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NSHIP III
1. 개요
통칭 건쉽3. Phanoteck, Inc에서 만든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한 모바일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무료 버전, 정식 버전, 스트라이크 팩, 해군팩, 북베트남군 팩 등의 4개의 버전이 있다. 각 버전마다 사용할 수 있는 항공기는 다르지만 같은 서버에서 멀티가 가능하다. 같은 이름인 GUSHIP III - Heroes of the MIG Alley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였으며 다른 4개의 버전과의 멀티는 불가하여 이 문서에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모바일 게임치고 너무 뛰어난 고증때문에 하는 사람들만 한다. 3개의 미군 버전 vs 1개의 북베트남 공군 버전으로 공중전이 진행되며 인공지능 유닛도 있다. 디태일돠 조종성이 리얼한데 실재로 롤만 하는 것이 아니라 롤을 한 상태에서 피치를 조절하여 급기동을 하는 등 사실적이며 360도로 구현이 되어있고 거의 모든 계기와 쓰로틀, 랜딩기어 스위치들이 움직인다. 또한 F-105의 노즐 위의 4등분 에어브레이크와 F-111의 랜딩기어 도어 에어브레이크까지 구현이 되어 있다.
2. 역사
정식 버전 및 무료버전은 2011년 12월 9일에 출시되었다. 이후 2013년 12월 7일 북베트남 공군 버전이, 2014년 3월 12일에는 미합중국 해군 버전이, 같은 해 8월 5일에는 마지막으로 스트라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가장 늦게 나온 버전은 6년, 가장 빨리 나온 버전은 무려 '''10년'''이 지난 장수만세 게임이다. 최신 버전은 모두 3.8.4로 2016년에 업데이트 되었다.
3. 화면[6]
3.1. 위쪽
- THR: 자신의 엔진 출력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 채팅창: 채팅과 항공모함에서의 이함 신호 등을 표시한다. 체팅을 칠 때 자국어를 포함한 어떠한 언어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마침표라 포함되어 있는 문장은 적에게까지 보이니 작전회의중 문장에 마침표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자.
- Health: 자신의 체력을 표시한다. 그러나 피격되어 체력과는 별게로 조종면 등이 파손되어 조종 불가 상태가 되면 사출하지 않아도 킬마크가 뜬다. 그러나 조종면이 망가진 상태로 적기를 격추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 Ejection : 양 사이드에 두 개가 있으며 둘이 동시에 당길 경우 비상탈출을 한다. 이후 지상에 안착하면 헬기의 구조를 기다리거나 다시 사작해야 한다. 다시 시작해도 땅에 착륙한 조종사는 남아있다.
- Pause: 사실상 메뉴 버튼으로 누르면 계속, 제시작, 관전자 모드, 게임 끝내기 버튼이 있다. 여기서 기종과 스폰 장소를 바꾼 후 제시작을 누르면 기종과 스폰 장소가 바뀐다. 계속을 누르면 바뀌지 않으니 주의.
- Cailbrate: 자이로센서 새로고침으로 원하는 각도로 폰을 잡고 버튼을 누르면 그 각도가 전후좌우로 리셋이 된다.
3.2. 왼쪽
- 쓰로틀: 사실상 왼쪽에는 이거밖에 없다. 위/아래로 화살표를 밀어 출력을 조절한다. 정확한 출력을 위쪽의 THR: nnn을 보면 알 수 있다.
3.3. 오른쪽
- 레이더: 1인칭 시에는 콕핏 안에 표시되지만 3인칭 시에는 외부에 표시된다.
- Lock: 락온을 할 때 사용한다. 락을 취소하거나 다른 타깃에 락을 걸 때 사용한다. 그러나 모드가 Bore이고 적기가 전방에 하나밖에 없으면 다시 같은 타깃에 락이 걸린다.
- Select: 레이더 상의 목표들 중 원하는것을 선택할 때 쓰인다. 누를 때마다 타깃이 바뀌
- Range: 레이더의 범위와 on/off를 선택할 때 쓰인다. 전투기류는 주로 범위가 올라가고 지상 래이더가 있는 경우는 범위가 내려간다. 맨 끝에는 off 모드 즉, 꺼진 상대로 돌아간다.
