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엽
[image]
Clockwork[1] /Wind-Up[2] . 축을 중심으로 돌려서 길다란 고탄성 소재를 감은뒤 돌아가는 힘을 이용해 동력을 만들어내는 장치. 주로 강철, 고래수염, 힘줄, 대나무 등의 탄성이 높은 것으로 만든다.
태엽(胎葉)이란 단어는 한자로 되어 있으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쓰지 않는 한국식 한자어다. 중국에선 발조(发条/發條)라 하고, 일본에선 말려들어간 잎사귀 모양이 고비(식물)와 비슷하다 하여 고비를 뜻하는 ぜんまい(젠마이)[3] 로 부른다.
19세기 실학자 이규경이 저술한 <오주연문장전산고>에 태엽에 관한 설명이 나오는데 이 당시는 胎鐷(태엽)으로 표기되어 있다. 鐷(金+葉)은 설문해자주에 따르면 금, 동, 철 덩어리를 얇게 펴서 잎사귀처럼 만든 것을 뜻하는 글자이다.[4] . 즉 기계장치의 내부(뱃속=胎)에 들어있는 얇은 금속판이란 뜻으로 만들어진 단어임을 알 수 있다. 얇은금속판 엽(鐷)자는 상용하는 한자가 아니다보니 쇠금변이 생략되고 잎 엽(葉)자로 대체된 것이 지금이 태엽(胎葉)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목제 활시위를 동력으로 사용한 자동차 설계에서 최초로 고안했으나, 작동시간이 쇠뇌나 투석기의 원시적 스프링 마냥 극히 짧았기에 연구 노트의 설계도로만 남았다. 이후 밧줄이나 힘줄을 회전기둥에 감아 풀리는 힘을 이용한 것도 만들었지만 현재에도 쓰는 종류의 태엽은 제대로 된 탄성을 가진 고탄소강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야금술이 발전된 이후에나 나온다.
지금의 강철로 만든 물건은 1500년 독일의 자물쇠공인 P.헨라인이 고안한 것으로, 추를 달아놓은 밧줄을 기둥에 감아놓고 풀리는 힘으로 작동하는 기존의 커다란 시계를 소형화 하기 위한 일환으로 시도했다. 리본 모양의 철 스프링의 한쪽을 톱니바퀴가 달린 회전 기둥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뒤 둥글게 감아서 감은 것이 한순간에 풀리지 않고 서서히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탈진기[5] 라는 제어 부품이 들어간다.
일본에서도 당시 이 기술을 받아들여 가라쿠리같은 자동인형을 만들어냈지만 기술이 부족하여 제작에 필요한 얇은 고탄소강을 만들지 못했기에 대신 탄성이 높은 고래수염을 아교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소형 모터가 발명되기 이전 소형의 휴대용 자동 기계들은 전적으로 인력이 아니라면 이것을 동력으로 삼아야 했다. 70~80년대 초반 일제 소형 마부치 모터의 수입/카피가 되기 전만 해도 국산 작동 프라모델들의 동력원은 죄다 태엽 방식이었다.[6] 태엽이 포함된 금속제 기어박스 모듈이 들어 있어서 모터방식보다 훨씬 만들기는 편했지만 당시 기술 부족이거나 저가품을 써서인지 태엽을 끝까지 감을 경우 태엽의 금속판이 끊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현재에 와선 모터로 거의 대체됐으나, 그래도 일부 장난감이나 총의 탄창, 서바이벌 라디오 등의 도구가 사용한다. 장난감 같은 자동차에 달아주면 그럴싸 하다.
[image]
손목시계의 경우 태엽으로 작동되는 것들이 아직도 많이 있으며, 오히려 전기로 움직이는 것보다 훨씬 비싼 물건이 많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발달로 배터리에 목마른 21세기에 태엽식 충전기[7] 를 상상하는 사람이 종종 있는데, 현실은 댓글 참조.[8] 스마트폰을 직접 충전시킬 경우 잘못된 사용법으로 폰을 망가뜨리는 건 예삿일. 그 위험부담을 감수해도 정말 비상시에 전화 한 통 정도만 가능한 레벨이다. 물론 재해상황에선 이마저도 감지덕지겠지만. 사실 태엽식 충전을 현대 문명의 기기의 충전에 접목시키는 아이디어는 1998년에 성공한 바 있다. 다만 이때도 전력 충전은 통화 한 번 하는 정도가 전부였다.
