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tle for Dream Island
비공식 위키[7]
제작자 유튜브 채널
BFDI에피소드 목록
1. 개요
Cary Huang(캐리 황)과 Michael Huang(마이클 황) 쌍둥이 형제가 제작한 유튜브 애니메이션.
작품의 특징은 필기 도구나 일반 사물과 같은 다양한 물건[8] 들이 꿈의 섬(Dream Island)를 차지하기 위해 팀을 꾸려 경쟁하는 서바이버 형식의 애니메이션이다. 미국 애니메이션 Total Drama Island와 유사한 경쟁구조를 갖고 있지만, 등장인물들이 사람이 아닌 사물이고 유투브 덧글을 통해 투표하여 등장인물을 퇴출 시키거나 시청자가 캐릭터를 건의하는 등 시청자의 개입이 활발하여 현재는 팬층이 두터워졌다. 이 덕분에 Inanimate Insanity를 포함한 다양한 애니메이션들이 BFDI를 패러디하며 등장하기 시작했고, 이는 BFDI가 Object show라는 장르의 시초가 되게끔 했다. 모든 2D 애니메이션은 어도비 플래시로, 3DCG는 Processing으로 제작되었으며, 2010년 1월 1일에 첫 1화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모든 에피소드를 유투브에 게시했다.
Dream Island의 최초 소유자인 Announcer Speakerbox가 각 에피소드별 사회자를 맡고 있으며, 시즌 2부터는 돌림판을 통해 각 에피소드별 도전과제를 결정한다. 팀별로, 혹은 개인별로 도전과제를 해결하고, 심판의 판정을 통해 개인별 점수, 또는 팀별 승패여부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서 해당 에피소드의 탈락 후보(Up For Elimination)가 될 등장인물들이 결정된다.
이때 시청자는 탈락 후보들 중 유튜브 하단의 덧글창을 통해 누구를 탈락시킬지 작성하고, 일정 기간내에 작성된 이러한 덧글들은 모두 '''수작업으로''' 집계되어 다음 에피소드의 Cake at Stake라는 패널에서 가장 많은 득표수를 받은 등장인물이 탈락하게 된다.
BFDI 시리즈는 개인이 제작한 애니메이션인 만큼 여러 비판을 받기도 한다. 작화 붕괴[9] 와 설정오류, 그리고 '''굉장히 느린 업로드 속도'''에 의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BFDIA 5e의 다음 에피소드 IDFB는 케리 황, 마이클 황의 대입 및 대학생활[10] 로 인해 업로드 예정일보다 3년이나 늦어졌다. 또한, 애니메이션 초기에는 캐릭터의 말소리를 톤만을 통해 구분해야 하는 점에 캐릭터 간의 큰 개성이 눈에 띄지 않아 비판받았었다. 하지만 그때 당시 중학생이었던 캐리 황과 마이클 황 2명이 모든 애니메이션과 믹싱을 다 담당하면서 20명이 넘는 캐릭터를 전부 연기했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캐릭터들 마다 각각 다른 톤과 억양을 줌으로서 목소리 문제를 다소 해결하긴 했지만, 이후 제작자의 변성기가 찾아오면서 성별을 특정하기 힘든 목소리를 갖게 된 된 캐릭터들이 생겨나버렸다.[11]
여담으로, 제작자 본인들이 이 작품을 가지고 영상 합성물 같은걸 만들어 인지도를 높이기도 했다.
2014년 어른의 사정으로 인하여 AdSence 계정이 차단되어 결국 BFDIA 제작을 중단해야만 했으며 2년 뒤에 사과와 함께 이 사실을 알렸다. 관련영상 이 때문에 앞으로의 BFDIA 제작은 힘들 것으로 보였으나, 최근에 AdSence 차단이 해제되었다는 사실이 보고 되었는데 이제 동영상 업로드에 문제가 없어진 것으로 알려진다.
인지도는 초기에는 많이 낮았고 연령층이 어렸으나 현재는 팬층이 어느정도 확장되었고, 초기 팬들의 나이도 높아짐에 따라 오너캐를 만들거나 팬아트, 팬픽, 영상 리믹스 같은 2차창작물이 디비언트아트와 텀블러를 중심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
또한 BFDI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구독자 수는 11명에 불과했으나[12] , 18년 8월 현재 구독자 수는 40만명 정도로 크게 늘었다.
2018년 8월 7일 구독자 40만명을 돌파했고 유튜브 로고가 바뀌었다.
2. 스토리
주 내용은 Dream Island[13][14] 를 얻기 위해서 캐릭터들이 고군분투(?)하는 내용. 또한 우승자는 Dream Island에 누가 들어갈 수 있는지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진행자는 Announcer. 형상은 스피커.
고유 진행 프로그램인 Cake at stake[15] 는 시즌1에서는 댓글을 통해 Elimination time(탈락자 정할 시간)에서는 탈락 후보들 중 탈락시킬 캐릭터를 투표하고, Rejoining time(복귀자 정할 시간)에서는 다시 게임에 복귀시킬 캐릭터를, Vote a new character[16] (새 캐릭터 고를 시간)에서는 새로 참가시킬 캐릭터를 투표한다. 탈락한 캐릭터는 Tiny Loser chamber(작은 탈락자 보관소)에 들어간다. 이 곳의 약자는 TLC.
시즌2의 경우 탈락 후보에 해당 동영상에 좋아요와 싫어요 표시를 하면서 투표하는데 좋아요가 가장 많은 캐릭터는 상품을 획득하고, 싫어요가 가장 많은 캐릭터는 탈락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상품을 획득하는 캐릭터도 진 팀에서 선택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해 배신때리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었고, 에피소드 5e에서는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가 일어나면서 결국 BFB에서는 투표 방식이 시즌1때로 돌아갔다.
시즌 1 한정으로 컨테스트에서 이긴 팀의 MVP는 Win Token을 획득했는데, Cake at Stake에서 자신이 원할 때 득표 수를 절반으로 줄인다. 초록색 동전에 WT가 새겨져 있다. 또한 Win Token을 여러개 보유하고 있어도 한 번에 한개씩만 쓸 수 있다. 이후 개인전으로 넘어가면서 1개 당 15포인트로 교환되었다.
BFDIA 3에 따르면 캐릭터들의 수명은 무한인것 같다. Golf ball이 만든 책이 출시일이 '''기원전 10억 년'''이라고 하고, Pencil이 이 책이 10억 년도 넘었다고 한다. 그런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커플에 대한 단서는 좀처럼 없는 편.[17] 실제로 제작자도 커플을 신경 쓰지 않는다고 한다.
3. 제작진
- 창립 멤버(2008)
- Cary Huang - 스토리 담당. Michael과 같이 남자다. 처음에는 애니메이팅도 담당했다. Ice Cube, Match, Pin, Spongy(대부분의 경우), Tennis Ball, Rocky(BFDI 한정), Ruby, 8-Ball, Marker, Bracelety, X를 담당한다.
- Michael Huang - 음악 담당. 처음에는 케빈 매클라우드의 음악을 써서 큰 역할은 없었다. Bubble, Blocky, Spongy(가끔씩), Coiny, Eraser, Firey, Flower, Golf Ball, Needle(IDFB까지), Pen, Pencil, Tennis Ball(BFDI한정), SnowBall, Woody, David, Ruby(IDFB까지), Bomby(IDFB까지), Book, PuffBall, Yellow Face, Robot Flower, Loser, 4를 담당한다. Cary보다 2분 동생이다.
- 특별 성우 (BFDIA)
- Adam (Tylor) Katz - Nickel 담당. 성별은 남자로 Inanimate Insanity의 제작자.
- Graham Tylor - BFB 23화까지 Gelatin 담당. 성별은 남자.
- Ian Woodside - BFB 24화부터 Gelatin 담당. 성별은 남자.
- IDFB 이후
- Satomi Hinatsu - 애니메이팅 담당. 여자다. Ballony, Ice Cube(BFB 1 한정), Clock, Black Hole, Saw, Needle(BFB 1 한정), Basket Ball, Fanny, Bottle, Firey Jr., Bomby, Gaty, Rocky를 담당한다.
- Kenzie Braient - 스토리와 애니메이팅 담당. 여자다. Bell, Cake, Needle(BFB 2부터), Ice Cube(BFB 2부터), Barf Bag, Taco를 담당한다. 다마고치를 좋아한다고 한다.
- Sam Lee - 남자다. Stapy, Lolipop, Pie를 담당한다.
- Katherine Sun - 여자다. Eggy와 Naily를 담당한다.
