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폐제(유송)

 


'''유송 제5대 황제'''
'''前廢帝 | 전폐제'''
[image]
[1]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제호'''
전폐제(前廢帝)
'''연호'''
영광(永光, 465년 1월 ~ 465년 8월)
경화(景和, 465년 8월 ~ 465년 12월)
''''''
유(劉)
''''''
자업(子業)
'''생몰 기간'''
449년 2월 25일 ~ 466년 1월 1일[2]
'''재위 기간'''
464년 7월 12일 ~ 466년 1월 1일
'''부모'''
부황 효무제, 모후 왕헌원
1. 소개
2. 생애
2.1. 어린 시절
2.2. 불효
2.3. 근친 겁탈
2.4. 근친 능욕
2.5. 근친 살해하다 자기도 죽다
3. 매체에서의 등장
4. 둘러보기(계보)

[clearfix]

1. 소개


중국 남북조시대 유송(劉宋)의 제5대 황제. 휘는 유자업(劉子業). 자는 법사(法師). 송효무제 유준의 장남으로 후폐제 유욱과 더불어 '''사치와 향락에 빠져 약 1년여 동안 가감없는 막장을 부렸다.''' 폐위됐기 때문에 묘호와 시호가 없다. 그래서 폐황제(廢皇帝)로 부른다. 송명제 유욱의 아들도 폐제가 됐기 때문에 유자업을 전폐제, 명제 유욱의 아들 유욱을 후폐제로 구별한다. 짧은 재위기간 동안 초기 5개월간은 효무제의 대업, 중반 465년 음력 정월부터 8개월간은 영광(永光), 후기 4개월간은 경화(景和)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원가 26년(449년) 정월에 효무제 유준과 왕헌원(王憲嫄)[3]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4살 때 큰아버지 유소의 난으로 감옥에 갇혀 죽을 뻔했다가 난이 평정된 후 구출되었다. 어릴 때부터 독서를 좋아해 지식이 많고 똑똑했으며 문장도 곧잘 지었다. 당시 유자업은 사서를 즐겨 읽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전대의 선행은 배우지 않았고 오히려 조조가 만든 공식 도굴꾼 자리인 발구 중랑장[4]과 모금 교위[5]에 관심을 뒀다고 한다. 실제로 '''계모이자 당고모인''' 은귀비(殷貴妃)의 무덤을 파헤치고 부장품을 싹쓸이하기도 했다.

2.2. 불효


유자업은 눈매가 날카롭고 입이 튀어나왔으며 목이 긴 흉하고 기이한 외모를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성질이 급하고 실수가 많아 아버지인 효무제 유준의 질책을 많이 받았다. 이에 황제가 된 후 보복심에 아버지의 능을 파헤치려고 하다가 신하들의 강력한 간언으로 그것은 관두고, 결국 찌질하게 아버지를 '''코주부'''라고 욕하며 을 능에 뿌리고 돌아갔다.[6] 뜻(?)을 이루지 못한 유자업은 당고모이자 효무제의 총애를 받았던 계모 은귀비의 묘를 파헤쳐 버렸다. 그런 다음 자신의 이복 동생이자 육촌 동생이기도 한 효무제 유준의 8남 유자란(劉子鸞)에게 사약을 내려 죽였는데, 이유는 유준이 사랑하던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유자란은 유준과 은귀비의 근친상간으로 태어난 아이였다. 효무제 유준은 숙부인 남군왕(南郡王) 유의선(劉義宣)의 딸이자, 사촌 여동생이었던 유씨를 취한 다음 은씨로 이름을 바꿨다. 그렇게 사촌을 후비로 삼은 뒤 낳은 아들이 유자란이었다. 유자란은 당시 10세도 되지 않은 나이였지만 죽음을 앞두고 '''내세에는 황가에서 태어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어떻게 보면 유송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 유준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
그러면 유자업이 생모인 태후에게 효도했느냐면 그것도 아니다. 유자업이 즉위하고 몇 달 뒤에 어머니 왕씨(왕헌원)가 아파서 그를 불렀는데, 그가 '''환자들이 있는 방에는 귀신들 천지라는데 내가 어떻게 가겠는가?'''라면서 가지 않자 왕씨는 '''내 배를 가르거라. 내가 어떻게 저런 비린내나는 짐승을 낳았는지!'''라며 분통을 터뜨리다가 얼마 뒤인 464년 음력 8월 23일에 죽었다. 465년, 효무제 때의 중신인 대법흥(戴法興)마저 축출한 뒤 곧 그를 죽이니, 행실이 꺼릴 것 없이 더욱 방자해졌다.

