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d cartoon

 

1. 개요
2. 정의
3. 해당 작품
3.1. 극장용 애니메이션
3.1.3. 플레이셔 스튜디오(= 페이머스 스튜디오) 작품
3.1.4. 유니버셜(= 월터 란츠 프로덕션) 작품
3.1.5. 메트로-골드윈-메이어 작품
3.2. TV판 애니메이션
3.2.1. 비성인 애니메이션
3.2.2. 성인 애니메이션
4. 기타 작품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


192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미국 극장판 단편 애니메이션검열되거나 몇몇 장면이 인종 편향적 묘사로 인해 삭제되어 수정된 에피소드를 가리키는 용어 중 하나이자 폭력성, 저작권, 스토리텔링 연출 등의 문제로 방송이 금지된 미국의 TV판 애니메이션을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해당 목차의 단어로 구글이나 유튜브에 검색해보면 현재 텔레비전 방송이 금지된 적지 않은 극장용 단편들과 TV판 애니메이션들을 접할 수 있다.

2. 정의


  • 이 문단의 정의는 방송금지된 루니 툰 단편 Censored eleven(검열된 11편)의 정의를 가리키므로 현재 TV에서 폭력성, 저작권 침해, 스토리텔링 문제 등으로 인해 방송이 금지된 TV판 애니메이션들은 제외되어 있으니 주의바람.
엄밀히 말하자면 과거 미국의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된 인종 관련 유머 & 개그에 대한 비판을 가리키므로 유의할 것.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기보다는 당시 사회의 문제점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 옳다.
1968년 미국의 United Artists (현재 MGM 산하 스튜디오)에 의해 금서로 지정된 카툰 작품을 뜻한다. 당시 UA는 1948년 중기 이전의 루니 툰 단편에 대한 방영권한을 가지고 있었기에 별다른 심의 기구가 없어도 제재가 가능했으며, 금서 지정 기준은 인종차별적인 스테레오 타입화가 두드러진 작품이다. 해당 작품들은 1968년 이전까지만 해도 방송을 탔으나 이후에는 전혀 타질 못했다.
21세기에 들어서 해당 작품에 대한 관심이 다시 환기되면서 재논의되기 시작하였고, 2010년에는 해당 작품들의 필름들을 복원한 상연회가 열리면서 40여년만에 다시 방영되었다.

3. 해당 작품


문단 작성시 스테레오 타입 단편의 경우는 루니 툰 단편들과 타 영화사 작품들에서 인종에 대한 묘사가 문제점이거나 비 미국 백인종 스테레오 타입 유머가 들어간(전시선전 애니메이션[1]도 포함됨. 나머지는 대독선전물에 해당된다.) 작품들을 확인해 기록하며, TV판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확실히 스토리텔링 연출, 부정확한 유머나 폭력성들로 인해 논란이 빚여져 방송금지된 작품들을 기록할 것.
전시 프로파간다 작품인경우 ★로 표기함

3.1. 극장용 애니메이션



3.1.1. 루니 툰


  • Hittin the Trail for Hallelujah Land - 1931년 11월 28일 공개.[2]
  • Sunday Go to Meetin Time - 1936년 8월 8일 공개.
  • Clean Pastures - 1937년 5월 22일 공개.
  • Uncle Toms Bungalow - 1937년 7월 12일 공개. 마크 트웨인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전체적으로 오마쥬. 엉클 톰의 벙갈로 패러디.
  • Jungle Jitters - 1938년 2월 19일 공개.[3]
  • The Isle of Pingo Pongo - 1938년 9월 14일 공개.[4]
  • All This and Rabbit Stew - 1941년 9월 20일 공개.[5]
  • Coal Black and de Sebben Dwarfs - 1943년 1월 16일 공개. 전체적인 내용은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패러디.
  • Tin Pan Alley Cats - 1943년 7월 17일 공개.
  • Angel Puss - 1944년 6월 3일 공개.
  • Goldilocks and the Jivin Bears - 1944년 9월 2일 공개.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패러디.
  • Tokio jokio★ - 1943년 공개.
  • Nips The Nips★ - 1944년 공개. [6]
  • Herr Meets Hare - 1945년 공개.
  • Horse Hare - 1960년 공개.