이런 형태의 수동발전기는 LED손전등이나 라디오 등 저전력 기구를 잠깐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벨에 불과하며, 최소한 그 용도에는 적절하다. 3세계에서는 실제로 라디오에 사용한다. 일본의 경우 "방재(防災)용 라디오" 라는 상품명으로 손으로 돌리는 수동발전기로 작동하는 AM/FM 라디오+랜턴 겸용 기기가 흔히 판매되고 있다. 소니 등 대기업 제품도 있을 정도.
스팀펑크 등 창작물에서 구멍이 2개 뚫린 나비 모양 태엽감는 쇠를 단 것이 자주 나온다. 주로 머리나 등에 달려 있어 빙글빙글 도는 것이 보통. 왠지 태엽인형이 아닌 듯한 것도 달고 다니는 것으로 보아 자동인형을 상징하는 듯 하다.
서브컬처에서 주로 자동인형 속성의 캐릭터에게 주는 경우가 많다. 다른 동력이 많음에도 일부러 태엽을 손수 감아주는 장면을 추가해 인형 속성을 더해주는 경우.
항목 참고.
1. 현실에서의 태엽
1.1. 개요
Clockwork[1] /Wind-Up[2] . 축을 중심으로 돌려서 길다란 고탄성 소재를 감은뒤 돌아가는 힘을 이용해 동력을 만들어내는 장치. 주로 강철, 고래수염, 힘줄, 대나무 등의 탄성이 높은 것으로 만든다.
1.2. 어원
태엽(胎葉)이란 단어는 한자로 되어 있으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쓰지 않는 한국식 한자어다. 중국에선 발조(发条/發條)라 하고, 일본에선 말려들어간 잎사귀 모양이 고비(식물)와 비슷하다 하여 고비를 뜻하는 ぜんまい(젠마이)[3] 로 부른다.
19세기 실학자 이규경이 저술한 <오주연문장전산고>에 태엽에 관한 설명이 나오는데 이 당시는 胎鐷(태엽)으로 표기되어 있다. 鐷(金+葉)은 설문해자주에 따르면 금, 동, 철 덩어리를 얇게 펴서 잎사귀처럼 만든 것을 뜻하는 글자이다.[4] . 즉 기계장치의 내부(뱃속=胎)에 들어있는 얇은 금속판이란 뜻으로 만들어진 단어임을 알 수 있다. 얇은금속판 엽(鐷)자는 상용하는 한자가 아니다보니 쇠금변이 생략되고 잎 엽(葉)자로 대체된 것이 지금이 태엽(胎葉)이다.
1.3. 역사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목제 활시위를 동력으로 사용한 자동차 설계에서 최초로 고안했으나, 작동시간이 쇠뇌나 투석기의 원시적 스프링 마냥 극히 짧았기에 연구 노트의 설계도로만 남았다. 이후 밧줄이나 힘줄을 회전기둥에 감아 풀리는 힘을 이용한 것도 만들었지만 현재에도 쓰는 종류의 태엽은 제대로 된 탄성을 가진 고탄소강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야금술이 발전된 이후에나 나온다.
지금의 강철로 만든 물건은 1500년 독일의 자물쇠공인 P.헨라인이 고안한 것으로, 추를 달아놓은 밧줄을 기둥에 감아놓고 풀리는 힘으로 작동하는 기존의 커다란 시계를 소형화 하기 위한 일환으로 시도했다. 리본 모양의 철 스프링의 한쪽을 톱니바퀴가 달린 회전 기둥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뒤 둥글게 감아서 감은 것이 한순간에 풀리지 않고 서서히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탈진기[5] 라는 제어 부품이 들어간다.
일본에서도 당시 이 기술을 받아들여 가라쿠리같은 자동인형을 만들어냈지만 기술이 부족하여 제작에 필요한 얇은 고탄소강을 만들지 못했기에 대신 탄성이 높은 고래수염을 아교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소형 모터가 발명되기 이전 소형의 휴대용 자동 기계들은 전적으로 인력이 아니라면 이것을 동력으로 삼아야 했다. 70~80년대 초반 일제 소형 마부치 모터의 수입/카피가 되기 전만 해도 국산 작동 프라모델들의 동력원은 죄다 태엽 방식이었다.[6] 태엽이 포함된 금속제 기어박스 모듈이 들어 있어서 모터방식보다 훨씬 만들기는 편했지만 당시 기술 부족이거나 저가품을 써서인지 태엽을 끝까지 감을 경우 태엽의 금속판이 끊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현재에 와선 모터로 거의 대체됐으나, 그래도 일부 장난감이나 총의 탄창, 서바이벌 라디오 등의 도구가 사용한다. 장난감 같은 자동차에 달아주면 그럴싸 하다.