- Mode: 아래 레이더 항목에서 서술한 모드를 바꿀 수 있다. 가장 모드가 많으면 Scan-Bore-Ground 모드가 있고 미그기들은 사실상 Scan밖에 없다.
- Weapon: 무장을 선택할 수 있다. 외부 연료탱크가 있으면 Drop tank가 꺼진 상태이고 없으면 Off 상태가 따로 있다.
- 발사버튼: 과녁 모양으로 좌, 우에 있는 버튼이다. Weapon으로 선택한 무장을 발사하거나 연료탱크를 하나씩 분리할 수 있다. 왼쪽 버튼은 기총이 있는 경우에는 기총 전용 버튼이고 없는 경우에는 오른쪽과 같다.
3.4. 아래쪽
- View: 시야 변경 버튼으로 1인칭-3인칭-따라가기 순으로 있다. 그러나 속도나 고도계가 모두 1인칭의 계기판에만 있어서 왠만하면 1인칭으로 하는 것이 낫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 Chat: 이 버튼을 눌러서 체팅을 하며 쓴 내용은 위 체팅창에 표시된다.
- Auto: 오토파일럿이긴 한데 사실 기체 평형을 유지할 때 쓴다. 블랙아웃 상황에서 이거 누르면 선회를 중단하고 기체 평형을 자동으로 맞춰준다. F-111은 저공비행시 오토를 켜면 지평선에 맞춰 자동으로 상승/하강각을 조절할 수 있어 지상 공격시 편리하다.
- Gear: 랜딩기어 버튼으로 누르면 기어를 올리거나 가능 속도 안에서 기어를 내릴 수 있다. 지상에거 기어를 올릴 수도 있다.
- Hook: 함재기에만 있는 버튼으로 속도에 상관없이 에러스트 후크롤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 Jettison: 무장 투하 버튼으로 착함 시나 도그파이트 시에 폭탄과 연료탱크를 한번에 투하할 수 있다.
- 러더: 좌/우로 밀어서 러더와 노즈/테일기어를 움직일 수 있다. 택싱중 방향을 틀 때 이것을 사용해야 하며 오토파일럿을 켜면 자동으로 롤까지 같이 한다.
4. 맵
미군 소속 기지는 태국의 Nakkhon 공군기지와 LHA(타라와급으로 추정) 양키 스테이션(키티호크급 2번함 CV-64 U.S.S. constellation으로 추정) (이하 항공모함), 3개의 헬기장 (LZ Alpha, LZ Bravo, LZ charlie) 등이 있다. 북베트남군 기지는 Gialam, Vinh 등 두 개의 공군기가 있다.
헬기장을 재외한 각 공군기지에는 지대공 미사일이 있으며 북배트남군 소속의 LZ charlie 근처의 대공포, Gialam과 Nakkhon 사이의 전차등이 항공기에 대미지를 입힌다. 그 외에도 항공기에 피해는 입히지 않지만 Gialam 근처의 해변에는 정박한 배와 Gialam에서 더 먼 쪽의 강에는 철교도 있다.
5. 진행
5.1. 싱글플레이
오프라인으로 할 수 있으며 주로 지상공격이나 인공지능 항공기를 격추시키는 미션 위주로 진행된다. 미션을 다 끝내면 기지로 귀환한 후 자유 비행을 할 수 있다. 아래는 각 모드별 설명이다.
5.2. 멀티플레이
위의 모드, 미션과 더불어 대규모 공대공 전투 또한 할 수 있다. 6명, 10명, 14명의 방을 열 수 있고 각 조건[7] 은 방을 열 때 선택이 가능하다. 계정은 없고 콜사인(닉네임)만 입력해도 바로 멀티를 할 수 있다.
