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1기)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대하여'''
転生したらスライムだった
That Time I Got Reincarnated as a Slime
기타 키 비주얼 ▼
[image]키 비주얼 2
[image]키 비주얼 3}}}}}}}}} ||
[image]키 비주얼 2
[image]키 비주얼 3}}}}}}
작품 정보 ▼
'''장르'''
이세계 전생, 판타지, 영지, 마왕
'''원작'''
후세(伏瀬)
밋츠바(みっつばー)
카와카미 타이키(川上泰樹)
'''감독'''
키쿠치 야스히토(菊地康仁)[24]
'''부감독'''
나카야마 아츠시
'''시리즈 구성'''
후데야스 카즈유키
'''캐릭터 디자인'''
에바타 료마
'''몬스터 디자인'''
키시다 타카히로
'''총 작화감독'''
에바타 료마
카츠라 켄이치로
타카오카 준이치(高岡じゅんいち)
마메즈카 타카시(豆塚 隆)
'''이펙트 감수'''
우메다 타카시(梅田貴嗣)
'''미술 감독'''
사토 아유미(佐藤 歩)
'''미술 보드'''
마스다 켄타(益田健太)
사토 아유미
'''미술 설정'''
후지세 토모야스(藤瀬智康)
사토 마사히로(佐藤正浩)
'''색채 설계'''
사이토 마키(斉藤麻記)
'''촬영 감독'''
사토 히로시(佐藤 洋)
'''CGI 프로듀서'''
하이바라 유지(生原雄次)
'''그래픽 디자이너'''
'''편집'''
진구지 유미(神宮司由美)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음악'''
Elements Garden
'''음악 제작'''
란티스
'''애니메이션 제작'''
8-Bit
'''제작'''
전생슬라임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8. 10. 02. ~ 2019. 03. 26.
'''방송국'''
[image] 도쿄 MX, BS11 / (화) 00:00
[image] 애니플러스 / (화) 23:30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전25화+OAD 5화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주제)
19세 이상 시청가 (OAD)
'''관련 사이트'''
,
}}}
1. 개요
2. PV
3. 주제가
4. 회차 목록
5. 에피소드 가이드
6. 평가
7. 기타

[clearfix]

1. 개요


라이트 노벨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1기.
애니메이션은 작가인 후세가 애니화를 거부하여 제작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2018년 3월 7일 결국 가을에 애니가 방영된다는 발표가 났다. 분량은 2쿨. 내용은 우선 만화를 기본으로 하는 듯 하다.
국내 수입사는 애니플러스.
미국에서도 동시 방영이 이루어지며, 한국과 달리 10월 23일부터 현지어 더빙으로도 방영되었다.#

2. PV


티저 PV
1차 PV


2차 PV
3차 PV



3. 주제가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에 대하여 여는 노래 1'''

'''TV ver.'''
[kakaotv(393265355, width=100%)]
'''Full ver.'''
'''제목'''
Nameless story
'''노래'''
테라시마 타쿠마
'''작사'''
'''작곡'''
아게마츠 노리야스
'''편곡'''
후지타 준페이(藤田淳平)
'''콘티'''
에바타 료마[1]
'''연출'''
'''원화'''
'''작화감독'''
분명 1쿨 오프닝이지만, 2쿨에서 다룰 내용 비중이 많다.[2][3][4]오히려 1쿨 최종보스인 오크로드가 사이드로 밀려나고 2쿨에 가서 나올 히나타가 리무루와 싸우며 포스 있게 등장한다. 사실상 오크로드 등장씬만 다른 장면으로 대체하면 2쿨 오프닝으로 우려먹을수도 있을 정도.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에 대하여 닫는 노래 1'''

'''TV ver.'''

'''Full ver.'''
'''제목'''
Another colony
'''노래'''
TRUE
'''작사'''
카라사와 미호
'''작곡'''
나카노 료타(中野領太)
'''편곡'''
BBC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에 대하여 여는 노래 2'''

'''TV ver.'''