[image]
손목시계의 경우 태엽으로 작동되는 것들이 아직도 많이 있으며, 오히려 전기로 움직이는 것보다 훨씬 비싼 물건이 많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발달로 배터리에 목마른 21세기에 태엽식 충전기[7] 를 상상하는 사람이 종종 있는데, 현실은 댓글 참조.[8] 스마트폰을 직접 충전시킬 경우 잘못된 사용법으로 폰을 망가뜨리는 건 예삿일. 그 위험부담을 감수해도 정말 비상시에 전화 한 통 정도만 가능한 레벨이다. 물론 재해상황에선 이마저도 감지덕지겠지만. 사실 태엽식 충전을 현대 문명의 기기의 충전에 접목시키는 아이디어는 1998년에 성공한 바 있다. 다만 이때도 전력 충전은 통화 한 번 하는 정도가 전부였다.
이런 형태의 수동발전기는 LED손전등이나 라디오 등 저전력 기구를 잠깐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벨에 불과하며, 최소한 그 용도에는 적절하다. 3세계에서는 실제로 라디오에 사용한다. 일본의 경우 "방재(防災)용 라디오" 라는 상품명으로 손으로 돌리는 수동발전기로 작동하는 AM/FM 라디오+랜턴 겸용 기기가 흔히 판매되고 있다. 소니 등 대기업 제품도 있을 정도.
2. 대중문화에서의 태엽
스팀펑크 등 창작물에서 구멍이 2개 뚫린 나비 모양 태엽감는 쇠를 단 것이 자주 나온다. 주로 머리나 등에 달려 있어 빙글빙글 도는 것이 보통. 왠지 태엽인형이 아닌 듯한 것도 달고 다니는 것으로 보아 자동인형을 상징하는 듯 하다.
2.1. 태엽과 관련된 캐릭터
서브컬처에서 주로 자동인형 속성의 캐릭터에게 주는 경우가 많다. 다른 동력이 많음에도 일부러 태엽을 손수 감아주는 장면을 추가해 인형 속성을 더해주는 경우.
- 리그 오브 레전드 - 오리아나
- 마법선생 네기마 - 카라쿠리 차차마루
- 벤10 얼티메이트 에일리언 - 클락워크
-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 이프리타를 비롯한 고대병기 시리즈
- 외계돼지 피피 - 로이
디자인과 대사에 태엽이라는 것이 들어 있다.
동력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고 엄지발가락USB를 날리기 위한(...)도구
- 로젠메이든 - 모든 인형 캐릭터들
- 도타 2 - 태엽장이
- 타임보칸(애니메이션) - 쵸로보
태엽 동력으로 움직이는 인간형 로봇이다.
태엽장치의 자장가 시리즈 참고.
2.2. 유희왕의 태엽 카드군
항목 참고.
[1] 이쪽은 태엽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2] 이쪽은 흔히 태엽하면 생각나는 태엽감개를 말하는 것이다.[3] 한자로 표기할 때는 중국과 같이 발조(発条)로 표기한다. 또 다른 표기로는 미(薇)로도 표기하는데 장미의 그거 맞다... 장미 문서에 들어가 보면 薇라는 한자가 고사리도 뜻한다고 쓰여있는데 고비랑 고사리랑 헷갈리는건 어느나라나 똑같은 듯 싶다.[4] 형성자 또는 형성겸회의로 볼 수 있다. 이체자로 鍱으로 쓰기도 한다. 비슷한 뜻의 한자로 판금 집(鏶)자가 있다.[5] 脫進機, 진자 등을 이용하여 속도를 조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톱니바퀴를 한 이씩 회전시키는 장치. 시계 등에 이용한다. 여기서는 쉽게 말해 벽시계의 시계추.[6] 역발상으로 태엽의 구조를 이용한 경우도 있었다. 아카데미 과학사의 마하1호라는 자동차 프라모델이 그 경우인데 태엽의 금속판이 풀리면서 직경이 늘어나는 특성을 이용해 금속판이 주행 도중에 스위치를 건드려 자동차가 360도 회전하는 묘기가 가능했다.[7] 상품명은 태엽식이라고 써있지만 실제로는 태엽과는 전혀 무관한 수동식 직류 자가 발전기다. 모터를 돌리면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와 같다. 태엽 스프링을 1분동안 감을 규모라면 그 크기는 어마어마 해진다.[8] 요약하자면, 한번 충전하는데 넉넉히 한달동안 감아야 한다. 석유, 원자로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