2.3. 근친 겁탈


유자업에게는 아내 하영완(何令婉)[7]가 있었으나, 그는 만족하지 못했다. 하씨(하영완)는 대명 5년(461년)에 죽어서 남편이 황제가 된 후 헌황후로 추존되었다. 따라서 유자업은 즉위 당시 본처가 없었다. 황후가 없는 황제 유자업은 아버지보다 도를 넘어선 황음무도한 생활을 했는데, 송문제 유의륭의 10녀이자 효무제 유준의 친여동생인 '''고모 신채공주(新蔡公主, 유영미劉英媚)를 겁탈'''하고, 궁중의 한 여종을 살해해서 신채공주가 죽었다는 소문을 내며 장사까지 치뤘다. 물론 진짜 신채공주는 귀빈으로 삼아 성을 사씨(謝氏)로 고쳤으며, 덤으로 후환을 방지하기 위해 고모부 하매(何邁)는 죽였다. 그리고 신채공주가 그 후 어떻게 됐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게다가 일찍이 '''친누나 산음공주(山陰公主)와 근친상간을''' 했다. 어느 날 '''"폐하는 육궁에 후궁이 많으면서 신은 겨우 부마 하나밖에 없습니다. 이는 매우 불공평합니다."'''라는 식으로 산음공주가 불만을 품자, 유자업은 산음공주에게 '''면수, 즉 아름다운 남첩 30명'''을 선물했다.
산음공주는 남편 하집이 미남이었고 남첩 30명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만족하지 못했다. 산음공주는 의원을 유혹해 음욕을 채우고 거기에 당대의 미남이었던 이부랑 저연(褚淵)을 유혹했다. 문제는 저연은 남군공주의 부마였는데, 이 남군공주는 산음공주의 고모였다. 즉, '''저연은 산음공주의 고모부였다.''' 차마 고모부를 대놓고 유혹하긴 그랬는지 그녀는 조서를 내려 저연이 무조건 자신에 집에 오도록 했다. 산음공주는 저연이 오자 끊임없이 유혹하고 온갖 추태와 교태를 다 부렸지만 저연은 당대의 인재답게 유혹을 거부했고 결국 포기했다. 이런 음란한 산음공주는 전폐제가 죽은 후에 바로 처형됐는데 남첩 30명도 같이 순장되었다. 당시 산음공주의 나이는 만 19세에 불과했다(446-465).
산음공주의 외동딸이 바로 제나라 울림왕 소소업의 음란한 황후 하정영이었다. 하정영이 산음공주가 아니라 하집의 첩 송씨의 소생이라는 설도 있지만 공식적인 기록에는 산음공주의 소생이라 한다.
유자업은 거기다가 유휴인의 어머니였던 양씨[8]에게 온갖 음란한 짓을 하도록 강요했다. 그리고 좌우 심복들에게 양씨를 범하도록 했는데, 이때 그들 중에서 유도륭이 환심을 얻으려고 온갖 추악한 짓을 하며 양씨를 강간했다. 거기에 유휴인의 아내 은씨가 병이 들어 진찰할려고 미남 의원 조번이 오자 병 치료는 제쳐두고 조번과 간음했다. 하지만 이게 누설되자 조번은 죽임을 당했다.