'''Full ver.'''
'''제목'''
순회자(メグルモノ)
'''노래'''
테라시마 타쿠마
'''작사'''
'''작곡'''
쿠와바라 사토루(桑原 聖)
'''편곡'''
사카이 타쿠야(坂井拓也)
'''콘티'''
우메다 타카츠구
'''연출'''
'''작화감독'''
우메다 타카츠구
에바타 료마
1쿨 때와 달리 라미리스와 베레타가 나오는 분량까지 나왔다.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에 대하여 닫는 노래 2'''

'''TV ver.'''

'''Full ver.'''
'''제목'''
리틀 솔저(リトルソルジャー)
'''노래'''
타도코로 아즈사
'''작사'''
키미코(きみコ)
'''작곡'''
아라타메 슌(新田目 駿)
'''편곡'''
호리에 쇼타(堀江晶太)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4. 회차 목록


'''회차'''
'''제목'''[5]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TVA'''
제1화
暴風竜ヴェルドラ
폭풍룡 베루도라

키쿠치 야스히토
(菊地康仁)

나카야마 아츠시
요네자와 마사루
[1인원화]
(米澤 優)

에바타 료마
日/韓:
2018.10.02.

하이라이트
제2화
ゴブリンたちとの出会い
고블린들과의 만남

코지마 마사시
(小島正士)

이노카와 신타로
(井之川慎太郎)

요시다 류이치로
(吉田龍一郎)
是本品

日/韓:
2018.10.09.

하이라이트
제3화
ゴブリン村での戦い
고블린 마을에서의 싸움

카나사키 타카오미
토사카 신
(登坂 晋)

와다 신이치
(和田伸一)
니노미야 나나코
(二宮奈那子)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じゅんいち)

日/韓:
2018.10.16.

하이라이트
제4화
ドワーフの王国にて
드워프의 왕국에서

요시다 타이조
(吉田泰三)

谷澤篤金
요시다 마사유키
(吉田正幸)
츠카모토 아유무
(塚本 歩)
야나세 조지
(柳瀬譲二)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8.10.23.

하이라이트
제5화
英雄王ガゼル・ドワルゴ
영웅왕 가젤 드워르고

타카오카 준이치
모리 요시히로
(森 義博)

야마우치 노리야스
(山内則康)
코바야시 토시미츠
이토지마 마사히코
(糸島雅彦)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8.10.30.

하이라이트
제6화
シズ
시즈

코지마 마사시
이토 야스히로
(伊東康裕)

요시다 류이치로
코지마 아키라
(小島 彰)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이시이 카오리
(石井かおり)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8.11.06.

하이라이트
제7화
爆炎の支配者
폭염의 지배자

나카야마 아츠시
요네자와 마사루
[1인원화]

日/韓:
2018.11.13.

하이라이트
제8화
受け継がれる思い
계승되는 마음

테라히가시 카츠미
(寺東克己)

도야마 타쿠미
(堂山卓見)

오자와 사에코
(小澤早依子)

마메즈카 타카시
(豆塚 隆)

日/韓:
2018.11.20.

하이라이트
제9화
大鬼族の襲撃
오거의 습격

토사카 신
사카이 히데키
(酒井秀基)
요시다 마사유키
와다 신이치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8.11.27.


제10화
オークロード
오크 로드

나무라 히데토시
(名村英敏)

谷澤篤金
츠카모토 아유무
야나세 조지
니노미야 나나코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8.12.04.


제11화
がビル参上!
가비루 등장!

요시다 타이조
사사하라 요시후미
(笹原嘉文)

마츠이 케이이치로
(松井啓一郎)
오자와 사에코

마메즈카 타카시
日/韓:
2018.12.11.