- Sabrina Barba - 여자다. Liy와 Lightning을 담당한다.
- Cindy Jiang - 여자에 한국인으로 추정.# Pillow와 Flody를 담당한다.
- Thomas Chick - Tree 담당. 성별은 남자다.
4. 등장인물
Battle for Dream Island/등장인물 문서 참조.
5. 시즌 목록
BFDI ~ BFDIA 4의 투표 화면
BFDIA 5e, IDFB의 투표 화면
BFB 1의 투표 화면
BFB 2 ~ 9의 투표 화면
BFB 10의 복귀 투표 화면
BFB 11~현재의 투표 화면
5.1. Firey wants to keep customers happy
2008년 5월, Michael Huang과 Cary Huang이 초등학교 5학년 때 수행 평가로 만들었던 가상의 카탈로그의 맨 끝부분의 만화 부분이다.
'''최초의 BFDI 만화'''로, 이 만화에서는 5명[18] 만 출연한다. 내용은 Firey가 애들한테 불타게 하는 게 소원이라는 이야기.[19]
5.2. FIREY(만화)
BFDI 시리즈의 시작.
캐리 황이 만든 작품. 달랑 2권으로 끝난 만화였지만 BFDI의 기반을 다진 작품 중 하나다. TFI처럼 대회를 기반으로 하고있다. Leafy, Pin, Needle, Pen, David를 제외한 17명의 캐릭터들이 등장했으며 BFDI 시리즈의 발전을 보여준 작품이다.
5.3. TFI
BFDI 시리즈의 베이스가 된 작품.
풀네임은 '''Total Firey Island'''로, 캐나다 애니메이션 '''Total Drama Island'''에서 따왔다. 총 18권이지만 9권만 공개되었다. 현재 유실된 상태인지 연재가 되지 않는다. 2008년 9월 토요일 부터 2009년 9월 토요일까지 연재됐다. 최종우승자는 '''Pencil'''이며 섬을 얻기 위한 고군분투라는 건 동일하다. 거의 BFDI 시리즈의 탄탄한 스토리를 마련해준 장본인일지도. 이때까지도 캐릭터들의 이름과 모습이 약간 달랐었다.
5.4. TFP
'''BFDI 시리즈의 스토리보드를 가지고 있는 만화.'''
Leafy, Pin, Needle, Pen이 시리즈에 등장했다. 이 작품은 5권까지 있는데 1권이 지금의 '''BFDI1A의 스토리보드다.''' 이것에 대한 정보는 1권과 5권의 정보만 있기 때문에 2, 3, 4권에 대한 정보는 아직은 불명이다. 다만 제작자가 스토리보드라고 공개하는 것과 동일 작품이라면 7권까지 공개된 상태이다.
5.5. BFDI
[image]
2010년 1월 1일 ~ 2012년 1월 1일
16화까진 전체관람가지만, 17화부터는 7세관람가 제한이 걸려있다.
플래시 애니메이션. 최초로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의 모든 요소가 확립된 애니메이션으로, Inanimate Insanity와 같이 이를 모티브로 한 여러 애니메이션들이 생겨나게된 배경이 되었다.[20]
이 시즌에 참가한 캐릭터들[21] 은 BFDIA에서 'Original Contestants(원조 참가자들)' 취급을 받고 있다. David는 에피소드 18에서 최다 득표로 BFDI에 합류했다.
Announcer Speaker Box는 스피커로서 Battle for Dream Island의 최초 소유자이자 에피소드별 게임을 진행하는 인물인데, 에피소드 22에서 Announcer가 죽자 Firey Speaker Box와 Flower Speaker Box가 잠시 진행자를 대신하기도 했다.
5.5.1. 에피소드 가이드
5.5.2. 팀 구성
- 탈락된 순서[25][26]
- (에피소드 21에 복귀)
- (에피소드 14에 복귀)
- (에피소드 9에 복귀)
- Woody
- Pin
- Needle
- Teadrop
- Golf Ball
- Coiny
- Snowball
- Match
- Eraser
- Pen
- Blocky
- Tennis Ball
- Pencil
- David
- Ice cube
- Rocky
- Spongy
- Flower
- Bubble
- Leafy
- Firey
5.5.3. 참가자별 득표수
- 숫자는 득표수이며(투표 면제는 -로 표시), 진한 빨간색은 탈락[27] , 주황색은 투표에서 마지막 생존[28][29] , 파란색은 투표에서 가장 먼저 생존.[30]
- 에피소드의 기준은 투표를 공개한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순서는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5.6. BFDIA
[image]
시즌 1의 BFDI를 마치고 1년간의 공백 이후에 돌아온 새로운 시즌이다. 이전 시즌에서 Leafy가 훔친 Dream Island를 되찾아오고 그 주인을 결정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Announcer Speakerbox는 BFDI 마지막화를 끝으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에피소드 3까지 TV가 대신 맡아서 진행하고 그 후부터는 Puffball Speakerbox, Firey Speakerbox 등 참가자가 소유한 스피커를 심판으로 삼아 진행한다. BFDIA 에피소드 5는 하나의 큰 경쟁 종목[39] 을 세우고 이를 해결하는 5개의 화로 나누어져 진행했다.[40]
- 에피소드 목록
- Yeah, Who? I Wanna Know
- Get Digging
- Insectophobe's Nightmare 3
- Zeeky Boogy Doog
- 5a : Get in the Van
5.6.1. 팀 구성
5.6.2. 참가자별 득표수
- 순서는 순위(낮은 순위가 밑)로 하되, 탈락하지 않은 참가자들은 알파벳 순서로 나열.[47]
- 좋아요 투표: 숫자는 득표수이며(투표 면제는 -로 표시), 빨간색은 가장 적은 표, 연두색은 2번째로 가장 많은 표, 진한 파란색은 가장 많은 표(선물 추첨).
- 싫어요 투표: 숫자는 득표수이며(투표 면제는 -로 표시), 진한 빨간색은 탈락, 주황색은 투표에서 마지막 생존, 파란색은 투표에서 가장 먼저 생존.
- 투표 수 작성은 (좋아요 개수/싫어요 개수)로 표시.
5.6.3. BFDIA 5b
[image]
게임 링크
홍보영상 링크
타 에피소드와 달리 5b화는 제작자중 하나인 Cary Huang이 직접 개발한 플래시 게임으로 진행된다. Freesmart 멤버들이 Evil Leafy의 몸속에서 탈출하는 내용으로서 2d 플랫폼을 채용한 '''퍼즐게임''' 형태로 진행된다. 처음에는 Book만 조종하다가 나중에는 Match와 Ice Cube도 조종이 가능하고, 들면서 이동시켜야 하는 녀석(?)이자 엑스트라인 Lego block, Tune, Waffle도 있다. 일정 스테이지 이후부터는 Hand-power Recovery center(HPRC)도 사용할 수 있다. HPRC의 입력부와 출력부가 두개로 나눠졌기 때문에 서로 떨어진 장소로 이동하기 이한 도구로 사용된다.
여담으로 스테이지 중간에 나무에 글자가 하나씩 매달려있다. 현재는 'I'까지만 달리고 끝이지만 제작이 재개되면 'Y'까지 달릴거다. 왜냐하면 글자 순서상 'E', 'V', 'I'(, 'L', 'L', 'E', 'A', 'F', 'Y'). 즉 'Evil Leafy'이기 때문. 다만 현재 BFB로 활동이 활발한데도 BFDIA 5b는 여전히 개발중지상태다.
사용자가 조종할 수 있는 캐릭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Book
- 기본으로 제공되는 캐릭터. 충돌영역이 2x2크기로 인식되며, 불에 닿으면 죽는다.
- Match
- 중반 스테이지에서 Book으로 Match를 구출한 이후 사용할 수 있다. 충돌영역이 1x3크기로 인식되어 타 캐릭터보다 키가 높기 때문에 Match를 주로 이용해야하는 스테이지도 존재한다. 반대로 2블럭 크기를 못 지나가서 Book를 사용하기도 한다. 불에 닿아도 머리에 불만 붙지 죽지는 않는다.
- Ice Cube
- 중반 스테이지에서 Book과 Match로 Ice Cube를 구출한 이후 사용할 수 있다. 충돌박스는 Book와 같지만 손이 없어 물건을 들 수 없는 대신 이동속도가 제일 빠르고, 불에 의해 가장 빨리 녹는다. Ice Cube 구출 이후 스피드를 이용해야 하는 스테이지에 사용된다.
