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열도
[image]
러시아어: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 (꾸릴스끼예 아스뜨라바)
일본어: 千島列島(치시마 렛토)
영어: Kuril Islands
중국어: 千島群島(치엔다오췬다오)[1]
1. 개요
[image]
오호츠크해와 태평양에 둘러싸인 러시아 사할린 주에 위치한 섬들. 서남쪽으로는 홋카이도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닿아 있고 동북쪽으론 캄차카 반도와 역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닿아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파라무시르 섬을 중심으로 한 세베로쿠릴스크 군과 이투루프 섬을 중심지로 한 쿠릴스크 군, 쿠나시르 섬을 중심으로 한 유즈노쿠릴스크 군의 3개 군으로 나뉘어져 있고, 가장 큰 도시는 유즈노쿠릴스크이다. 원래 이 도시들은 각각 카시와바라(柏原), 샤나(紗那), 후루카맛푸(古釜布)라 불리다가 소련령이 된 이후 러시아어로 개칭되었다.
러시아 국적이 없는 사람이 쿠릴 열도에 들어가려면 관계 당국의 사전 허가가 필요하다.
2. 지리 및 기후
면적은 도합 10,250km²에 인구는 2만 명 조금 안 된다. 기후는 해양성 기후를 띠나, 따뜻하지는 않다. 2월 평균기온은 유즈노쿠릴스크 -5.3℃, 세베로쿠릴스크 -4.9℃로 철원군과 비슷한 수준이며, 8월 평균기온은 유즈노쿠릴스크 16.2℃, 세베로쿠릴스크 11.5℃로 시원한 편이며 열도 북부의 세베로쿠릴스크는 거의 툰드라기후에 근접한 기후이다. 따라서 남부의 섬들은 냉대림으로 뒤덮여 있고 북부의 섬들이나 고지대에선 툰드라가 자주 나타난다. 강수량은 유즈노쿠릴스크가 1,253mm이며, 세베로쿠릴스크의 경우 1,842mm로 1년 365일 중에 182일 눈이 오고 136일 비가 온다. 그러니까 맑은 날이 거의 없는데다 여름철엔 안개가 껴 있기 때문에 일조량이 매우 적다.
일본 열도처럼 화산섬들이 대부분이며, 해발 2,000m가 넘는 화산도 종종 있다. 또한 지진도 많이 일어나 1963년과 2006년 M8.0을 넘는 대지진이 일어나기도 했다.[2]
3. 인구
2010년 기준, 인구는 19,434명으로 조사된다.
민족구성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타타르인, 니브흐족, 오로치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원래 쿠릴 아이누의 땅이었으나 아이누족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일본인도 예전엔 많이 살았으나 현재 모두 강제 추방당한 상태이다.[3] 꽤 빈곤한 지역으로,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한다.
러시아 정부가 2010년 이후 1조원대 지역개발 및 관광지 개발을 할 예정이라 현지 거주민들이 매우 기대하고 있으나 10년이 넘도록 아무것도 된 것은 없다. 아무래도 이곳으로 관광갈 사람들은 일본인들일 가능성이 높고 그들이 자주 출입하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4. 역사
원래는 아이누의 영토였다. 그러나 에도 시대의 일본은 점차 쿠릴 열도의 남쪽 섬들을 점유하기 시작했고, 1855년에는 러시아 제국과 조약을 맺어 최남 4개의 섬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받았다. 물론 이 과정에서 아이누인들은 엄청난 학살을 당했고, 이는 러시아가 점유하게 된 북쪽의 섬들의 아이누도 마찬가지였다.
그 후 메이지 유신 이후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조약을 맺어 남사할린을 러시아에게 넘겨주는 대가로 일본이 쿠릴 열도 전역을 점유하게 되었지만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면서 쿠릴 열도를 소련에 완전히 내주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쿠릴 열도를 포기함으로 러시아의 땅이 됐다. 당시 일본은 시코탄섬과 하보마이 군도는 쿠릴 열도가 아닌 홋카이도의 부속 열도임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후 쿠나시르섬과 이투루프섬에 대해서도 쿠릴 열도가 아닌 홋카이도의 부속 열도임을 주장하며 영토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4]
참고로 일제강점기때 많은 조선인들이 강제징용을 간 곳이기도 한데 2018년 8월에 쿠릴 열도서 숨진 강제징용자 1,200명의 명부가 확인되기도 했다. [단독] 쿠릴 열도서 숨진 강제징용자 1,200명 명부 확인
쿠릴열도 중 일본에 가까운 섬(북방영토, 남쿠릴열도)들은 일본과 러시아가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다. 쿠릴 열도 분쟁 참고.
5. 대중 매체
- 일본의 대체역사소설 가공전기에서는 여전히 일제의 영토로 나오거나 재건된 일본 국방군이 북방영토를 비롯한 쿠릴 제도를 점령한다.[5] 물론 현실의 역사처럼 소련이나 러시아의 영토로 편입되는 소설도 있다.
6. 쿠릴 열도의 섬들
섬 이름의 대부분은 아이누어에서 따왔다. 따라서 러시아식 이름과 일본식 이름의 차이가 크지 않다.
[1] 의외로 일본식 표기를 따른다. 중국-소련 국경분쟁 때문에 소련과 적개감이 많아서 그렇다는 해석도 있는데, 그것보다는 한자로 된 이름이기 때문에 일본식 표기로 따르는 것일 가능성이 더 높다. 어차피 섬 이름은 대부분은 아이누어 지명을 음차한 거라 일본식 표기와 러시아식 표기에 차이가 많지 않다.[2] 쿠릴 열도 동부 해역에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알류샨 열도 서부까지 이어지는 쿠릴-캄차카 해구가 존재하며 북미판과 태평양판이 만나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다.[3] 친인척이 거주하고 있을 경우 무비자 입국을 허용해주긴 한다. 일본과 러시아는 서로 무비자 상호 방문이 안 된다.[4] 이 4개의 섬이 바로 과거 1855년의 조약에서 일본이 점유하게 되었던 섬들이다.[5] 남사할린, 아예 러시아령인 북사할린까지 죄다 차지하는 장면도 있다. 반대로 일제가 처발리는 전개일 때에는 북해도까지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써 공산 일본에 귀속되기도 한다.[6] 물론 해당 세계관에서는 일본 제국 영토이기에, 일본식 지명인 아라이도와 호로무시로로 나온다.[7] 또는 호로무시로 섬[8] 또는 하루무코탄 섬[9] 또는 라슈와 섬, 라스쯔아 섬[10] 또는 신시루 섬[11] 또는 쳬루포이 섬[12] 1번째부터 4번째까지는 일본 열도 본토 4개 섬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를 말한다. 본토를 제외하고 가장 큰 섬이라는 것. 영토분쟁이 없는 일본의 섬 중 본토를 제외하고 가장 큰 섬은 오키나와 섬.[13] 섬 중간에 무슨 마을이 보이는데 그곳이 유즈노쿠릴스크다.[14] 이중화산이나 그 이상 복식화산에서 가운데 분화구를 고리 모양으로 에워싼 산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이런 산은 울릉도의 성인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