제12화
狂いゆく歯車
틀어지는 톱니바퀴

나와 무네노리
(名和宗則)

모리 요시히로
카지우라 신이치로
(梶浦紳一郎)
코바야시 토시미츠
이토지마 마사히코
야마우치 노리야스

마메즈카 타카시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8.12.18.

제13화
大激突
대격돌

이타다키 신지
(頂 真司)

나카야마 아츠시
요시다 마사유키
요시다 류이치로
츠카모토 아유무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8.12.25.

제14화
全てを喰らう者
모든 것을 삼키는 자

코지마 마사시
이토 야스히로
야나세 조지
와다 신이치
코지마 아키라
이토 야스히로

마메즈카 타카시
日/韓:
2019.01.08.

제15화
ジュラの森大同盟
쥬라의 숲 대동맹

테라히가시 카츠미
야마다 아키라
(山田 晃)

우에하라 후미야
(上原史也)
하라다 미네후미
(原田峰文)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9.01.15.

제16화
魔王ミリム来襲
마왕 밀림 내습

키쿠치 야스히토
코지마 마사시

나와 무네노리
코지마 아키라
미나미 신이치로
와다 신이치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사카이 히데키
요시다 류이치로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9.01.22.

제17화
集う者達
모이는 자들

코지마 마사시
토사카 신
오오니시 요이치
(大西陽一)
사카이 히데키
시미즈 히로유키
(清水博幸)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9.01.29.

제18화
忍び寄る悪意
조용히 다가오는 악의

코지마 마사시
키쿠치 야스히토

모리 요시히로
야마우치 노리야스
코바야시 토시미츠
이토지마 마사히코
사루와타리 세이카

카츠라 켄이치로
日/韓:
2019.02.05.

제19화
暴風大妖渦(カリュブディス)
폭풍대요와 (카리브디스)

키쿠치 야스히토
요시다 리사코
(吉田りさこ)

나카야마 아츠시
토미오카 타카시
(冨岡隆司)
요시다 마사유키
츠카모토 아유무
오오니시 요이치
시미즈 히로유키
와다 신이치
나카지마 요시코
요시다 류이치로
코지마 아키라

마메즈카 타카시
日/韓:
2019.02.12.

제20화
ユウキ・カグラザカ
유우키 카구라자카

코지마 마사시
谷澤篤金
와타리 유지
(度會竜司)
모리 에츠히토
(森 悦史)
이마오카 히로시
(今岡 大)
이토 토모코
(伊藤智子)
야기사와 슈헤이
(八木澤修平)
니노미야 나나코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9.02.19.

제21화
シズさんの教え子達
시즈 씨의 제자들

테라히가시 카츠미
야스카와 오우리
(安川央里)

요시다 와카코
(吉田和香子)
요네자와 마사루
우이케 카즈마
(鵜池一馬)
마츠모토 히로시
(松本 弘)
마츠이 리와코
(松井理和子)
카도 토모아키
사이토 카즈야
(斉藤和也)

마메즈카 타카시
日/韓:
2019.02.26.

제22화
迷宮攻略
미궁 공략

이타다키 신지
후카세 시게루
(深瀬 重)

시미즈 타쿠마
(清水拓磨)
카키하타 후미노
(柿畑文乃)
王 悦春
타키자와 마유
(瀧澤茉夕)
김해숙
(金海淑)

사카이 히데키
日/韓:
2019.03.05.

제23화
救われる魂
구원되는 영혼

코지마 마사시
토사카 신
코지마 아키라
시미즈 히로유키
츠카모토 아유무
나카지마 요시코
요시다 류이치로
와다 신이치

타카오카 준이치
日/韓:
2019.03.12.

외전
(外伝)

黒と仮面
가면
[6]
이타다키 신지
나와 무네노리
에바타 료마
키쿠치 야스히토
토미오카 타카시
요시다 마사유키
우메다 타카시
(梅田貴嗣)
니노미야 나나코
우이케 카즈마
오오니시 요이치
카도 토모아키
타카오카 준이치
코지마 아키라
와타리 유지

에바타 료마
日/韓:
2019.03.19.