3.1.2. 디즈니 단편


  • Trader Mickey - 1932년 공개.
  • Mickey's Man Friday - 1935년 공개.
  • Commando Duck★ - 1944년 공개.
  • Education For Death★ - 1943년 공개.
  • Chicken Little★ - 1943년 공개.
  • The Spirit Of 43` - 1943년 공개.
  • 총통각하의 낯짝
단편이 아닌 장편이고 실사 합성이 들어간 영화인 '남부의 노래'(1946년 공개)는 흑인과 백인, 동물 캐릭터들이 공존하는 세계[7]를 그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인종주의적이라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이하 NAACP)'의 지적[8]을 디즈니가 받아들여 1986년 이래로 TV 방송과 광매체 출시를 하지 않았다.

3.1.3. 플레이셔 스튜디오(= 페이머스 스튜디오) 작품


  • Making Stars - 1935년 공개. 베티 붑 단편
  • You're a Sap, Mr. Jap★ - 1942년 공개. 뽀빠이 단편.
  • Scrap the Japs★ - 1942년 공개. 뽀빠이 단편.
  • Seein' Red, White 'N' Blue★ - 1943년 공개. 뽀빠이 단편.
  • Pop-Pie a La Mode - 1945년 공개. 뽀빠이 단편.
  • Popeye's Pappy - 1952년 공개. 뽀빠이 단편.

3.1.4. 유니버셜(= 월터 란츠 프로덕션) 작품


  • Scrub Me Mama with a Boogie Beat - scrub me mama with a boogie beat[9]

3.1.5. 메트로-골드윈-메이어 작품


  • His Mouse Friday - 1951년 공개. 톰과 제리 단편[10]
  • Uncle Tom's Cabaña - 1947년 공개.

3.2. TV판 애니메이션



3.2.1. 비성인 애니메이션


  • 타이니 툰 - one beer
  • 네모바지 스폰지밥 - spongebob, you`re fired!
  • 렌과 스팀피 - Man's Best Friend
  • 덱스터의 실험실 - Dial M for Monkey: Barbequor, Rude Removal
  • cow and chicken - buffalo gals, no smoking

3.2.2. 성인 애니메이션


아래 세 작품은 작품 자체가 아니라 일부 에피소드에서 관련 논란이 벌어졌다.

4. 기타 작품


이러한 작품들 중 고정관념적 인종 관련 유머가 들어간 작품은 벤 바우른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톰과 제리[11]이나 어브 아이웍스가 감독한 little black sambo 등도 포함된다.
디즈니 작품 중 장편 영화에선 피터 팬의 중간에 홍인은 왜 빨갛나?[12] 노래가 연주되며, 부족장의 아이가 피터팬에게 키스할때 백인 히로인이 순간 장작더미를 내려치거나, 아리스토캣에선 한 고양이가 피아노 연주 중 젓가락을 집으며 건반을 두드려 중국인 흉내를 내는 씬, 덤보에선 까마귀들이 흑인들이 즐기던 탭댄스를 따라하는 씬, 알라딘의 아랍인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묘사 등이 있다.
TV판 애니메이션 중 1960년대 후기 쟈니 퀘스트나 슈퍼히어로물처럼 폭력성으로 인해 시민단체에서 항의했었던 사례와, 1990년대의 성인 애니메이션들, 니켈로디언, 카툰네트워크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위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내외적으로 논란이 일어나 방송금지된 애니메이션 단편이 몇몇 있다.

