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사령부

 





1. 개요
2. 상세
3. 대한민국 국군의 작전사령부 목록
4. 여담
5. 타국의 경우
6. 관련 문서

  • 한자: 作戰司令部
  • 영어: operation command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에서 육군, 해군, 공군의 전술제대 중 가장 큰 단위의 전술제대이다.

2. 상세


육군의 경우 지상작전사령부제2작전사령부로 전, 후방 2사령부 체제이며, 해군공군은 부대단위의 하나이다. 작전사령관지휘관으로 보임된다.[1] 전술부대를 이끄는 전술제대 중에 가장 큰 급으로, 작전 체계에서 합참 바로 밑에 위치한다.
약칭은 작사를 쓴다. 지작사, 2작사, 해작사, 공작사. 작사 휘하에는 육군의 경우 예하 각 군단,[2] 공군의 경우 공군기능사령부를 배치하며 해군은 함대/기능사령부[3]를 배치한다.
각 군 본부의 바로 아래이지만, 각 군 본부의 직할부대(육군의 경우 육직부대)로 여겨지진 않는다. 작전부대이다보니 지원부대가 상당수인 각 군 본부 직할부대와 다르게 각 군 본부보다는 합동참모본부의 입김을 더 많이 받는다. 특히 육군의 경우, 각 작전사령부의 모체가 각 야전군사령부였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3. 대한민국 국군의 작전사령부 목록



  • 해군
    • 해군작전사령부
    • 해병대사령부/서북도서방위사령부[4]

4. 여담


  • 언뜻 보면 대한민국 육군은 대한민국의 국력크기상 필요가 없는 편제처럼 보일 수 있다. 군단 바로 위가 육군본부가 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예하 군단의 숫자도 많고 전시에 예비군이 충원될 경우 늘어날 규모도 고려해야하고 지상작전사령관이 지상군구성군사령관까지 겸하는 만큼 대장보직을 달아줄 필요가 있기도 하다. 그 이외에도 정치적 이유로는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의 계급을 대장으로 강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데 군단 바로 위를 육군본부로 할 경우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중장으로 격하된다. 그렇게 되면 한미연합사령관 역시 중장으로 급이 격하될 가능성이 생기며[5], 지휘관의 계급이 낮아진다는 것은 곧 부대규모가 축소됨을 의미한다.

5. 타국의 경우


미군 같은 경우에는 육군전력사령부(U.S. Army Forces Command), 해군함대전력사령부(U.S. Fleet Forces Command), 공군전투사령부(Air Combat Command)가 한국의 작전사령부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 당연히 크고 아름다운 미군의 특성상 모두 4성급 보직이다.
자위대의 경우엔 육상자위대육상총대, 해상자위대에선 자위함대, 항공자위대에서는 항공총대가 비슷한 역할을 한다.

6. 관련 문서



[1] 통상적으로 대규모 정규 야전군급인 육군의 경우 대장이 해, 공군의 경우 중장이 보임된다.[2] 2작사 예하는 각 후방 사단[3] 현재는 기능사령부는 잠수함사령부만 존재하며, 제6항공전단도 장기적으로는 항공사령부로 개편할 예정이다. 이와는 별개로 제7기동전단 또한 전력을 강화하여 1, 2, 3함대와는 별도의 기동함대로 재편성할 예정.[4] '작전'이라는 명칭은 없지만, 엄연히 작전사급 부대로 대우한다.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작전사령관을 거치지 않고 합동참모의장(군령)과 해군참모총장(군정)으로부터 직접 지휘를 받는다.[5] 물론 연합사령관 밑에 중장이 여럿 있으니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는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