한담
(閑話)

ヴェルドラ日記
베루도라 일기

디렉터: 나카야마 아츠시
日: 2019.03.26.
韓: 2019.03.28.

'''OVA'''
OAD1
Mの悲劇?
M의 비극?[7]

코지마 마사시
이노카와 신타로
코지마 아키라
요시다 류이치로
후지타 마사유키
와다 신이치
우이케 카즈마
카도 토모아키
시미즈 히로유키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9.07.09.
韓: 2019.07.28.

OAD2
HEY!尻!
HEY! 엉덩이![8]

요시다 타이조
나카다 마코토
(中田 誠)

우에하라 후미야
이치시바 타케시
(一芝剛志)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9.12.04.
韓: 2019.12.29.

OAD3
リムルの華麗な教師生活 その1
리무루의 화려한 교사 생활 첫 번째

나카야마 아츠시
요시다 와카코
요시다 류이치로
시마자키 노조무
(島崎 望)

사카이 히데키
日: 2020.03.27.
韓: 2020.06.07.

OAD4
リムルの華麗な教師生活 その2
리무루의 화려한 교사 생활 두 번째

이타다키 신지
후카세 시게루
시미즈 히로유키
하기와라 세이지
(萩原省智)
토쿠다 타쿠야
(徳田拓也)
아오키 유코
(青木裕子)
사츠키 마호
(五月麻帆)

日: 2020.07.09.
韓: 2020.07.12.

OAD5
リムルの華麗な教師生活 その3
리무루의 화려한 교사 생활 세 번째





日: 2020.11..
韓: 2020.11.27.

[1] 혼자서 거의 다 그렸다고 보면 된다.[2] 밀림과 마왕들, 십대성인과 그 총단장인 히나타. [3] 심지어 히나타가 나오는 장면 뒤에 짧게 백빙룡 베루자드와 기이 크림존의 모습도 짧게 지나간다![4] 심지어 클로노아(클로에)는 3기 중반에 나올것 같으나 잠시 나온다!!![5]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인원화] A B [6] 시즈와 디아블로의 만남을 그리는 애니 오리지널 스토리라고 한다.[7] 애니플러스에선 2편으로 등록되어있다.[8] 애니플러스에선 1편으로 등록되어있다.