5.7. IDFB
[image]
BFDIA 5e 에피소드 이후 3년의 공백기를 지나 돌아온 다음 에피소드이다. 인트로와 함께 그림체가 많이 바뀌었다는 것이 특징.
Michael가 애니메이션을 맡은 오프닝 전 장면과 오프닝은 등장인물의 입 모양이 Asset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그려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체관람가로 다시 돌아왔다.
이전과 같은 경쟁체제가 아닌 새로운 등장인물을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제도로 진행하는 듯 하다.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wikia 내 Annual Battle of the Fantasy Foods(가상음식 인기투표) 제4회에서 우승하여 Fandom Fantasy Food Truck에서 Yoyle Cake를 제작하여 팬들에게 사인과 함께 나워주었다고 한다.
또한 이전과는 달리 무성영화를 오마쥬하는 등 다양한 미니소드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차기 시즌인 BFB가 업로드되면서 IDFB는 1회로 끝났다고 한다. 안습.
5.7.1. 참가자별 득표수[53]
- 이름 왼쪽의 숫자는 순위, 이름 오른쪽의 숫자는 표 수입니다.
- 순서는 순위 순서대로 쓰되, 동점일 경우 이름 순으로 씁니다.
- Match 3427
- Pen 2426
- Puffball 1661
- Teardrop 1598
- Firey Jr. 1374
- David 1234
- Blocky 523
- Snowball 503
- Nonexisty 501
- Black Hole 323
- TV 318
- Barf Bag 293
- Taco 288
- Dora 273
- Roboty 250
- Eraser 209
- Cloudy 149
- Eggy 140
- Cake 138
- Grassy 138
- Donut 115
- 8-Ball 110
- Marker 110
- Pie 110
- Robot Flower 88
- Basketball 80
- Lollipop 74
- Balloony 71
- Lightning 65
- Pillow 63
- Remote 54
- Gaty 51
- Saw 46
- Tree 46
- Naily 44
- Fanny 42
- Bell 41
- Clock 37
- Brecelety 32
- Bottle 30
5.8. BFB
Object shows의 정체기의 끝을 알린 작품. 그리고 이때부터 BFDI 시리즈가 오픈소스가 되었다.
BFDI 시즌 4. 풀 네임은 Battle For B.F.D.I. - Battle For B.F.B. 가장 최근에 올라온 영상(IDFB 1, Baller)에서 5달 뒤에 올라온 영상으로, 참가자 수도 모두 '''64'''명[54] 으로 역대 최다이다. 이로인해 게임은 8개의 팀으로 나뉘어 진행한다. 그리고 IDFB와는 달리 첫 화부터 탈락 후보를 보여주고, TLC에 갇혀있던 모든 참가자와 새로 나온 참가자들이 이번 시즌에 참가한다.
줄거리는 대략 Four와 X가 참가자들에게 '''BFDI 그 자체'''를 걸고 게임을 하자고 제안한다는 내용이다.
오프닝의 쓸데없는 고퀄리티와 약빤 느낌이 특징.[55] IDFB보다도 작화가 대폭 바뀌어, 얼굴과 사지 부분이 애니메이트 내장 도구로 그린듯한 모습으로 변했다. 허나 실질적으로 BFDI 시리즈에서 가장 퀄리티가 높다. 하지만 스토리가 지루해졌고, 캐릭터 대부분의 성격이 유치하게 변해 요즘 들어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 BFB 틱톡 모음집이 나오자 그 악명을 아는 사람들은 더욱 질색해 했다. 다행히 22화에서 Firey와 Leafy 사이의 관계를 잘 묘사하며 평가가 돌아설지도 모른다.
성우 또한 대폭 추가되어 캐리 황과 마이클 황을 포함해 총 11명. 그리고 예전 시리즈에 나온 온갖 내용들을 오마주하고 있다.
내용은 IDFB에서 요욜시티에서 1년 동안 있다가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며[56] LOL&TLC 수감자들도 풀려난 것으로 보인다. 이번편에서는 Assest가 바뀌었고 HPRC[57] 가 없는 대신 4가 그 역할을 한다.[58]
BFDIA에서 선물을 추첨 받는 대상도 패배팀에서 결정된다는 것 때문에 BFDIA 5e에서 생긴 배신이 문제가 많아 이번 시즌에서는 좋아요 투표를 다시 없앴다. 개표는 BFB 2에선 4가 보드판에 크레용을 그어서 어떤 참가자가 얼마나 많은 표를 얻었는지를 나타내고, 이후로는 캐릭터 옆에 숫자를 띄워준다. 케이크는 4 아니면 X[59] 가 담당한다. 17화부터는 가장 적은 표를 받은 대상이 탈락한다.
에피소드 16에는 새로로운 인물인 2가 등장해 참가자들 사이에서 분열이 일어나 대부분은 2가 진행하는 The Power of Two(TPOT)[60] 로 빠지고, 14명만 남아 BFB를 이어간다.
에피소드 18부터는 탈락자는 4에게 흡수되는것이 아닌, BRB[풀네임] 로 끌려가게 된다.[61][62]
26회에서 Profily[63] 등의 난입으로 시끄러워져 Four와 TOP 5, 그리고 Purple Face는 새로운 곳으로 이사 간다.
Thanks for 4 years of Thanks for 4 years!를 제외하면 BFB 작품군은 더이상 Cary가 주도하지 않고, Satomi와 Michael이 주도하게 된다.
4와 X가 떠서 전체관람가이다.
5.8.1. 팀 구성
5.8.1.1. Battle for BFDI (BFB 1~BFB 16)
5.8.1.1.1. 득표 수
- 순서는 초기 탈락자일수록 오른쪽으로 하되, 탈락하지 않은 참가자들은 알파벳 순서로 나열.
- 숫자는 득표수이며, 진한 빨간색은 탈락,주황색은 투표에서 마지막 생존,파란색은 투표에서 가장 먼저 생존.
- BFB는 참가자가 매우 많기에 팀별로 작성했습니다.
- 에피소드의 기준은 투표를 공개한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5.8.1.2. Battle for BFB (BFB 17 ~ 27)
5.8.1.2.1. Newbie Alliance
[image]
22회에서 Gelatin과 Lollipop이 결성한 연맹으로, 25회에서 Teardrop, 26회에서 Leafy, Flower가 들어오며 TOP 5가 모두 소속되었다.
28회에서 Announcer가 팀을 만들라고 할 때, Gelatin이 그대로 팀명으로 확정지었다.
5.8.1.2.2. 득표 수
- 숫자는 득표수이며, 진한 빨간색은 탈락, 주황색은 투표에서 마지막 생존, 파란색은 투표에서 가장 먼저 생존, 초록색은 투표에서 2번째로 생존.
- 에피소드의 기준은 득표를 공개한 에피소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여기서의 투표는 이전과 다르게 시청자들이 가장 살리고싶은 멤버를 투표하며, 따라서 가장 적은 표를 받은 참가자가 탈락합니다.
- Have nots 팀원은 노란색, Have cots 팀원은 파란색으로 표기.
5.9. TPOT
BFDI 시즌 5. 풀 네임은 Battle for Dream Island: The Power of Two. 예고 이후 10개월 만에 첫 회가 올라왔다. 참가자 수는 42명으로, 7명씩 6팀으로 진행한다.
오프닝은 BFB 때보다도 더 진보했다. BFB의 작화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탈락자는 호텔이 된 화장실 안에 갇히는 것으로 추정된다.
5.9.1. 팀 구성
5.9.1.1. The Strongest Team On Earth.(지구에서 가장 강한 팀.)
[image]
Basketball이 잘 꾸려놓은 팀에 마지막으로 Snowball이 들어와 형성된 팀이다.
5.9.1.2. Death PACT Again(다시 죽방나지)
[image]
BFB 시절 Death PACT에서 팀원 변동이 생겼다.
5.9.1.3. are you okay(괜찮아)
[image]
Golf Ball이 또 다시 이름을 ABNTT처럼 짓게 될까 말을 더듬을 때, Tennis Ball이 위 말을 하여 팀 이름이 되었다.
징글이 MBC와 유사하다.
5.9.1.4. Team8s(팀ONE)
[image]
WOAH Bunch계[87] 와 지그재그계[88] 가 싸울 때, Saw가 중재하며 우리는 팀원이라고 했다. 이때 특유의 8 악센트 때문에 생긴 리트가 백미.
5.9.1.5. The S!
[image]
본래 Loser 때처럼 The Winners!로 하려고 했지만 Winner가 자신의 이름은 빼달라고 하였다. 그래서 말 그대로 Winner만 빼서 s가 됐다.
