便
[clearfix]
1. 개요
便은 ''' '편할 편' '''또는''' '똥오줌 변' '''이라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검정시험에서는 7급으로 분류된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人(亻, 사람 인)과 更(고칠 경, 다시 갱)으로 이루어져있다. 회의자이다.
사람(人)이 불편한 곳이 있어서 편하게 고치는(更) 것을 나타낸다.
또한 便의 오른쪽에 있는 更은 상부의 '一+由' 모양이 매달아 놓은 종 모양이며, 하부는 손으로 채를 잡고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사람이 종을 친다는 데에서 '알리다'라는 뜻도 갖게 되었다. 편지(便紙)가 그 예.
'똥오줌'이라는 뜻은 가차되었다.
유니코드는 U+4FBF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LK(人一中大)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ㄅㄧㄢˋ 또는 ㄆㄧㄢˊ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1.1. 편하다
3.1.2. 똥오줌
3.1.3. 기타
3.2. 인명, 지명, 창작물
지명
- 경기도 안산시 동안구 동편로(京畿道 安養市 東安區 東便路)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지편로(京畿道 安山市 常綠區 陽地便路)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로(京畿道 義王市 陽地便路)
-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서편길(慶尙南道 密陽市 下南邑 守山西便길)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서편로(光州廣域市 西區 市廳西便路)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양지편길(蔚山廣域市 蔚州郡 斗西面 陽地便길)
- 전라남도 강진군 신전면 사초동편길(全羅南道 康津郡 薪田面 沙草東便길)
-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동편길(全羅南道 高興郡 大西面 東便길)
-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동편제길(全羅南道 求禮郡 求禮邑 東便制길)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양지편길(全羅南道 和順郡 梨陽面 陽地便길)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동편길(忠淸南道 靑陽郡 靑南面 東便길)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서편길(忠淸南道 靑陽郡 靑南面 西便길)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편길(忠淸北道 忠州市 連守東便길)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서편길(忠淸北道 忠州市 連守西便길)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硬(굳을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