5. 에피소드 가이드



2화부터 고블린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자, 같은 시기에 나온, 다른 동네의 고블린[9]과 비교되고 있다. 같은 고블린인데 그려지는 이미지나 분위기가 딴판이기 때문.
7화에서는 코믹스 기준으로 내용의 변경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리무루가 이플리트를 패퇴시키는 방법이 쓰러뜨리는 게 아니라 먹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먹히고 나서 이플리트가 리무루 몸속에서 나갈려고 불꽃을 쏘지만 아무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고, 베루도라의 목소리가 들리면서 모습을 어둠 속에서 천천히 드러내고 확실히 상대해주겠다며 사악하게 웃어주는 것으로 끝난다.
8화에선 시즈의 사후 행적이 나왔는데 리무루에게 흡수된 후 안개속에서 용사와 피리노, 피즈의 모습을 발견하고 달려가는데 용사가 어딘가를 가리키곤 사라졌다.[10] 직후 그 방향엔 어릴적에 살았던 집과 어머니가 있었고 그곳을 향해 어릴적 모습(이세계로 소환되기 전의 모습)으로 변해가면서 어머니의 품에 안기는 감동적인 모습이 추가되었다.
9화에서는 분신을 사용하여 자신의 성별을 알아보는데, 코믹스에서 대현자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과는 달리 스스로 추리하여 분신 사용할 수 있냐고 대현자에게 물어본다.
10화에서 오거 일행에게 이름을 지어줄 때 지어주려고 하다가 쓰러진 뒤 깨어났더니 이미 명명한 상태라고 되어있어서 '이름을 지어주기도 전에 쓰러지지 않았나?'하고 의문이 나오는 전개가 됐다. 필름이 끊겼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지만, 보는 사람 입장에선 헷갈릴 수 있을 만한 연출이었다.[11]
11화에서는 이후 오거들의 변화된 모습과 일상 가비루와의 만남 드라이어드 트레이니의 토벌의뢰까지 한화만에 속전속결로 진행되었다.
12화에서는 리무루진형의 선택과 리저드맨진형의 상황 그리고 습지전투까지 바로 전개되었다. 그러면서도 수령쪽이 한 선택은 스킵하고 가비루의 실수쪽을 보여주는것을 극대화했다.
13화는 리무루를 제외한 메인 캐릭터들의 전투신으로 전개를 집중했다.
14화부터 ED이 2쿨 버전으로 변경되었다. 오크 디재스터와의 싸움 이후 인간형 리무루의 머리카락이 길어졌다. 그리고 코믹스와는 달리 게르뮈드가 말하는 그 분의 등장은 없었다.
15화부터 OP도 2쿨 버전으로 변경되었고 ED 또한 정식 영상으로 변경되었다. 코믹스와 비교하면 자잘한 부분들은 스킵되기 시작했다.
18화에서는 코믹스에서 생략된 포비오 일행의 행적이 나왔는데 포비오는 풋맨, 티어의 제안을 받아들여 카리브디스가 봉인된 장소로 찾아갔고 그의 부하들은 포비오의 명령으로 되돌아갔다. 이후 리무루가 블루문드 길드장에게 자신은 전생에 인간이었고 시즈와 같은 세계 출신임을 밝힌다.
19화에서 카리브디스편이 종료되면서 남은 분량은 5화 정도. 1쿨 오프닝에서의 히나타와의 전투장면은 원작 홍보용으로 넣은것으로 추측된다.