5.9.1.6. Just Not
[image]
Cake가 다른 팀 이름을 이상하다고 하자 Book과 Pillow가 우리는 다를 거라고 했고, Naily가 "우리는 그렇지 않을 거야"(Just Not)라고 하면서 팀 이름이 되었다.
6. 공식 한글 자막
BFDI는 '''영어 자막이 있는 일부 에피소드와 미니소드의 경우'''에 한해 공식적으로 한글 자막이 제공되고 있다.
한글자막은 디시인사이드 미국 애니메이션 갤러리의 한 회원이 맡아 제작하고 있으며 언어유희가 많은 BFDI 내 개그에도 불구하고 번역 퀄리티도 높은 편.[89][90]
한글자막을 보고 싶다면 유튜브 상태바 우측에서 자막 버튼을 눌러보자.
등장인물의 이름은 Battle for Dream Island/등장인물에 작성된 본래 사물의 한글이름과 달리 파이어리, 테니스볼 등 영어 이름을 한글로 옮겨 작성되었으나, TB, GB 등 약칭으로 불리는 경우 "테니" 등으로 의역되었으며, 약칭이 아닌 Icy같은 경우 -y로 끝나는 애칭의 경우 등 폭탄이, 얼음이 등 아예 완전번역 되었다. Needy의 경우는 뾰족이로 번역.
Spongy와 Yellow Face의 대사는 높임말로 번역했는데, 둘 다 어딘가 덜떨어진 캐릭터라는 걸 생각하면 기분이 묘하다.[91]
현재는 BFB가 꾸준히 연재되는 만큼 자막도 올라오고 있다. BFB 시즌 부터 기존에 자막을 담당하던 자막러는 활동하지 않고 있지만, 모든 에피소드에 다양한 팬들이 자유롭게 자막을 수정하여 업로드 할 수 있게 되었다. 단점이라면 자막 퀄리티가 들쑥날쑥이라는 것.[92] BFB 2, 13, 15 등의 에피소드는 자막 개시가 되어있지 않으나, 자막 자체는 작성이 전부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자막에 참여하는 사람이 부족한 듯 하다.[93]
BFB 17부터는 영어 자막이 없기 때문에 한글 자막이 없다.
6.1. 한글자막이 지원되는 에피소드 목록
BFDIA의 에피소드 5 전체(5a~5e)와 IDFB에피소드, BFB 1, 3~12,14는 한글자막이 제공되고 있다.
- 에피소드
- BFDIA 5a: Get in the Van
- BFDIA 5c: No More Snow!
- BFDIA 5d: It's a Monster
- BFDIA 5e: The Long-lost Yoyle City
- IDFB 1: Welcome Back
- BFB 1: Getting Teardrop to Talk
- BFB 3: Why Would You Do This on a Swingset
- BFB 4: Today’s Very Special Episode
- BFB 5: Fortunate Ben
- BFB 6: Four Goes Too Far
- BFB 7: The Liar Ball You Don't Want
- BFB 8: Questions Answered
- BFB 9: This Episode Is About Basketball
- BFB 10: Enter the Exit
- BFB 11: Get to the Top in 500 Steps
- BFB 12: What Do You Think of Roleplay?
- BFB 14:Don't Dig Straight Down
- 미니소드
7. 파생 애니메이션 목록
jacknjellify(본인이 만들지는 않음)가 트위터에 올린 Object shows 연재 날짜
괄호 안은 직역제목이다.
A - B는 BFDI(A) 캐릭터 - 다른 캐릭터 로 비슷한 점을 가진 쪽을 설명. 중괄호 안은 정식 약자.
끝나가거나[94] 이미 종료된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은 별도 표시.
- Inanimate Insanity (종료/우승자: OJ)[96][98][100]
- Inanimate Insanity II (무모한 무생물 Ⅱ) {II2}[95]
- Object overload[101] (물건들의 대혼란){OO}[102] Bubble - Watermelon(사망빈도)
- Brawl of the objects (종료/우승자: Shieldy)(물건들으로 겨루기)[103][104] {BOTO} Spongy - Boombox(몸집이 큼) 역대 2번째로 시청 시 경고문이 붙은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이다.[105]
- The strive for the million!(백만달러를 위해 싸운다!)
- Article Insanity(무생물 기사) yoyleberry(열매) - Yoyleberry
- Object Insanity(무모한 물건)[106]
- Object mayhem()[107] (물건들의 대혼란) Puffball - Phone,Tune(역시 다이나믹 보이스) Coiny - Donut(구를 수 있음) Donut - Donut(디자인 제외 일치)
- Challenge the win(챌린지에서 이겨라) (종료/우승자: camera)
- Challenge 2 win(챌린지에서 2겨라)
- Object universe(종료/우승자: Map)[108] (물건들의 우주)
- Object Twoniverse(물건들의 우주 2)
- Object Madness(물건들의 광기) Nickel - Nickel(일치); Tennis Ball - Tennis Ball(일치); Puffball - Puffball(일치)/Puffbull(???)
- Object havoc(물건 대파괴)
- Object multiverce(물건들의 멀티버스)
- Next top thingy(다음번 최고의 물건은)
- Insane fury(미친 원한)
- Object Survival Island(3명 생존/피날레 진출[109] )(물건 생존 섬){OSI} Donut - Donut(일치)
- Object planet(물건 평원)
- Object Illusion(물건들의 착각) Illusion은 첫자를 대문자를 적었을 뿐 'illusion'(환각, 환영, 착각)이다.
- Mystique Island(신비의 섬)[110]
- Objects at sea(물건들이 바다에 왔어요) Donut - Donut(설정 제외 일치)[111]
- Battle for Space Palace (우주궁전을 위한 배틀)(종료/우승자: ???) - 결승전까지 갔지만 우승자가 끝끝내 밝혀지지 않은 채 시즌 1이 종료되었다.[112]
- Battle for Space Palace Again(다시 우주궁전을 위한 배틀)
- Object Land(물건 땅)(중단) 제작자의 사정으로 인해 4회까지만 제작되고 폐지되었다. [113]
- The Race of Children/TROC() - Deviantart.com에서 연재한다.
- (그 외)
여담으로 Challenge the win, Object univerce등을 제외해서 진행자가 전부 기계[114] 다.
그리고 Inanimate Insanity의 Taco와 Object mayhem의 Burrito하고 디자인이 닮았지만, 차이점[115] 이 있긴 하다.
7.1.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의 암묵의 룰
- 캐릭터 끝에 '-y' 붙이기 (원래 -y로 끝나는 캐릭터는 제외)
- Battle for Dream Island - 'Firey', 'Leafy', 'Coiny', 'Rocky', 'Woody', 'Bomby'
- Brawl of the objects - 'Shieldy', 'Popsicley'[116] , 'Shelly', [117] , Controley[118]
- Object overload - 'Toothy', 'Casey', Gamey[119]
- Object Survival Island - 'Drummy', 'Yarny', 'Pillowy', 'Stinky Cheesy', 'Sugary', Nukey
- Object korea - 'painty'
- 성격 나쁜 캐릭터 넣기
- Battle for Dream Island - 'Flower', 'Snowball', 'Golf Ball', (에피소드 25의)'Leafy'[120]
- Battle for Dream Island Again - 'Donut', 'Fries', 'Dora', 'Match', 'Evil Leafy'
- Inanimate Insanity - 'Balloon', 'Knife', 'Mephone4S'[121] , (에피소드 10~13의)'Paper'[122] , 'Evil Bow'
- Inanimate Insanity II - 'Trophy', 'Cherry', 'Paintbrush', 'Yin-Yang'의 'Yang'[124]
- Brawl of the objects - 'Pear', 'Scissors'
- Object mayhem - 'Gun'
- Object havoc - 'Lighter'
- Object korea - 'Chile'
- 바보 캐릭터 넣기
- 캐릭터들 중에 음식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넣기
- Battle for Dream Island - 'Ice Cube'
- Battle for Dream Island Again - 'Fries', Donut[128] , 'Gelatin'
- Inanimate Insanity - 'OJ', Marshmelow[129] ,'Taco', 'Pickle', 'Apple'
- Inanimate Insanity II - 'Cherry', Cheesy[130]
- Brawl of the objects - 'Pizza', 'Hotdog', 'Chocolatey', 'Baguette', 'Pear'
- Object overload - 'Watermelon', 'Pumkin'
- Object mayhem - 'Burrito', 'Toast', 'Donut'
- Object havoc - 'Carrot'
- TROC - 'Orager', 'Olive'
-
- Battle for Dream Island와 Battle for Space Palace 제외 전체...[131]
8. 여담
- BFDI 제작자들인 Cary Huang, Michael Huang은 어도비 플래시(애니메이트)같은 프로그램으로 (BFDIA 5b 제외) 진지한 소재를 다루기도 한다. 그중에는 Scale of Univerce 2같은 고퀄리티도 있다. 아마 IDFB 2가 2017년으로 미뤄진 이유도 이것과 관련되어 있는 듯 하다.
