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mage]
OCG와는 달리 1턴에 1번 제약이 없고,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흡수하는 효과가 무효화하는 효과와 합쳐져 하나의 효과로 되어있다. 또한 무효 효과가 경우이기 때문에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 한 체인에 발동한 새시 루키와 프리티 히로인의 두 효과를 전부 무효화하고 파괴하기도 했다.
공격명은 '''선풍의 헬 다이브 슬래셔(旋風の ヘル ダイブ スラッシャー/Hell Dive Slasher)'''. 자신의 몸에 초록색 바람을 씌운 뒤 상대에게 돌진해온다. 그 밖에도 브레스를 발사하는 공격도 가능하다.
효과명은 '''다이크로익 미러(ダイクロイックミラー/Dichroic Mirror)'''[1] . 효과 발동시 몸이 빛나고 날개에서 빛이 모이며 그 빛을 상대에게 반사시킨다.
코믹스에서는 이 카드를 모델로 한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이 등장한다.
크로스오버 소울즈의 커버 카드로 발매되었다. 레벨 7/바람 속성/드래곤족이라서 가스타의 신예 피리카로 레벨 4 튜너를 건져 오거나 데브리 드래곤으로 레벨 3 몬스터를 건져 와서 뽑을 수 있다. 소재 제한이 없어 블랙 로즈 드래곤, 월화룡 블랙 로즈, 사룡성-가이저처럼 사용 가능한 범용 레벨 7 싱크로 몬스터.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의 효과를 봉쇄하는 효과로,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제외한 모든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카운터할 수 있는 효과.주의할 점은 지속 효과에는 체인을 걸 수 없다는 점이다.
②의 효과는 대상 지정 카운터 효과. 1턴에 1번이지만 자신을 포함해서 레벨 5 이상의 되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무효로하고 파괴로 할 수 있다. 그 지정 몬스터가 필드의 몬스터만 지정하기만 하면 돼서 묘지/엑스트라 덱에서 발동하는 핸드나 클리포트도 막을 수 있다.
③의 효과는 ①②의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흡수하는 추가 효과로 이 카드의 효과 대상에 있는 몬스터들의 공격력이 보통 2000 이상인 걸 감안하면 최소 4500의 깡타점을 지닌 벽으로 변모할 수 있는 무서운 효과다. 상대 턴에 억제력이 없던 그동안의 싱크로 몬스터들과는 달리 상대 턴에도 어느 정도 억제력을 갖춘 몬스터다.
1번 효과로는 몬스터 효과만 막으며 마법 함정 효과는 막을 수 없다. 2번 효과는 대상 몬스터가 1장일 때만 사용할 수 있기에 공아랑 다이어울프처럼 '''대상을 2개 이상''' 지정하는 몬스터에게 약하고, 여휘사 벨즈뷰트 등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에도 그대로 당하니 주의. 그리고 No.52 다이아몬드 크랩 킹, 젬나이트 펄 같이 타점으로 밀어붙일 경우에도 돌파당할 수 있다.
언듯보면 강력한 효과 카운터 카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애매하다. 타점이 겨우 2500이라 마법 / 함정 카드로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린 뒤 때리면 펑 터져버린다. 그나마 위안인 건 유일하게 소재 제한이 없는 바람속성 레벨 7 싱크로 몬스터기 때문에 SR을 사용한다면 카드 1장으로 묘지 덤핑 / 일반 소환 없이 나올 수 있다는 것.
주의할 점이 하나 또 있는데, '''무효로 한''' 몬스터가 아니라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라간다. 때문에 무효화만 하고 '''파괴'''를 못 했으면 공격력은 안 올라간다. 즉, 환상수기 드래고사크 같은 파괴 내성을 가진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만 하거나, 묘지 및 제외 존에서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해도 '''파괴'''를 못했기 때문에 공격력은 그대로다.
