용하지만 앨리슨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저상버스앨리슨만 적용하는 춘천과 달리 ZF와 앨리슨을 혼용하며, ZF의 비율이 높다.[3]
1970~80년대에는 대우 차량과 현대 차량을 골고루 도입했으며, 1980년대 후반만 해도 주로 프론트엔진 형식으로 도입했고 리어엔진 형식은 소수만 도입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부터 리어엔진 형식을 많이 도입했고 1995년부터 냉방도시형을 의무 출고했으며, 2005년부터 가스차량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강원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지만, 춘천시, 강릉시와 비교했을 때 프론트엔진 버스 및 중문 폴딩형 마지막 출고시기가 늦으며[4], 전기버스를 도입할 계획도 없다.[5][6]

[1] 반대로 춘천시 시내버스는 2012년부터 일반 차량을 도입하지 않고 저상 차량들로만 도입하기 시작한다.[2] 울산여객에 2011년식 BS090 1대가 남아 있었으나, 2020년 4월에 대차되어 자일대우의 광폭 차량은 울산에서 전멸했다. 그 외에는 지선, 마을버스에 레스타들이 있다. 현대 상용차 공장이 있는 전주는 현대차가 대부분이지만 자일대우와 에디슨모터스의 차량이 소수 존재한다.[3] 앨리슨 변속기는 2012년에 도입한 태창운수 10대 밖에 없다.[4] 중문 폴딩형식은 실질적으로 강릉시에서 마지막으로 도입했다. 원주시는 1994년 BF105 가 마지막이었고 강릉시는 동진버스에서 2001년에 BM090을 폴딩형으로 출고했었다. 물론 원주에도 2000년대 초반형식 에어로타운 폴딩중문형도 있었으나 자체 출고분이 아닌 2005년쯤에 중고로 출고했던 차량이다. 춘천시는 1983~84년부터 중문 슬라이딩형만 도입했고, 오히려 속초시와 동해시, 고성군에서는 강원여객과 동해상사 차량들로만 운행했기에 1980년대 중반 이후 출고된 버스로는 리어엔진형에 중문 슬라이딩형으로만 이루어져 있었다.[5] 강릉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없지만 도내 최초로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횡성군에 본사가 있는 디피코의 HU-SKY는 명성교통을 시작으로 춘천 춘천시민버스, 삼척 강원여객, 속초 동해상사에서도 도입했다.[6] 참고로 강원도에서 대형 전기 저상버스를 굴리는 지역은 강릉시(포톤 그린어스, 킹롱 시티라이트)와 춘천시(뉴 E-화이버드, 하이거 하이퍼스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