- 2017년 1월 말 드디어 공식 섬네일이 만들어졌다. IDFB 이후 에피소드는 원래 섬네일이 있었으므로 예외. 그런데 IDFB 그림체와는 영 이질적이다.
- carykh는 메인 채널인 Jaknjellify의 30~45% 정도의 구독자 수를 가지고 있는 BFDI 제작자들의 서브 채널로, 연재 하는 것들 중 몇몇을 보면 알고두를 잘 다루는 것 같다.
- katyj98은 BFDI trivia 제작자로서 가장 유명하고 jacknjellify의 10~20%정도의 구독자 수를 가지고 있다. Everything Wrong With 패러디 영상을 보면 누가 됐든 작정하고 까는 것도 가능 한 모양이다. 만우절 장난이지만 자기 자신 가지고 227개의 문제를 발췌(?)해냈으니. 또한 조금 발더빙이 보이기도 한다.
- 시즌 1 에피소드를 모두 모으면 3시간 38분 23초짜리 영상이 된다고 한다. 정식 통합버전은 3시간 50분 15초짜리인데, 썸네일이 온갖 뾰족한 게 버블을 덮치는 그림이다.
- 시즌 1 에피소드 5에서 Pen이 PENISLAND(Pen Island / Penis Land)드립을 쳤다.[140] 비슷하게 시즌 1 에피소드 1에서는 Eraser의 Bossy-bot이 나왔다. 팬들은 반쯤 농담으로 이 드립이 시즌 4 에피소드 3의 "And Pen is dead!"로 이어졌다고 취급하고 있다.
- 시즌 1 에피소드 13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스코어보드의 점수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스코어보드가 업데이트가 안되거나, Rocky가 31점인데, Tennis Ball의 30점보다 밑의 순위로 표시되던가... 다행히 에피소드 14부터는 오류가 해결되어 점수가 정상적으로 나온다.
- 시즌 1 에피소드 1의 첫 번째 단어, 에피소드 2의 두 번째 단어, 이런 식으로 에피소드 25의 25번째 단어까지 모두 나열하면 "Yeah, what is it now? I see you are taking the word with the place of the episode number. This is it. Message, no coincidence."가 된다.
- Announcer은 BFDI 에피소드 1 스토리보드 당시 직사각형이 아니였다. 어딘가에 연결된 직사각형 관도 있었다. 근데 그때 연출은 전기선을 붙잡은 듯이 자유자재로 움직였다.
- 원작에선 커플 떡밥이 없고 데레 캐릭터 역시 없으나[141] 팬들은 주로 7가지의 커플을 미는 편이다.[142] 그중 제일 많이 미는 건 당연히 'Firey X Leafy'.[143] 아무래도 Firey Jr.의 존재가 이 커플을 뒷받침하는 듯 하다.
- 캐릭터가 아주 많은데 성우는 딱 넷이었다. 그것도 Nickel[144] (에피소드 18 한정)과 Gelatin[145] 를 제외하고 전부 공동개발자인 캐리 황과 마이클 황이 맡았다. 당연히 음성변조를 이용해서 만들었다. 여담으로 그동안 캐릭터 음성이 바뀐 캐릭터가 있다.[147] 다만 요새 BFB에서는 성우들을 꽤 고용했다.
- 파생 애니메이션들 중 Inanimate Insanity나 Brawl of the object등 고퀄리티 애니메이션 대부분은 지속연재중이나, Object Overload는 갈아엎고 감감 무소식. 뭐 원래 매화마다 공백기간이 상당히 긴건 어쩔 수 없지만. 여담으로 Mystique Island는 3년째 연재가 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원작은 어쩔수 없이 연재를 못했다는게 밝혀졌지만 이건...[148][149]
- BFDIA 6가 9월 1일에 다시 연재됐다. 카운트다운 여담으로 이걸 공지한 영상에서 작붕이 일어났다. 입 모양이 달라졌다. 또한 Needle이 Needy라고 불려도 별 화를 안 낸다.[150] 그런데 IDFB에선 다시 화를 낸다...
- ...그러나 정작 올라온 영상은 IDFB[151] 였다. 위의 BFDIA 6 공지영상의 작붕과 원래 그림체를 함께 사용한 애니메이션인데, 어째 원래 BFDI(A)에 없는 병맛끼가 살짝 난다... 다행인지 아닌지는 몰라도 이게 올라온지 하루만에''' 구글링 동영상 부문 1위를 차지했다.평가(디비언트아트)[152] 팬메이드 IDFB camp와 이것등의 다른 것도 검색이 되기 때문에 독점 1위는 아니다.
- IDFB는 뜬금없이(?) 참가자 목록에 Bubble, Leafy, Flower, Woody, Evil Leafy를 넣었다.[153] 그리고 Pin은 색깔이 하얘졌고 사지가 되돌아왔다.[154] Fries는 튀김이 하나밖에 안 남았다.[155] 참고로 IDFB 1 엔딩이 괴상(?)한데, Coiny가 Deep fried breath 만들겠다고 자신을[156] 끓는기름고문을 하는 걸 본 Leafy가 칼빵 놓으려다[157] 그냥 갔다...
- IDFB의 다른 제목은 dnalsI maerD roF elttaB이지만, 제작자 트위터에서 'It's Deep Fried Breaths'도 IDFB의 다른 이름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팬들은 IDFB의 부제목 dnalsI mareD roF elttaB를 쓰기가 어려운지 그냥 Island Dream For Battle로 쓰기도 한다.
- BFDIA 6 삭제된 장면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영상에는 5e 마지막에 떨어진 물건들(...)이 아직도[158] 떨어지고 있는데 그 사이 Ruby가 떨어지는 모두한테[160] 요욜베리(Yoyleberry)를 먹여서[161] HPRC를 통해 부활한 친구들[162] 이 모두 금속이여서 싫다고 한다. 그리고 HPRC가 5e에서 접착제[163] 에 붙어서 그냥 Yoyleland•Yoylecity[165] 에 눌러 살기로 한...게 삭제됐다고.
- BFDI의 전작 Total Firey Island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이 남겨진 영상(1분 38초)이 있는데, 여기에 적힌 내용은 사실 대부분 이걸 적기도 전에 있었던 설정이다. 작품 이름 정하는 브레인스토밍일 가능성이 높다. 바로 뒤에 '우리는 작품 이름을 Total Firey Island로 정했습니다'라는 자막을 보아 작품 이름 확정.[166]
- Total Firey Island 참여 캐릭터가 맨 처음 그려졌을 때, 한자가 같이 적혀있다.[167] 이 영상의 29초 부분에서 일시정지를 하면 '我(나 아)'나 '家(집 가)'등의 한자를 발견할 수 있다.[168]
- Inanimate Insanity가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의 거의 모든 암묵의 룰을 만들고 현재 거의 모두가 Inanimate Insanity를 따라하고 있다. 여기서 제일 예외적인건 원작인 Battle for Dream Island뿐.[169]
- BFDIA에 참가한 캐릭터들은 원래 Golf Ball은 20위 안에 들지 않았고 Gellatin은 아예 후보도 아니었지만 각각 INTERN-PONY707와 DEGRASSSI-FAN의 추천으로 참가되었다. 또한 총 투표자는 789명이고 총 투표수는 15532표다.[170]
- 시즌 전체를 통틀어 참가자들의 남녀성비가 딱 1:1이다. 물론 물건이기 때문에 성별이 별 의미는 없다만... 특히 BFDIA는 투표로 참가자를 선정하는 거였는데 원래 10:12의 성비가 나왔으나 죽거나 현장에 없는 캐릭터가 제외되어 도로 1:1로 돌아왔다.