사카키 유우야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및 유토의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 비교해 보면, 셋 다 드래곤족 / 공격력 2500 / 수비력 2000이고, 이 카드의 레벨인 7은 오드아이즈와 같다. 또한 이 세 몬스터는 서로가 서로를 메타하는 가위바위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사천룡 중 유일하게 바람 속성이며, 백익의 마술사가 여성이어서 그런지 사천룡의 홍일점으로 여겨진다.[3] 그리고 4마리의 드래곤들중에 이 카드만 둥근 보석이 박혀있지 않다.
속성과 2500/2000의 능력치가 싱크로 소환을 프랜차이즈로 내세운 유희왕 5D's의 주인공 후도 유세이의 에이스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랑 동일하다.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도 새로운 패왕룡 진화 형태가 나왔는데, 이 카드만 아직 나오지 않아서, 이 카드 홀대 논란이 일고 있었지만, 마지막 화에서 패왕룡 진화형태가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 카드에 레벨 1의 튜너로 취급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를 튜닝해 소환되었다.
디자인과 이름의 모티브는 아마도 Clearwing Tussock이라는 종의 나방 중 하얀색의 나방일 것이다.
다른 사천룡인 오드아이즈와 다크 리벨리온이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과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으로 이름에 '아크'가 들어간 강화체가 나온 것으로 보아, 이 카드로 후에 아크가 들어간 강화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1. 원작
[image]
유고의 에이스 몬스터. 유토와 듀얼할 때 HSR 마검 다마를 싱크로 소환했지만 진짜 에이스는 이쪽이었다. 첫 등장에서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파괴하여 승리했으며 이후로도 융합 차원에 들어오기 전까지 한 번도 파괴되지 않는 등 강력한 위용을 보였다.'''눈부시게 빛나는 날개'''
OCG와는 달리 1턴에 1번 제약이 없고,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흡수하는 효과가 무효화하는 효과와 합쳐져 하나의 효과로 되어있다. 또한 무효 효과가 경우이기 때문에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 한 체인에 발동한 새시 루키와 프리티 히로인의 두 효과를 전부 무효화하고 파괴하기도 했다.
공격명은 '''선풍의 헬 다이브 슬래셔(旋風の ヘル ダイブ スラッシャー/Hell Dive Slasher)'''. 자신의 몸에 초록색 바람을 씌운 뒤 상대에게 돌진해온다. 그 밖에도 브레스를 발사하는 공격도 가능하다.
효과명은 '''다이크로익 미러(ダイクロイックミラー/Dichroic Mirror)'''[1] . 효과 발동시 몸이 빛나고 날개에서 빛이 모이며 그 빛을 상대에게 반사시킨다.
코믹스에서는 이 카드를 모델로 한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이 등장한다.
2. OCG
크로스오버 소울즈의 커버 카드로 발매되었다. 레벨 7/바람 속성/드래곤족이라서 가스타의 신예 피리카로 레벨 4 튜너를 건져 오거나 데브리 드래곤으로 레벨 3 몬스터를 건져 와서 뽑을 수 있다. 소재 제한이 없어 블랙 로즈 드래곤, 월화룡 블랙 로즈, 사룡성-가이저처럼 사용 가능한 범용 레벨 7 싱크로 몬스터.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의 효과를 봉쇄하는 효과로,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제외한 모든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카운터할 수 있는 효과.주의할 점은 지속 효과에는 체인을 걸 수 없다는 점이다.
②의 효과는 대상 지정 카운터 효과. 1턴에 1번이지만 자신을 포함해서 레벨 5 이상의 되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무효로하고 파괴로 할 수 있다. 그 지정 몬스터가 필드의 몬스터만 지정하기만 하면 돼서 묘지/엑스트라 덱에서 발동하는 핸드나 클리포트도 막을 수 있다.
③의 효과는 ①②의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흡수하는 추가 효과로 이 카드의 효과 대상에 있는 몬스터들의 공격력이 보통 2000 이상인 걸 감안하면 최소 4500의 깡타점을 지닌 벽으로 변모할 수 있는 무서운 효과다. 상대 턴에 억제력이 없던 그동안의 싱크로 몬스터들과는 달리 상대 턴에도 어느 정도 억제력을 갖춘 몬스터다.