5. 여담


이런 문제들로 인하여 이 작품들 중 인종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유머가 드러난 경우의 작품들은 대부분 미국 도메인만 공개되어 있는 영화가 되었다.미국 도메인에 공개된 극장 애니메이션 단편 목록 이 중에서 일부 단편이 이런 문제로 DVD 출시가 상당 기간 동안 미루어졌는데, 이 목록에서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작품들은 나와있지 않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제작된 루니 툰, 뽀빠이, 디즈니 단편 선전용 애니메이션 필름도 스테레오 타입이 문제가 되어 늦게 광매체에 이식되어야 했다. 1960년대 후기부터 인종 스테레오 타입 유머 & 개그에 대한 논란이 일면서 해당 씬들이 TV 방송시 삭제 & 편집당하기 시작했고, 극소수지만 위에 수록된 단편들 중 일부는 스토리텔링, 캐릭터를 비롯한 작품성을 인정받아 재평가된 사례도 있다.[13]
래퍼이자 비욘세의 남편인 JAY-Z의 곡 'The Story of OJ'의 애니메이션으로 된 뮤직비디오에는 '''위에서 언급한 흑인 스테레오 타입, 인종 비하적인 묘사가 엄청 많이 등장한다.''' 본 곡을 비롯한 웬만한 흑인 래퍼들의 곡들부터가 인종비하적인 단어가 잔뜩 들어가 흑백 딱지가 붙은 일이 다반사인데다가, 본인도 흑인이라서 이런 건 제한을 두지 않는 듯 하다. 사실 뮤직비디오 내용 자체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역사, 미디어에서 받은 박해 를 묘사한 것에 가깝겠지만..

6. 관련 문서


[1] 이경우는 주로 태평양 전선에서의 추축국 황인(일본군)들에 대한 비하 및 희화화. 당시 전시선전용 애니메이션 자체가 추축군을 전체적으로 희화화하긴 했지만...[2] 이 작품에서는 디즈니 카툰의 오마쥬가 드러나 있는데. 중간에 흑인 톰이 해골을 보고 벌벌 떠는 장면은 1929년 디즈니 단편 시리즈 실리 심포니(Silly Symphony)의 해골 춤(The Skeleton Dance)을 패러디한 것이며, 피기가 배를 모는 장면은 미키 마우스증기선 윌리에서 배를 운전하는 모습이 연상된다.[3] 이 작품에서는 한 원시적으로 보이는 흑인 부족이 주인공 세일즈맨을 닭으로 바라보며 삶아먹으려고 한다. 중간에 여왕이랑 마주쳐 결혼하려 하지만, 세일즈맨은 그것을 거부하고 도로 솥으로 다이빙(...).[4] 이 작품은 엘머 퍼드(당시에는 달걀머리)가 등장한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검열된 11편 목록에 들어가 있다.[5] 이 작품은 벅스 버니가 등장한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검열된 11편 목록에 들어가 있다.[6] 한국 TV에서는 <멍청한 일본군들>이라는 제목아래 방영됨.[7] 더군다나 흑인이 주인공이다.[8] 스테레오타입과 과장된 묘사를 지적한 게 아니라, 흑인들과 백인들의 교류가 비현실적이고(당시 인종차별이 만연한 미국에서는 있을 수가 없는 일이었다.) 잘못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9] 일단 보면 알겠지만 노골적인 흑인 비하로 가득하다. 모기에게 물려도 반응속도가 3초나 늦을 정도로 게으른 것, 수박 먹는 장면 등등... 1948년 재상영 당시 NAACP에서 영화의 내용에 대해 유니버셜 측에게 항의하는 소동이 빚어진 적도 있다.[10] 이 단편 말고 종종 블랙 페이스가 나오는 에피소드들이 톰과 제리에서 여럿 있다.[11] 흔히 알고 있는 그 고양이가 아니라 이름만 같은 인간 캐릭터들이다.[12] 노래 제목을 직역하면 이런 의미가 나온다.(what the red man red)[13] 대표적인 예시로 1994년 출간된 the 50 greatest cartoons에서 coal black and de sebben swarfs, 총통각하의 얼굴이 각각 21번, 22번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