[1] 비공식 위키에서는 IDFB를 원 제목, dnalsI maerD roF elttaB를 다른 제목으로 간주한다.잘보면 원제목의 스펠링이 거꾸로 되어있고 심지어 로고의 대문자들은 방향이 전부 반대이다.(...)[2] BFDIA 4에선 한정 로고를 사용했다.Battle For Nothing[3] BFB 17부터는 ''''Battle for BFB''''로 바뀌었다.[4] BFB 10에서 Battle For Nothing BFB 버전 인트로를 보여준 적 있다. BFB 17에선 X가 사라진 로고를 보여줬다.[5] 여담으로, 여기서 X의 발과 4의 몸통만 보면 bfb가 보인다.[6] 이것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다.[7] 이 문서와 Battle for Dream Island/등장인물에 있는 이미지의 출처다.[8] 'Flower'나 'Leafy' 같은 식물 캐릭터가 있긴 하다. 'David'와 'Dora'와 같은 Stick Figure 형태의 캐릭터도 있다.[9] 프레임 단위의 실수도 존재하며 (BFDIA에도 프레임 실수가 있다.) 에피소드 1 파트 2의 경우는 실수가 한 장면에 많이 있었다. [10] 마이클 황은 스탠포드 대학교에 다니고 있다.[11] Pencil, Golf Ball, Pin, Book(여자에 남자목소리).[12] 특히 초창기 시절엔 총 투표수가 두자리 수를 못 넘어서 연재 중단을 우려했다고.[13] Announcer의 언급에 따르면 꿈에서만 상상하던 곳이 진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일명 Dream Island(꿈의 섬). 그곳에는 1 평방 마일(약 2.6km²이다.)의 낙원이라서 뭐든 할 수 있다고 한다. 5성급 호텔을 세우든지, 카지노를 세우든지, 6개의 식당을 차리든지, 부하로봇을 고용하든지.[14] 현재는 묻히고 없는 한국 팬픽 소설은 Dream Island를 '꿈섬' 내지 ‘꿈의 섬’으로 불렀다. 사실상 유일한 한국 이름. IDFB는 한국어 자막이 지원되지만 Dream Island가 언급되지 않는다. BFDI 24나 BFDIA 4가 번역된다면 이름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글쎄...[15] 'The point are gone'이라는 제목으로 송이 된 것도 있다.[16] 정식 이름이 아니다. 위키아에서는 Joining time이라고 하고, 유튜브에서는 Recommended Character Auditions라고 부른다.[17] 후술되어있는 팬들이 밀고 있는 커플들 중 단서가 있는 커플은 'Coiny X Needle'과 'Tennis Ball X Golf Ball'밖에 없다. 그것도 각자 하나씩밖에. BFB로 넘어온 지금은 'Coiny X Pin'이 가장 많이 푸쉬를 받는 듯 하다.[18] Firey, Woody, Match, Teardrop, Spongy[19] 위에 Firey외에 나머지 4명은 불타지 않는다.[20] 여담으로 인트로에 있는 Bubble의 모습은 우측 팔이 없다.[21] Match, Pencil, Flower, Ice cube, Bubble, Pin, Blocky, Needle, Woody, Teadrop, Leafy, Tennis Ball, SnowBall, Rocky, Eraser, Pen, Spongy, Firey, Coiny, Golf Ball.[22] Squishy Cherries 팀원 수가 초기 인원에 비해 반이 줄어서, 팀별 인원수 균형을 위해 Squashy Grapes의 팀이 둘로 분리되었다. 팀 이름은 Golf ball이 Squashy Grapes와 "다른 이름"으로 해야한다고 했는데 말 그대로 팀명을 "다른 이름"으로 확정되었다.[23] 괄호 안은 각 인물별로 속해었던 에피소드를 의미한다.[24] 볼드는 팀장을 의미한다.[25] 시즌이 종료된 지금 현재는 등장인물의 최종 순위가 되었다.[26] 취소선 표시는 나중에 에피소드 내로 복귀됐음을 의미한다.[27] Rejoin/Finale 투표 시에는 가장 적은 표를 뜻한다(그때는 진하지 않다.).[28] Rejoin/Finale 투표 시에는 2번째로 가장 많은 표를 뜻한다.[29] 10~12회에서는 탈락이 빨간색, 승리팀 영입이 주황색이다.[30] 진한 파란색은 Rejoin/Finale 투표 시에는 가장 많은 표를 얻어 돌아옴/우승함을 뜻한다.[31] 8회는 투표가 없었으므로 패스.[32] David랑 기타는 Joining 투표이다. 총합 중 5표는 생존자의 탈락 시간 표다.[33] 탈락자는 Rejoin, 생존자는 탈락 투표.[34] 돌아왔다.[35] 들어온 것.[WT] A B Win Token 사용으로 득표수 반감.[36] sam[37] David[38] David 외의 다른 RC.[39] Mt.Yoyle정상에 가기. 참고로 Mt.Yoyle은 2763마일 떨어져 있는데, km로 환산하면 4446.617km이다.[40] 이 인트로에서도 문제점이 하나 있는데, Pin의 팔이 없다. 또한 BFDIA 4에서 나온 다른 인트로에서는 Pin의 눈이 달라지기도 했다.[41] 괄호 안은 각 인물별로 속해었던 에피소드를 의미한다.[42] '''볼드'''는 팀장을 의미한다.[43] 괄호 안은 각 인물별로 탈락된 에피소드를 의미한다.[44] 만약 Match랑 Bubble의 탈락을 여기에 넣는다면 모든 팀의 탈락자가 2명이 된다.[45] Match는 Pencil의 도움으로 5a까지 규칙위반으로 버텨 5e가 끝날 때에야 TLC로 날아갔고, Bubble은 아예 참가가 안 돼있어 들키자마자 날아갔으나 IDFB에서 복귀.[46] 취소선 표시는 나중에 에피소드 내로 복귀됐음을 의미한다.[47] Puffball의 경우, IDFB에서 표가 개표되었지만 BFDIA에서 투표하였으므로 순위 순서로 나열.[48] BFDIA 참가자를 투표한 것. 표가 많을수록 좋다.[N] A B C 이 참가자는 원래 들어오지 못했으나 '''죽거나 여기 없는 참가자를 제외한다'''고 해서 들어온 참가자이다.[V] A B 이 참가자는 특별한 사람이 투표해서 들어온 참가자이다.[49] 원래는 후보가 아니었음.[50] BFDIA에 참가하지 못한 참가자들.[51] 영상에는 나오지 않지만 계산하면 이렇게 된다.[52] 공식 채널의 BFDI 플레이리스트에 있는 영상은 모두 에피소드로 간주한다.[53] 이것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다.[54] BFDI에서 20+1(David)+1(Loser)명, BFDIA 참가자에서 10명, BFDIA TLC 수감자에서 29명, BFDI APPISIOTE 225555555!!!!!에서 3명.[55] 캐리 황의 말에 따르면 이 오프닝을 만들었던 시간이 '''25분'''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BFB 3이 나올때까지 Tree는 인트로 첫 부분의 행렬에 나오지 못했다.[56] 그런데 BFB 5에서 BFDI: Paper towel의 무대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IDFB 끝나고 얼마 안 돼 또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BFB 1에서 Yoyle Mountain을 발견할 수 있는걸로 보아 Mt.Yoyle 건너편으로 추정.[57] 죽은 캐릭터들을 부활시키는 장치[58] 탈락자가 어떻게 되는지는 두가지 설이 있는데, '죽는다'와 '끝나지 않는 대수학 수업을 받게 된다' 두 가지 설이 있다. BFB 10편에서 후자인 것으로 밝혀졌다.[59] 에피소드 7~8에서는 4와 융합해버린 Donut이 담당했고, 에피소드 9에는 X가 담당했다.[60] 2021년 1월 9일 연재 시작 예정.[풀네임] '''Big Rotating Building'''[61] 에피소드 18부턴 마지막 검은 화면에 탈락자들의 비명이 들린다.[62] BFB 22에서 모습이 밝혀지는데, 탑의 모습이며 탈락자들이 철창 안에 같혀있다. 그리고 탈락자들의 비명은 그 탑이 빠른 속도로 돌아갈때 그들이 비명을 지르는 것이다.[63] 유튜브 프로필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64] GB가 저 이름보다 '''더 좋은 이름'''이어야 한다고 하는데 말그대로 '''더 좋은 이름'''으로 정했다. 그 때문인지 4가 가끔씩 이 팀을 Another Name Than That(더 달라진 이름/더 또다른 이름)으로 부른다.[65] 원래는 사사사사사사사로 하려했는데 로보티에게 전달하라고 하는바람에 Beep이 되었다.[66] 현재 가장 팀원이 적다.[67] 팀 이름이 혼자서는 발음 불가다...[68] 풀네임:BookDoraGatyIceCubeLollipopSawTacoTeardrop (너무 길어서 위키에서는 BDGICLSTT)라고도 한다...) Bleh는 Cary Huang의 셀프 리뷰에서 지어준 별명이다.