1번 효과로는 몬스터 효과만 막으며 마법 함정 효과는 막을 수 없다. 2번 효과는 대상 몬스터가 1장일 때만 사용할 수 있기에 공아랑 다이어울프처럼 '''대상을 2개 이상''' 지정하는 몬스터에게 약하고, 여휘사 벨즈뷰트 등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에도 그대로 당하니 주의. 그리고 No.52 다이아몬드 크랩 킹, 젬나이트 펄 같이 타점으로 밀어붙일 경우에도 돌파당할 수 있다.
언듯보면 강력한 효과 카운터 카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애매하다. 타점이 겨우 2500이라 마법 / 함정 카드로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린 뒤 때리면 펑 터져버린다. 그나마 위안인 건 유일하게 소재 제한이 없는 바람속성 레벨 7 싱크로 몬스터기 때문에 SR을 사용한다면 카드 1장으로 묘지 덤핑 / 일반 소환 없이 나올 수 있다는 것.
주의할 점이 하나 또 있는데, '''무효로 한''' 몬스터가 아니라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라간다. 때문에 무효화만 하고 '''파괴'''를 못 했으면 공격력은 안 올라간다. 즉, 환상수기 드래고사크 같은 파괴 내성을 가진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만 하거나, 묘지 및 제외 존에서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해도 '''파괴'''를 못했기 때문에 공격력은 그대로다.
3. 기타
사카키 유우야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및 유토의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 비교해 보면, 셋 다 드래곤족 / 공격력 2500 / 수비력 2000이고, 이 카드의 레벨인 7은 오드아이즈와 같다. 또한 이 세 몬스터는 서로가 서로를 메타하는 가위바위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은 엑시즈 몬스터라 레벨을 가지지 않아 이 카드의 ①의 효과가 통하지 않지만 효과 대상으로 클리어윙을 선택할 경우 이 카드의 ②의 효과로 파괴된다. 물론 이 카드가 있는데도 레벨 5 이상 몬스터에게 효과를 쓰진 않을테니 일반적으로는 대치하거나 자폭.[2]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은 전투 데미지 계산 시의 강제효과와 펜듈럼 효과만 가지고 있어 이 카드의 효과가 거의 통하지 않는다. 덤으로 펜듈럼 몬스터라 전투로 공멸한 뒤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소환으로 쉽게 살려낼 수 있다.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vs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경우,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이 효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공격력을 흡수한 뒤 일방적으로 전투 파괴할 수 있다.
사천룡 중 유일하게 바람 속성이며, 백익의 마술사가 여성이어서 그런지 사천룡의 홍일점으로 여겨진다.[3] 그리고 4마리의 드래곤들중에 이 카드만 둥근 보석이 박혀있지 않다.
속성과 2500/2000의 능력치가 싱크로 소환을 프랜차이즈로 내세운 유희왕 5D's의 주인공 후도 유세이의 에이스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랑 동일하다.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도 새로운 패왕룡 진화 형태가 나왔는데, 이 카드만 아직 나오지 않아서, 이 카드 홀대 논란이 일고 있었지만, 마지막 화에서 패왕룡 진화형태가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 카드에 레벨 1의 튜너로 취급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를 튜닝해 소환되었다.
디자인과 이름의 모티브는 아마도 Clearwing Tussock이라는 종의 나방 중 하얀색의 나방일 것이다.
다른 사천룡인 오드아이즈와 다크 리벨리온이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과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으로 이름에 '아크'가 들어간 강화체가 나온 것으로 보아, 이 카드로 후에 아크가 들어간 강화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4. 수록 팩 일람
5. 관련 카드
-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
- 패왕권룡 클리어윙
- 패왕룡 즈아크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 크로노그래프 매지션
-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 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