2.4. 근친 능욕


유의륭의 9남 의양왕 유창(劉昶)[9]은 황실의 종친 가운데 가장 힘이 강한 인물이었다. 대명 8년(464) 8월, 유자업이 즉위했을 때 정북장군, 서주 도독, 연주, 남연주, 청주, 기주, 유주, 예주를 감독하며 서주 자사가 더해졌으니 권세가 막강했다. 유자업이 황제가 되자 유창은 조카의 즉위를 경하하기 위해 마땅히 수도로 가려고 했다. 하지만 '''유자업은 오직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숙부 유창을 죽이려고 했다.'''
그리하여 경화 원년(465) 8월, 유창은 가만히 죽기 싫어서 수도 건강에 가지 않고, 그날로 자신의 가족을 버린 채 홀로 적국 북위로 망명했다[10]. 유창은 북위로 망명하고 나서 북위 문성제(북위 5번째 황제)에 의해 단양왕에 봉해지고 정남 장군에 임명되었으며 문성제의 딸 무읍공주와 결혼해 부마 도위가 되었다.[11] 유창은 내란을 피해 적국 북위로 망명해서 선전용으로 이용당했지만 유창의 자손들은 계속 살아남아 유송이 망하고 소도성에 의해 유씨가 모두 없어진 상황(!)에서도 대를 이어 나갔다.[12]
그런데도 유자업은 정신을 못 차리고 일부러 만만하거나 의심스러운 숙부들을 골라 함부로 대했다. 숙부들을 벌거벗기고 참대 나무로 만든 우리에 가두어 머리만 내밀게 한 적도 있었다. 그리고 그들을 저울로 재기도 하고 곤장을 치기도 하며, 나무 그릇에 담은 여물을 먹게 하기도 하는 등 온갖 모욕과 능욕을 가했다. 그 숙부들이란 바로 유의륭의 11남 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 유의륭의 12남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 유의륭의 13남 산양왕(山陽王) 유휴우(劉休祐), 유의륭의 8남 동해왕(東海王) 유의(劉褘)였다. 유자업은 그들을 순서대로 각각 '''돼지왕, 살인왕, 도적왕, 나귀왕'''으로 봉했다. 유의는 머지않아 석방(?)되었으나, 유욱, 유휴인, 유휴우은 계속 대나무 우리에 갇혀 있었다. 이들이 이렇게 엄청난 칭호를 받은 이유는 돼지왕 유욱은 '''매우 뚱뚱해서''',[13] 살인왕 유휴인은 '''매우 인상이 험악해서''', 도적왕 유휴우은 '''매우 탐욕스러워서''', 나귀왕 유의는 '''매우 어리버리해서'''[14]라는 무시무시한 이유였다.
유자업은 숙부들 중에서도 왠지 유욱을 가장 미워했다. 자기 첩 중 하나가 아들을 임신했다는 소식을 듣자[15] 그 뱃속의 아기를 황태자로 삼고 '''기념잔치에 쓸 제물 겸 유희로''' 유욱을 잡으려고 했다. 이에 유휴인이 '''태자가 태어나야 기념으로 돼지를 잡는 겁니다.'''라고 말하자 유자업은 '''오오, 그런가? 그럼 아껴두었다가 나중에 잡아먹어야지'''(...)라며 잡는 것을 유보했다.

2.5. 근친 살해하다 자기도 죽다


그러다가 고조 무제 유유의 4남이자 작은 할아버지였던 강하왕(江夏王) 유의공(劉義恭)을 추대하려던 음모가 포착되자, 유의공을 죽여 시체를 8조각으로 자르고 배를 갈랐으며 눈알을 뽑아 꿀에 넣어서 '귀목종'[16]으로 만들었다. 더불어 유의공의 남은 네 아들까지 모두 죽였다.[17] 그 외에 '''대대로 세 번째 아들이 황제가 됐다는 이유로''' 종실의 셋째 아들들을 골라 죽이기도 했다.[18]
이렇게 기괴귀축한 삶을 살던 유자업의 끝장 역시 황당했다. 어느 날, 꿈속에서 어떤 여자가 자신을 저주하자, 그 여자와 비슷한 여자를 잡아 죽였다. 하지만 그의 계속된 폭정에 참다못한 유욱과 신하들이 그를 죽이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유자업은 죽림당에서 궁녀들과 '''알몸 숨바꼭질'''을 하던 중에[19] 그 여자 귀신을 보고 귀신 잡으러 다니다가 유욱과 신하들의 지시를 받고 대기하고 있던 환관 수적지와 그의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20] 죽은 뒤 단양 말릉현 남교단 서쪽에 매장되었다. 다시 한번, 간과하기 쉬운 게 있는데 '''유자업의 이 폭정들은 겨우 1년 안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게다가 위의 초상화와는 달리 사망시는 17세.