20화에선 유라자니아의 사절단 조우, 드워프 왕국 재방문, 카발 일행과의 짧은 동행, 모험가 길드 시험 등이 통째로 생략되었다.[12] 또한 소환된 탓에 완결까지 보지 못한 만화나 게임에 대한 정보들이 자세히 설명되었다.[13] 물론 저작권 때문인지 유우키가 타이틀을 말하려다가 중간에 끊어서 안타까운(...?) 비보를 전하는 식으로 대화가 진행됐다.[14] 그리고 리무루가 클로에를 볼 때 '''베루도라가 반응하는데''' 이건 아무리 봐도 11권 떡밥인듯[15]
21화에선 우려대로 폭풍스킵이 시작되었다. 모의전이 끝나고 리무루가 맨얼굴을 드러냈지만 애니에선 처음부터 가면을 벗었다. 또한 모의전도 단체로 싸우지 않고 1 대 1로 싸웠다.[16] 스카이 드래곤과 싸울 때에 어른으로 변신하는데, 9화에서 분신을 사용하여 어른이 된 것과는 분위기가 다르다.[17]그리고 그 후 묘르마일과의 만남도 유우키의 소개로 몇마디 나누었을 뿐이었다. 코믹스에서 묘르마일이 리무루를 알게 된 경위가 구체적이었던 것이 비해, 애니에서는 어른의 사정으로 모습과 형태가 변한 리무루를 그냥 알아보게 된다. 또한 아이들에게 상위 정령을 깃들이게 하는 것도 코믹스에서는 여러 정보통을 통해 알게 되지만, 애니에서는 스스로 추리한다. 정령 여왕의 거처를 알아낼 때에는 점술사 엘프가 아닌 묘르마일의 가게의 가린 비대칭머리인 여종업원에게서 정보를 얻었다.
22화에선 코믹스와 달리 리무루가 자신이 슬라임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23화에선 정령 소환과 리무루가 템페스트로 돌아가는 부분까지 진행되었다. 정령 소환의 경우 코믹스에서는 각각 상위 정령들을 소환하여 융합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애니에서는 켄야와 오벨을 제외하고 하위 정령들 포식해서 변질자를 이용해 합체시킨 다음 의사 상위 정령으로 만들어 준 다음에 융합시켜 주는 것으로 끝냈다. 베레타 제작 장면은 리무루의 나레이션으로 언급되는 식으로 짤막하게 나왔다. B파트의 대부분은 이전 주요 장면들을 ost와 함께 회상하는 식으로 때웠다. 이후 엔딩에서 주요 인물들의 근황을 보여주고 히나타가 잠깐 등장하고 리무루의 독백을 끝으로 본편이 마무리되었다. 24화, 24.5화에선 원작자가 참여한 오리지날 외전이 방영된다.
24화에서는 리즈 시절 시즈디아블로의 이야기를 다룬다.
최종화인 24.5화는 7화 마지막 부분에서부터 이어지는데 원래라면 격리될 이프리트를 베루도라가 따로 불러 심심하니까 같이 장기를 두게 한다. [18] 이후 배경으론 총집편 형식의 1기 장면들이 나오고 베루도라와 이프리트의 만담 형식이 나레이션으로 깔린다. 리무루의 지식을 통해 현대 인터넷 용어들을 쓰는 베루도라가 압권이다.[비하인드] 마지막 장면에서 이프리트가 히나타를 알아보는 것으로 2기 떡밥과 함께 완결된다.
OAD는 푹신푹신한 베게의 소재를 찾기 위한 여행이야기. OAD답게 서비스신 장면이 나온다. OAD 2화는 수면제를 복용한 리무르의 꿈 내용이다. 내용은 문자 그대로 아시발꿈 + 경녀 + 개념은 안드로메다로.