6. 각 버전별 설명
6.1. 무료 버전
[image]
H-19, H-34, CH-47(페이스북 좋아요나 별점주기를 통해 잠금해제 가능), UH-1D, OH-6A(페이스북 좋아요나 별점주기를 통해 잠금해제 가능), A-1을 사용 가능하다. 정식버전에서 쓸만한 것들만 잠긴 버전으로 무료이다. 그러나 프롭기만 몰다보면 어느세 5000원을 결제한 나를 발견할 수 있다. 일반 버전의 체험판 쯤 되므로 게임 내용에 관한건 아래 일반 버전에 서술한다.
6.2. 일반 버전
[image]
가격은 5000원.
정식 버전으로 H-19, H-34, CH-47, UH-1D, OH-6A, UH-1B, AH-1, A-1, F-100D, F-4D를 사용 가능하다.
왜인지는 모르지만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되었다.
헬기들은 항공모함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이륙 할 수 있다. 나머지 고정익 항공기들은 오직 Nakhon에서만 이륙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되면서 사용자가 많이 줄었다.
(다시 복구되었다.)
6.3. 스트라이크 버전
[image]
가격은 5000원.
폭격기 버전이다. H-19, H-34, CH-47, UH-1D, OH-6A, F-5E, F-105D, F-111A를 사용할 수 있다. F-105G가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일반 버저이 삭제되면서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헬기를 사용하려면 이 버전을 이용해야 한다. 헬기 외에도 F-5E와 엄청난 폭장량을 자랑하는 F-105D, F-111A가 있어 지상 공격에 특화된 버전이다. 차후 F-105G가 추가될 예정이라 한다.
6.4. 미합중국 해군 버전
[image]
가격은 5000원.
항공모함에서 이함/착함할 수 있는 유일한 버전으로 A-1J, A-4E, F-4B를 사용 가능하다. 항공모함에서 스폰할 경우 캐터펄트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연결이 된다. 그러나 앞쪽 1, 2번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오른쪽에 보이는 비행갑판 요원(슈터)이 두 손을 들면 IDLE(중립, 출력 최소) 이고 한 손을 들면 출력 최대이다. 이후 애프터버너가 켜지면 슈터가 손을 앞으로 뻗으면서 몸을 숙이는데 약 1초후 자동 사출된다. 착함할 때는 어레스트 후크를 펴고 접근하여 착함 후 후크를 올리고 활주로를 빠져나오면 된다.
6.5. 북베트남 공군 버전
[image]
가격은 5000원.
북베트남 공군 버전으로 4개의 버전 중 유일한 다른 팀이다. MiG-17PF, J-6(MiG-19의 중국 카피버전), MiG-21F13, MiG-21M을 사용 가능하다. 미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기가 적어서 Gialam 근처만 가도 항모와 지상기지 양쪽에서 날아온 미군에게 털리는 맹구기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기동성이 좋은 기종들이 많아서 1~2대 끼리만 갔다가 역관광당하기도 한다.
7. 기종 상세[8]
7.1. 회전익기
7.1.1. H-19 Chickasaw
평범한 헬기.
7.1.2. H-34 Choctaw
평범한 헬기.
7.1.3. CH-47 Chinook
쫌 큰 헬기.
7.1.4. UH-1D Huey Slick
쓸만한 헬기.
7.1.5. OH-6A Cayuse
자신이 발사 가능한 무장이 있다.
7.1.6. UH-1B Huey Gunship
제대로된 공격헬기.
7.1.7. AH-1 Huey Cobra
아주 쓸만한 공격헬기. 파일럿 구출은 불가하다.
7.2. 고정익기
7.2.1. A-1, A-1J
해군 버전에서는 쓸만한 공격기이나 돈없는 놈들이나 모는 프롭기 취급당한다.
7.2.2. A-4
에프터버너가 없어 느리지만 유일한 TV유도폭탄 장착과 기동성으로 먹고산다.
7.2.3. F-4B
해군 버전의 주력기이지만 기총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7.2.4. F-4D
일반 버전의 주력기로 B형과는 달리 외부 건포드를 달 수 있다.
7.2.5. F-5E
기동성이 좋지만 레이더 유도 미사일이 없어 가시거리 밖 교전은 불가하다. 가끔 공격기로도 쓰인다.