3. 매체에서의 등장


중국 드라마 '봉수황(鳳囚凰)'에서는 배우 장일걸(張逸傑)이 역할을 맡았다. 참고로 이 드라마에도 유자업의 만행이 직, 간접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는 편이니 기나긴 글보다는 눈에 확 들어오는 영상을 원한다면 참고하면 좋다. 허나 매우 미화시켰다. 1화에서 12~13화 정도까지 등장한다.
역사적 상황과 비슷하게 누나 산음공주의 남첩 요구를 잘 들어주는 등(여기에는 비밀이 있다) 누나바라기라 할 만한 면모를 보이지만 사람 죽이기를 자기 멋대로 하는 등 실제의 폭정을 잘 묘사한 편이다. 그러나 그 역시 나름 어두운 과거를 지닌 것을 알 수 있는 묘사가 있어 실제 역사보다는 비교적 입체적인 인물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면모가 있기에 여주이자 누나는 이러한 그를 개과천선시키려 노력하기도 한다.

4. 둘러보기(계보)





'''유송의 역대 황제'''
4대 세조 효무제 유준

'''5대 전폐제 유자업'''

6대 태종 명황제 유욱

[1] 생몰년에 비추어 보면 이 초상화는 괴리감이 매우 심하다.[2] 음력으로는 465년 11월 29일.[3] 동진 간문제 사마욱의 증손녀이다.[4] 역대 황제의 묘를 파헤쳐 부장품을 도굴하는 벼슬[5] 관료들과 백성들의 무덤을 파헤쳐 금은보화를 도굴하는 벼슬[6] 그 아버지란 놈도 황제 자리에 있을 때 자기 할아버지 무제 유유의 초상화를 보며 외모 디스를 하며 참담한 고인 모독을 했다.[7] 아버지는 하우(何瑀)였으며 어머니는 무제 유유의 딸 예장공주 유흔남(劉欣男)였다. 예장공주는 원래 서교와 결혼했다가 서교가 요절하자 하우와 재혼했으며 하매와 하씨를 낳았다. 그리고 하매의 아내가 신채공주인데, 유자업에 의해 하매는 살해당하고, 신채공주는 유자업의 첩이 되었다(...).[8] 유의륭의 미인으로 이름은 양수의.[9] 자는 휴도였으며, 원가 13년(436)에 유의륭과 사용화 사이에서 9남으로 태어났다. 원가 22년(445) 3월에 의양왕에 봉해지고 식읍 2,000호를 받았다. 원가 27년(450), 임보장군, 남패 태수, 하비 태수에 임명되었으며 원가 30년(453)에는 동중랑장이 더해졌다. 효건 원년(454) 8월에는 이복형 유준이 동양주 자사로 임명되었다.[10] 유창이 망명한 후 남겨진 유창의 처 오씨와 아들 유사원 및 유회원은 모두 죽임을 당했다.[11] 유창은 무읍공주가 죽자 건흥장공주를 다시 아내로 맞아들였고 건흥장공주가 죽자 다시 평양공주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태화 17년(493), 북위 효문제(문성제의 손자로 헌문제의 아들)는 유창을 제공으로 봉하고 송왕의 칭호를 더했으며, 태화 18년(494) 8월에는 대장군에 임명되었다. 유창은 태화 20년(497) 6월에 팽성에서 62세 나이로 숨을 거뒀으며 명(明)이라는 시호를 받고 태부, 영(领) 양주 자사가 추증되었다.[12] 유창은 북위에서 다시 가정을 꾸려 유승사, 유문원, 유휘를 낳았으며 유창의 적자 유승사가 유창의 작위를 잇고 문성제의 딸 팽성장 공주와 결혼하여 부마 도위가 되었다.[13] 사실 유의를 제외하면 모두 뚱뚱했는데 유욱이 제일 뚱뚱했던 모양이다.[14] 사실 유의는 어리석어서 다른 황족들도 그를 무시했다.[15] 유자업은 자기 첩들을 심복들과 함께 공유(?)했기 때문에 유자업의 자식인지, 심복들 중 누군가의 자식인지 알 수 없다.[16] 귀신 눈깔떡이라는 뜻이다.[17] 유의공은 아들이 16명이었는데 이전에 원흉 유소에게 열 두 아들을 잃었다. 따라서 이때 유의공의 대는 끊기고 말았다.[18] 실제로 유자업의 할아버지 문제 유의륭과 아버지 효무제 유준이 셋째 아들이다.[19] 이때 궁녀 1명이 거부하자 바로 그녀를 참수했다.[20] 수적지가 근위병들이 없는 틈을 타 숨겨두었던 칼을 빼들어 죽이려 하나 유자업이 도주하여 실패했지만 사전에 지시를 받은 수적지의 부하들이 유자업을 붙잡았고 유자업은 바로 수적지의 칼에 찔려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