6. 평가







그림체 쪽은 좀 말이 있어도 1화는 꽤 고퀄리티의 연출과 동화를 보여주고 이후로도 계속 내용이야 어떻든 영상만은 균질한 품질을 보여주는 중. 그 외 일부 연출이 샤프트틱 하다는 평.
일견 거슬릴 수 있는 대현자 스킬이나 이외 겜판소 같은 요소, 그리고 쓸데없이 장황하고 길기만 한 무의미한 해설을 적절한 시각 설명을 넣고 아예 대놓고 제작사 명칭답게 8비트스러운 BGM과 드래곤 퀘스트스러운 연출을 첨가하고 간략화 하는 것으로 부담감을 줄였다. 그외 2화에서 쓸데없는 분량을 적절히 축약해 필요없는 부분만 쳐내고 의외로 중요한 부분의 스킵 없이 넉넉하게 진행되었다. 애초의 전생슬의 문제점이 글로 쓰면 장황하게 길지만[19] 영상화하면 한없이 짧아질 만한 부분들이 많았기 때문인데 애니는 그런 단점이 없다.
실제로 3화에서 아랑족과의 전투가 '''7분''' 정도로 끝나면서도 중요 부분은 다 챙겼다. 그것도 전투 전의 준비까지 다 쳐서.
같은 제작자에서 1년전 방영한 비슷한 작품인 나이츠 & 매직도 품질은 꽤 균일했었기에 애니화 퀄리티 자체는 기대해 볼 만한 편.
성우들의 연기 또한 상당한 수준. 리무루허당용(...)의 목소리도 감정이 강하게 녹아 있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
소설본과 비교해서 묘사와 대사가 바뀐 부분이 좀 있는데, 오프닝의 인간 형태는 '시즈'라는 인물을 기반으로 한 형태이며 1권 결말 즈음에나 가능해지는지라 막 나와 인간을 보기 전인 리무루는 설정상 나올 수 있는 모습이 아니다. 또한 마광석에 대한 설명또한 상당히 앞댕겨졌는데, 이는 애니와 소설의 서술과 전달법의 차이와 애니의 분량상 이후에 일일히 묘사할 분량을 배치하기 힘든것 때문으로 추정. 세부 대사도 연출과 재미를 위해서인지 미묘하게 달라졌다. 심지어 서적에 없는 신규 장면을 추가하기도 한다.
오프닝, 키 비주얼 속 인물들을 보면 최소 4권까진 진행할 듯 보인다. 8화 시점에서 막 1권 분량까지 진행되었다. [20]
또한 디아블로의 설정화와 성우가 공개되면서 후반부쯤에 대대적인 스킵 혹은 오리지날 전개로 나가는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21] 23화 엔딩곡이 나온 이후, 짧게 베레타가 먼저 소환된 걸 아쉬워 하는 장면으로 첫 출연했다.
일단 23화까지가 본편이고 24화는 오리지날 외전편이라고 한다. 어쩌면 서적판에서 디아블로가 언급했던 시즈디아블로의 관계가 나올지도 모른다. 만약 그런다면 애니 오리지널인것도 말이되고 디아블로 성우와 설정화가 드러나는 이유도 된다. 25화는 베루도라의 외전 이야기.
중반부가 방영될 당시 일찍 설정화가 공개된 디아블로, 라미리스 등은 결국 최후반부에 단역 수준의 분량만 출연했다. 1쿨 오프닝에서 나온 히나타와의 일기토 장면은 사실상 팬서비스나 다름없는 셈이다.
정리하자면 전체적으로 오프닝 낚시질이 눈에 띄고 인상적이다. 리무루 vs 히나타 말고도 특히 원작에서도 얼빵하기로 유명한 라미리스가 흑막 포스를 뿜어내고 있는 장면은 같이 웃으라고 넣은 걸 알 수 있다. 물론 원작 팬들은 분량상 나오기 힘든 사람들이 대거 참여 하는 것을 단박에 눈치챘고 팬서비스로 여기는 중. 하지만 혹시 히나타와 리무르의 싸움을 시작하는 동시에 1기를 마무리 짓지 않을까 기대했던 팬들은 많이 아쉬워했다. 게다가 후반부의 폭풍 스킵[22]과 개운치 못한 마무리가 더더욱 그렇다. 그리고 안그래도 캐쥬얼 했던 원작 분위기가 애니화 되면서 슈퍼 캐쥬얼로 변했다(...).[23] 그래도 의외로 잔인한 장면들이 검열 없이 나오므로 너무 아동틱하진 않고 전투신이 박진감 넘치기 때문에 작화면에서 그리 큰 비판은 받지 않았다.
1권 BD / DVD 판매량은 7,148장.