[69] BFB 14에서 탈락 후보에 올랐다![70] 풀네임은 DEATH Prevention And Creating Trust[71] 그대로 번역하면 죽음의 계약이 된다[72] 우리는 죽음을 방지하고 나라를 지킨다/죽음을 방지하고 믿음을 만든다[73] 이레이저가 옐로페이스가 공짜 음식이란 말을 듣고가고, 이레이저가 공짜 음식어딨냐고 해서 공짜 음식이됬다.[74] 원본에선 The alliance에서 The all을 빼서 iance, 한국어 자막에선 동맹(同盟)에서 동을 빼서 맹.[75] 본격 아이스 큐브 없는 아이스 큐브 팀. Bracelety가 Ice Cube 빠순이라 Ice Cube가 없는데도 팀 이름을 이렇게 지었다...[76] 패배하고 싶다는 의미가 아니라 매우 유명한 캐릭터 'Loser'의 이름을 딴 것이다.[77] 위에 있는 점들은 Beep의 모스 부호이다.[78] BFB 2에서 탈락한 후 BFB 11에서 복귀 투표 1위를 하고 The Losers! 팀으로 옮겼다.[79] 최초로 20000표를 넘긴 탈락자이지만, 직후 2의 난입과 BFB의 분할 연재로 참가자 대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대혼란 끝에 생존 판정.[80] 역대 최저 득표수.[81] 탈락후 복귀한 11화에서 the losers팀으로 갔다.[82] 탈락하진 않았다.[83] bfb11에서 들어왔다.[84] 역대 최저 득표율.[85] '''1표 차로 탈락했다.'''[A] A B C 모든 참가자가 10000표 이상 획득. [86] Lollipop의 1위 보상으로 추가 면제.[87] Coiny, Needle, Pin[88] Gaty[89] 예를들면, Take a deep breath. You know. A deep fried breath. → 눈을 감아봐. 알잖아. "눈을 감자!". 아마도 fry가 '흥분'이라는 뜻도 있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90] 다만 오역이 있는 사례도 있는데, BFDIA 5e에서 2760마일(약 4441.8km)을 4444km로 적어버렸다. 단, 이건 디시라서 그랬을 가능성이 높고, 제대로 된(?) 오역은 BFB 10에서 Liy의 "You guys just got here!" → "너넨 그냥 여기있어!"가 있다.[91] Firey speaker box는 BFDIA 5a에서는 높임말에 끝을 '~여'로 번역했으나, 그 이외의 에피소드에서는 반말로 바뀌었고 말투도 일반적으로 돌아왔다.[92] 퀄리티 외에도 초반에 있었던 말투 설정이 없어지기도 하는데, 4가 온갖 ㅐ나 ㅔ가 들어간 글자를 틀리거나(iance, Bleh 번역명 맹, 우웩 제외) Bracelety가 말 끝에 ㅎ을 붙이는 등이 있다.[93] 유튜브의 자막은 작성 후 바로 업로드 되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의 검토를 받아야 하는 시스템 때문이다.[94] 생존자가 5명 이내에 한한다. 신기하게도 Brawl of the Objects는 5명을 피날레로 올렸다는 것. 묘사가 예산부족때문에 빨리 끝냈다고..[95] 원작의 제작자의 도움을 받은 사례가 있는데, 그건 바로 II2에서 추가된 Suitcase. 마이클 황이 디자인을 도와줬다고 한다.[96] 처음에는 이목구비의 모습이 독자적인 스프라이트였으나 중반부터 BFDI 스프라이트로 바뀌었고 이를 기반으로한 독자적인 스프라이트가 새로 생겼다. 귀는 원래 없었지만.[97] 이후 BFB 22에서 1표 차 승부가 났다.(Flower 10566 vs Taco 10565)[98] 여기서는 그 유명한 1표차이 패가 일어난 적도 있다. (Pickel 119 vs 120 Lightbulb)[97][99] ...로는 못 들어온다. 다른 II때문에. 단, II2로는 들어올 수 있다.[100] 여담으로, 오브젝트 애니메이션 중 유일하게 본작에서 데레 속성이 있는 캐릭터가 있다! Salt(소금)로, OJ(오렌지 주스)에게 소프트 얀데레 속성을 보인다! (무모한 무생물){II}[99] Nickel - Nickel(일치) Rocky - Taco(무언가를 뱉음)[101] 에피소드 6 이후 스토리를 갈아엎었다. 그 후 연재가 되질 않고 있는데, 왠지 이런 감사영상을 만들 수 있으면 그 사이에 연재나 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II와 BFDI 못지않은 초고퀄이다...[102] 약자가 같은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이 하나 더 있는듯.[103] 이곳의 등장인물중 Baguette는 영어를 사용하지 않고 불어만 사용했다.(당시 유일한 친구는 자막.) 근데 Boat를 만난 이후 영어를 알아듣는 듯한 행동을 보이더니 에피소드 12에서는 아예 영어로 말한다...지만 원래 영어도 할 줄 알았다고. Inanimate Insanity의 Taco도 동일한 설정이지만 이 녀석의 대사가 처음 나오자마자 영어라는 것이 일부 다르다.[104] 이 애니메이션 제작자의 공동 오너캐는 이 애니메이션 진행자이기도 한 Controley와 고양이 핸드폰을 든 고양이로 보인다.[105] 에피소드 12에 있다. 해당 경고문은 광과민성 증후군에 관련돼 있다. 최초는 Inanimate Insanity 에피소드 1에 있다. 이거는 요약하면 멍청이 주의.[106] 작화는 괜찮은데 더빙이 별로다.[107] 여기서도 그 유명한 1표차이 패가 일어난 적도 있다. (Mailbox 198 vs 199 Toast) 골드버그 장치를 선보이기도.[108] 시즌2명은 Object Twoniverse. 참고로 시즌2우승 상금은 10억 달러. 한화로 약 1조 원이다.[109] Yarny, Lime, Compass[110] 여담으로 여기의 등장인물중 Banana가 고자가 되었다(...)에피소드 1에서.[111] 이쪽의 Donut는 늘 헤드폰을 듣고 있어서 말을 늘 못알아먹는다.[112] 캐릭터 모티브가 BFDI다. 또한 이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은 동일인의 BFDI 캠프를 애니메이션으로 리메이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이것은 본래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이 아니다.[113] 하지만 2020년 6월 재작자가 채널을 다시 만들었는지 Object Land Reloaded 잃어버린 에피소드 이라는 이름으로 애니매틱 버젼이 공개되었다.[114] 1. Speaker box(Battle for Dream Island) 2. Phone(Inanimate Insanity)(Mephone 수리 서비스로 추정.) 3. Microphone(Strive for the million!) 4. Gameboy(Object overload) 5. Calculater(Object mayhem) 6. Controler(Brawl of the object) 7. Wii U(Object Illusion)[115] Taco는 세로로 접힌 디자인이고 Burrito는 가로로 말린 디자인.[116] 다만 디자인은 딸기맛 쌍쌍바. Popsicle의 뜻은 막대 아이스크림.[117] 어째서 이름을 Slurp+y 혹은 그냥 Slurpy로 지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Slurp는 '후루룩'을 나타내는 미 속어이며, Slurpy는 슬러시의 일종이다. 그런데 이 녀석 디자인은 빨대다.[118] 최초의 '-y'가 붙여진 오브젝트 애니메이션 진행자. 데뷔날짜는 2013년 1월 1일. Gamey는 2013년 4월 21일, Nukey는 2015년 4월 28일이다.[119] 모티브는 게임보이로 보인다. 증거로는 버튼 배치와 초록색 화면.[120] IDFB 1 엔딩에서 칼빵놓으러 왔다가 기름고문을 보고 그냥 갔던것을 보면 악역 확정이다.[121] 진행자 'Mephone4하고 단 한 글자 차이다.[122] 이 녀석은 후의 Yin-yang마냥 나쁜 쪽과 원래 쪽이 교대로 몸을 조종했었다. 나쁜 쪽의 조종을 중지하는 방법은 싸다구(...). 그리고 에피소드 13에서 두 영혼이 너무 빠르게 교대되어 기절하더니 기절 도중 Paper의 환상에서 'Evil paper'이 피아노에 깔려 죽고 더이상 안 나타난다.[123] 눈색깔로 비교한것으로 추정.[124] 왜 이렇게 서술되어있냐면 착한쪽인 'Yin'(음)과 나쁜쪽인 'Yang'(양)이 같은 몸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캐릭터(들)은 시즌 2에만 있다. 여담으로 현실에서의 음-양 속성과 반대된다...[123] [125] Inanimate Insanity 제작자 중 한 명인 TheTGrodz의 'The Rules of Object Shows'에서 OJ와 Paintbrush를 제외한 모든 시즌1 캐릭터가 바보임을 인증했다. 