7.2.6. F-100D
기동'''만''' 쓸모있다고 평가된다.
7.2.7. F-105D
폭장량이 엄청나고 지상 레이더가 있다. 좌/우/중앙 하드포인트를 따로 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 또 다른 특징으로는 노즐이 상하좌우로 나눠져서 브레이크가 걸린다.
7.2.8. F-105G
추가 예정인 항공기로 아무런 정보가 없다.
7.2.9. F-111A
더 업청난 폭장량과 함께 레이더를 이용한 융단폭격이 가능한 유일한 항공기이다. 랜딩기어도어가 열려서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재현되어 있다.
7.2.10. MiG-17
A-4는 채신기술이라도 있지 기총 총합 200발의 안습한 장탄량을 보여주는 진짜로 기동성'''만'''으로 먹고사는 기종. 가끔 곡예비행을 이거타고 시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7.2.11. J-6
유일하게 지상공격수단이 달린 미그기. 가끔 이거타고 Nakkhon 주변의 SAM 부수러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7.2.12. MiG-21
애메하다. K-13 2발에 기총을 달면 연료가 적고 연료탱크를 달면 기총이 없다. 이거 쓸바엔 MiG-21M 쓰는 사람들이 대다수. 북베트남군 인공지능 전투기가 이것이다.
7.2.13. MiG-21M
가장 많이 사랑받는 기종. 기동성부터 미군을 압도하는데 K-13만 4발을 탑제하고 기총도 넉넉히 있다. 북베트남 기지 근방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기종.
8. 무장
8.1. 기총/기관포
가장 기본적인 무장으로 7.62mm, 20mm, 23mm, 30mm, 37mm 등 다양한 구경의 기총/기관포가 있다. 사용법은 그냥 적기(혹은 지상 목표물)을 조준하고 발사 버튼을 누르면 된다. 기총/기관포가 있는 항공기는 다른 무장 사용 중에도 왼쪽의 발사 버튼을 눌러 기총/기관포를 사용할 수 있다. 적기의 경우에는 약 1~2마일 이내로 접근하면 리드샷을 위한 빨간 조준점이 적기의 진행방향에 뜨지만 그렇지 않으면 감으로 쏴야 한다.
8.2. 무유도 로캣
기총/기관포와 마찬가지로 여러 구경/연장의 로캣이 있다. 사용방법은 지상 목표물을 조준하고 발사하면 된다. 가끔 로캣보다 항공기가 빨라져 플레어와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기만 효과는 없다.
8.3. 무유도 폭탄
Mk.80 시리즈가 이 종류로 사용 방법은 지상 목표물의 워를 조준하여 떨구면 된다. HUD 상의 조준점의 가장 아래부분을 목표에 조준한다 생각하면 된다. 수평폭격도 가능하나 레이더 유도 폭격이 가능한 F-111이 아닌 이상 급강하폭격과 비슷하게 하는 것이 좋다. F-111의 경우 레이더를 Ground 모드로 변경하여 오토파일럿을 키고 동체를 타깃과 정렬한 뒤 Select 버튼을 눌러 타깃을 선택하고 HUD상의 조준점 밑에 노란 삼각형이 겹처지는 타이밍에 폭탄을 투하하면 된다. Jettion 버튼을 누르면 분리된다.
8.4. 열추적 미사일
AIM-9, K-13이 여기에 속한다. 미사일을 선택하면 작게 즈즈즈~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는 태양의 기본 적외전 때문이다. 이후 적기의 엔진 배기구를 조준하면 소리가 커지면서 갈갈갈갈~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 때 쏘면 된다 유도가 된 것이 확인되면 계속 꼬리를 물고 있을 필요는 없다.