7. 기타


  • 국내의 25화 방영이 2일 연기됐다. 원래 화요일 23시 30분에 본방을, 목요일 23시 30분에 재방을 했으나 본방 시간에는 전 화인 24화의 재방을 하고 재방 시간대였던 목요일에 25화 본방을 했는데 문제는 사전에 공지가 없었다.
[9] 참고로 국내 수입사도 같다.[10] 서적판은 그냥 용사만 나온다.[11] 사실 코믹스와 동일한 연출이다.[12] 이로인해 코믹스와 달리 변경점이 생겼다. 밀림이 템페스트를 떠날때 목욕중에 떠나고 리무루, 시온, 슈나, 소우카, 에렌이 '''절대 속지말라고''' 거듭 강조한다(...) 이에 밀림은 자긴 똑똑하니까 절대 안 속는다고 플래그를 세운다(...) 또한 시즈의 기억을 다시 떠올리는 장면의 경우 코믹스에선 드워프 왕국에서 몰래 술집 갔다가 걸려서 시온의 요리형 도중 주마등(...)으로 떠올랐지만 애니에선 숙면 도중 갑작스럽게 떠오르는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애니 17화에서 밀림에게 만들어 주겠다고 약속한 무기는 그냥 넘어간 듯 하다. (...) [13] 원작에서는 강X의/연철의 연금술사만 나온다.[14] 이때 언급된건 19탄까지 제작된 FFS, 아직도 연재중인 유리가면, 리무루의 기억을 컬러로 종이에 새긴 잡지 표지의 보석의 나라 등이다. 이름이 안 나온 작품 중 베르단디는 아무리 봐도 요거이고, 그 외에 리무루가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의 완공이 가깝다고 언급한다.[15] 11권에서 베루도라를 봉인한 건 시간을 도약한 클로에(정확히는 그 안에 있는 히나타)로 밝혀졌다.[16] 클로에를 볼 때도 어디서 보거나 그리운 느낌이 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무서운 아이 패러디를 한다. 또한 아이들에게 보여준 잡지는 장국의 알타이르.[17] 실은 여성형에 가까운 모습이 아닌 중성적 모습으로 변했기 때문이다[18] 만담의 반절이 장기에 관한 룰 설명이나 장기 진행상황 등이고 베루도라가 장기에서 꼼수를 쓰는걸 들키자 웃음이나 2쿨 엔딩곡을 부르는 식으로 얼버무려 넘어가려고 한다(...)[비하인드] 1화에서 리무루가 베루도라에게 찾아올때 300년만에 발성연습을 하고 첫인상을 어필하기 위해 고심끝에 1화에서 나온 대사로 정했다고 한다(...) 거기다 시즈의 제자들에게 정령을 깃들게 할때 함께 파이팅하면서 응원까지 하고(...)[19] 비판 항목에도 있지만 전생슬은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부분을 일일히 길고 지루하고 장황하게 해설하는 경향이 많다. 그걸 영상화하면서 필요없는 해설을 삭제하고, 해설이 아닌 장면으로 대체한 것.[20] 다만 2권과 3권은 새로운 등장인물이 나오고 각권의 최종보스(오크로드, 카리브디스)와 싸우는정도가 주 내용인지라 이런저런 설정을 말하고 리무루와 마을의 성장의 초석을 쌓는등 생략할만한 건덕지가 적은 1권에 비해 생략할만한 내용이 많기 때문에 2, 3권의 분량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 보통 애니 1화가 코믹스 대략 1편 반 정도의 분량의 진도로 나갔는데, 13화와 14화에서는 2배속인 약 3편 분량으로 진도가 나갔다.[21] 디아블로의 등장은 5권, 리무루의 마왕화 직후이다.[22] 단적으로 말하자면 서적판 기준 1권이 8화, 2권이 7화로 구성되었으며 원작의 내용은 불필요한 것만 적절히 빼고 잘 따라갔다. 그런데 3권과 4권은 앞권들의 거의 절반 수준인 각각 4화씩으로 퉁쳐버렸고, 그런 만큼 내용이 많이 축약되거나 생략되었다. 그나마도 4권은 아이들을 구한 후 귀국하다가 히나타와 마주하는 부분은 결국 잘렸다. 물론 각 권의 핵심 내용들은 제대로 구현되어 있기는 하지만, 3권으로 예를 들면 앞 과정들은 거의 다 날려먹고 밀림 방문 → 포비오 방문 → 카리브디스전만 나오고 나머진 싸그리 잘렸다. 4권의 경우 베레타는 소환 계약 빙의까지 초스피드로 끝내 10초도 분량이 안 나왔다. 다행히 스킵됐던 내용들이 2기에 나온다. [23] 대표적인것이 바로 가비루, 원작에서는 그래도 나름 야망에 찬 모습과 오만한 배신장면을 연출했던 애인데 애니에서는 웬 동내 애들의 소꿉장난같은 아기자기한 연출로 변해버렸다(...) 그외에 종족 디자인이라던가 여러가지로 야성적인 판타지 디자인과는 영 거리가 먼것이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