게다가 이들 모두가 시즌 2에도 등장한다! 다만 Taco는 소식이 없다가 이후 에피소드 9에서 재등장했다.[126] 'Burrito'를 'Taco'라고 부르질 않나, 이미 다른 팀에 들어가있는 캐릭터(Tune)를 팀에 데려오질 않나, 말을 쓸데없이 길게 하질 않나.[127] 벙어리인 점 때문에 바보 취급 받는 것일 뿐.[128] bfdia 5a에서, 케이크를 조각조각낸 도넛의 사체로 사용하였다. 즉, 반 요리 당한거란셈.[129] 시즌 1 에피소드 3에서 진짜로 요리당했다! [130] 이녀석도 요리 재료로 이용당했다! 시즌2 에피소드4에서이다. [131] Brawl of the Object도 돈이 아닌 '무언가 대단한 것'이 우승상품이라고 했지만... 우승상품이 도둑맞아서 피자 파티로 퉁쳤다.[132] 확대 대상은 프랙털 이론의 일종인 망델브로 집합.[133] carykh의 최장 시리즈이다. 여담으로 1A 참가자 리스트 맨 끝(52초 부근)에 정보규라는 한국인 아이디가 딱 하나 보인다. 그리고 2회만에 광탈.[134] 현재 시즌 3이 연재되고 있으며, 시즌 3 한정으로 인트로가 과거 쿠르츠게작트의 인트로와 유사하다.[135] 여기서 나오는 말이 첫번째를 빼고 앞이 조금 잘렸다. 해석이 여러개인데, katyj98 본인은 '(W)OODADA'로 해석했고, 댓글 중에는 'BANANA'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Oh grand dad'라든지 'Obama'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으며, 심지어는 'WOH DA FAAA'도 있다... 댓글에 2배속하면 Rocky의 토하는 소리가 난다는 말이 있다.[136] 어떤 일본인 팬은 'わぁぁぁっぁぁっぁぁぁぁぁぁだっだぁっぁぁぁぁっぁぁ'라는 해석을 내놓았다.[137] 다만 이건 BFDIA 5d 이후의 내용이 없기 때문에 그 이후까지 고려하면 23분 49초가 더 붙어야 한다.[138] 제일 막장인 건 이스트를 많이 넣은 Needle의 케이크가 나중에 항성으로 변한 것. [139] 다만 이 단어는 단 것을 즐긴다는 의미도 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케이크와 초콜릿 공을 먹기도 하고. 한 마디로 중의적 표현을 노린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140] Pen Island, No Spaces, All Caps. 직역하면 Pen Island, 띄어쓰기 없음, 모두 대문자이며 그렇게 할 경우 PENISLAND가 된다.[141] 모든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을 통틀어도 Inanimate Insanity의 Salt가 유일하다.[142] 'Firey X Leafy', 'Coiny X Needle', 'Tennis Ball X Golf Ball', 'Blocky' X 'Flower', 'Woody X Teardrop', 'Pen X Pencil', 'Eraser X Match'[143] 관련 아트가 많은 순으로 나열하면 'Firey X Leafy' > 'Coiny X Needle', 'Tennis Ball X Golf Ball' > 'Pen X Pencil', 'Blocky X Flower' > 'Woody X Teadrop', 'Eraser X Match'.[144] Inanimate Insanity를 만든 Adam Katz(애덤 카츠).[145] Graham Taylor(그래햄 타일러)[146] 많은 사람들이 최초 대사로 치는 그 "Well, I just know I going to win!"인데, 그 장면에 'Voice provided by DUNCANEPIC(ANIMATIONEPIC의 옛 계정명)'이라고 적어놨다. 이 사람은 Inanimate Insanity 업로더 계정명.[147] 여기서 고려해야 할 건 Nickel, 에피소드 18은 Nickel의 목소리가 'DUNCANEPIC(ANIMATIONEPIC의 옛 계정명)'[146] 이 더빙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Nickle을 후원한 사람들 중 한명도 ANIMATIONEPIC이다.[148] 그래도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BFDI가 연재를 못한 것이 밝혀진 것도 2년 반 가까이 지난 후에 밝혀졌으니까.[149] Battle for Dream Island의 공백기간이 3년 1개월, Mystique Island는 3년 5개월, Object overload는 1년 4개월의 공백기를 거쳤다. BFDI를 제외한 나머지 둘은 현재 진행형.[150] 아예 Needy라고 부르라고 한다. [151] 정확히는 BFDI가 뒤집어졌다.[152] 다른 저퀄리티들과 비교하면 정말 없그레이드다... 심지어는...[153] 앞의 셋은 BFDIA 참가 투표에서 상위 20위 이내에 들어 본래 참가했어야 했지만, BFDIA 1 당시 없어서 실격된 캐릭터이다. 아마 그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해서 복귀시킨 듯하다.[154] Pin의 언급에 의하면 Golfball이 자신의 빨간 페인트로 (IDFB 업로드 6개월 전에) 사지를 만들어 줬다고 한다.[155] 나머지는 썩었거나 Firey가 불태워버렸거나 Gelatin이 먹었다고 한다.[156] 숫자 셀 때마다 Coiny 목소리가 점점 기운이 빠지고 Fries가 목 쉬게 말리는 거를 보면...[157] 시즌 1 에피소드 25와 시즌 2 에피소드 2의 그 나쁜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158] BFDI 세계관은 실제 시간과 똑같이 흐른다.[159] IDFB를 보면 어떻게든 TLC에 넣은 모양이다.[160] Pencil, Book, Ice Cube, Pin, Spongy, Yellow Face. Puffball은 5e에서 엄청 작아지고 소식이 없다.[159] Bomby, Needle, Nickel은 확인 불가다. 그런데 요욜메탈이 된 Coiny의 몸 색깔이 Nickel의 몸 색깔과 거의 일치한다.[161] 정작 자신은 기억을 잘 못한다. 일동이 반론할때까지.[162] Golf Ball, Tennis Ball, Gelatin, Fries, Firey, Rocky[163] 작중엔 '눈+휘발유=접착제'라고 한다.[164] 참고로 carykh에 올라온 영상 중 Yoylecity에 관련된 영상이 3~4개 있는데 그 중에서 영상 속 질문에 'Yoylecity의 주민은 몇 명인가요?'라는 질문 밑에 약간 작은 글씨로 '이젠 0명이죠.'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보아하니... BFDIA 일행들과 BFB 참가자들 외에는 주민이 없는 듯 하다.[165] 제작자는 도시국가취급했는지 전용 깃발이 존재한다. 하지만 IDFB 기준 BFDIA 캐릭터 일행과 TLC에 갇힌 친구들 외의 주민이 확인되지 않았는데(밝혀진 주민 중 최초는 Leafy.[164] ) 도시 규모 하난 쓸데없이 엄청나다. 모자이크 같은게 다 건물들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 동영상을 참조. 여담으로 Mt.Yoyle 정상에 있는 기둥의 이름이 Yoyle Needy다...[166] 마지막으로 적힌 Firey와 Total Drama Island를 합친 듯 하다. 여담으로 여기 적힌 것들 중에는 이렇게 명확한 단어 외에 별 쓸모 없는 단어도 적혀있다...[167] 한자가 적힌 장면이 존재하는 다른 오브젝트 애니메이션은 Inanimate Insanity뿐. (이 경우에는 電球라고 써져있다.)[168] 이는 아마 마이클 캐리 황 형제가 중국계 사람이라는걸 알려주는것일수도있다[169] 차이점이 많다. 시즌 1의 Elimination song은 II는 대충 때웠는데 BFDI는 꽤 공을 들였다든지(시즌 2에서는 II는 구려서, BFDI는 TV가 못불러서 사라졌다.), II는 투표가 한종류 뿐인데 BFDI는 시즌 2에서 좋아요(Like)와 싫어요(Dislike)로 나뉘었다든지, 시즌 1에서 피날레에 진출한 캐릭터가 II는 2명(OJ, Taco)인데 BFDI는 3명(Firey, Bubble, Leafy)이라든지, II는 홈페이지가 생겼는데 BFDI는 없다던지.[170] 후자의 경우는 당시 투표에서 최대 20표까지 던질 수 있게 정했기 때문이다. 근데 여담으로 3년 전에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투표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BFDI의 다른 에피소드들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