8.5. 레이더 유도 미사일
AIM-7이 게임 내에서 유일한 레이더 유도 미사일로 F-4 계열기에만 장착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락버튼과 셀렉트 버튼으로 락을 걸거나 레이더를 켜고 원하는 범위를 설정 후에 레이더상에 적기가 최대한 레이더의 중앙에 오도록 기수를 돌린다. 이후 Select 버튼을 중간에 있는 적기가 선택될 때 까지 누른 후 적기가 선택되면 Mode 버튼을 한번 눌러 레이더 모드를 Scan에서 Bore로 바꾼다. 그러면 적기를 찾기 위해 레이더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던 세로선이 중간에 멈추는데 이 때 선택한 적기가 그 선 위에 있으면 록온이 된다. 그러면 레이더의 원과 자신의 가수가 적기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려주는 작은 점과 HUD의 조준점을 참고하여 미사일을 쏜 후 맞을때 까지 계속 락을 걸고 있으면 된다. 너무 멀리서 쏘면 느리게, 심지어는 안 맞을 수도 있으니 확신이 서지 않는 상황에서는 적기와 1~7마일 안에서 쏘는 것을 추천한다.
8.6. 연막탄
헬기에 장착되는 신호용 연막탄으로 떨어뜨리면 항공기의 바로 밑으로 떨어진다. 떨어지기 시작한 순간부터 보라색 연기를 위로 내뿜으며 폭격 유도 등에 사용한다.
8.7. 외부 연료탱크
무장발사 버튼을 눌러 하나씩 떨어뜨릴 수 있다. 연료는 외부를 최우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잔여량이 100% 이하일 졍우에는 분리하면 되지만 100% 이상인 경우 가득 찬 연료탱크를 우선으로 버리니 투하할 때 주의하자. 마찬가지로 Jettoson 버튼을 누르면 한번에 분리된다.
8.8. 레이더
8.8.1. 미제 레이더
거의 모든 제트전투기에 달린다. 3가지 모드가 있는데 Scan 모드는 전방의 적기를 찾는 모드고 Bore 모드는 록온을 할 때 사용한다. Ground 모드는 두 기체에만 달리며 지상 폭격을 할 때 쓰인다. F-111은 레이더를 사용한 수평 포격도 할 수 있다.
8.8.2. 소련제 레이더
미제와는 달리 모드가 Scan밖에 없고 레이더 중앙에 적기가 오면 자동으로 락이 걸린다. 이후 HUD 조준점 상에 어느 쪽으로 기수를 돌려야 적기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작은 점이 생긴다. 미그기들을 레이더를 적기 탐색/리드샷 조준점이 안보일 경우 기총 조준 보조 정도로 쓸 수 있다.
8.8.3. 레이더 경고 장치
미제 전투기들의 작은 레이더처럼 보이는 것으로 물체가 본인을 향해 날아오는 레이더파를를 감지하여 원을 중심으로 선으로 표시한다. 미사일 등은 기체에 근접할 경우 작은 원으로 위치를 알려주니 회피 기동시에 참고하자. 소련제 전투기는 소리만 들리고 화면은 없어서 매우 햇갈린다.
9. 기타
- 모든 속도, 고도, 중력가속도계 등을 1인칭의 계기판을 확대해서 봐야해서 나중에는 그냥 감으로 하게 된다.
- 중력 가속도가 구현되어 있어 너무 급하네 턴하면 블랙아웃이 일어난다. 너무 급격하게 하강하면 다 빨갛게 보이는것 덤. 그러나 기절은 하지 않아서 감으로 오토파일럿 버튼을 눌러 기체를 안정시킬 수 있다.
- 비상탈출이 가능하다!!!!
[1] 위 로고는 일반 버전임. 나머지 버전의 로고는 아래 참조[2] 플레이스토에서는 삭제됨[3] 특정 기종에만 있는 것들도 모두 서술[4] 무장의 +는 달지 안 달지 선택 가능하고 or은 둘 중 하나 선택[5] 프사가 없는 것 처럼 보이는건 진짜 없는거니 주의[6] 특정 기종에만 있는 것들도 모두 서술[7] 연료 유/무제한, 무장 유/무제한, 데미지 있음/없음, 조종정 쉬움/사실적, 이름표 있음/없음, 블랙아웃 있음/없음[8] 무장의 +는 달지 안 달지 선택 가능하고 or은 둘 중 하나 선택[9] 왜인지설명에만 있고 실제로 장착되있지는 않은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