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我'''나 아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われ, 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 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세부 정보
2.1. 한국어
2.2. 중국어
2.3. 일본어
3. 용례
3.1. 제목에 我가 들어간 노래
3.1.1. 한국어
3.1.2. 일본어
3.1.3. 중국어
4. 유의자
5. 반대자
6. 고사성어
7. 인명
7.1. 실존 인물
7.2. 가상 인물
8. 지명
9. 모양자

[clearfix]

1. 개요


'''我 획순'''
[image]
1인칭 대명사 '나#s-1'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창힐 수입법으로는 竹手人(hqi)로 입력한다.

2. 세부 정보


얼핏 보면 (손 수) 자와 (창 과) 자가 합쳐진 회의자처럼 보이지만, 手 자의 형태가 보이기 시작한 건 예서 때부터이고, 원래는 삼지창이 나 있는 쟁기 비스무리한 도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이후 본래의 뜻과는 상관 없이 소리를 빌려 와 '나'라는 의미로 가차되었다.
비교적 고대의 한문에서는 주어로는 , 목적어로는 我가 사용되었으나(예: 吾喪我), 이후 차츰 그런 구분이 없어지게 되었다.

2.1. 한국어


한국어에서 아(我)는 불교 용어로 '사물의 근원에 있는 독립 영원의 주체'를 가리킨다. 이와 관련한 글로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B형 지문으로도 나왔던 신채호의『我와 非我의 투쟁』이 있다.

2.2. 중국어


표준중국어 및 대부분 방언에서는 현재도 사용되는 1인칭 대명사이며, 복수형은 워먼(我们, wǒmen)이다. 다만 객가어에서는 𠊎(亻+ 厓)라는 자를 사용한다.

2.3. 일본어


일본어에서도 자신을 뜻하는 와레(我, われ)로 쓰이지만, 현재는 문어체 성격이 강하다. 복수형은 와레라(我ら/我等, われら) 또는 와레와레(我々[1], われわれ)이다. 또한 1인칭 속격(나의/내)에 해당하는 연체사 와가(我が, わが)가 있다.

3. 용례


불교나 철학·심리 용어가 많다.
  • 자아(自我)
  • 피아(彼我)
  • 아만(我慢)
  • 아집(我執)
일본어
  • 케가(怪我, けが) 1. 상처 2. 잘못

3.1. 제목에 我가 들어간 노래



3.1.1. 한국어



3.1.2. 일본어



3.1.3. 중국어



4. 유의자



5. 반대자



6. 고사성어


  • 무아몽중(無我夢中):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다, 자신을 잊을 정도로 열중한다. - 논어
  • 물아일체(物我一體)
  • 박아이문(博我以文): 글로써 나를 넓힌다, 책을 읽음(공부함)으로써 자신을 개발한다. - 논어
  • 아가사창(我歌査唱): 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 책망 받을 사람이 오히려 그 말을 한다.
  •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2]
  • 아전인수(我田引水): (남의)물을 자신의 밭에 댄다. 자신의 이익만 우선으로 한다.
  • 유아독존(唯我獨尊)

7. 인명



7.1. 실존 인물


  • 김현아(金炫我[3]): 제20대 새누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 김도아(金鍍我): 프로듀스 48에 출연한 FANATICS의 멤버
  • 유시아 (柳諟我)

7.2. 가상 인물


  • 가사이 유노(我妻[4] 由乃), 가사이 우시오&가사이 사이카(我妻潮&我妻西果)[5] - 미래일기
  • 카가미 타이가(火神 大我) - 쿠로코의 농구
  • 요코타 쟈가(横田 邪我)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토가 히미코(渡我被身子[6]) - 마이 히어로 아카데미아
  • 하나야 타이가(花家 大我)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 반죠 류우가 - 가면라이더 빌드
  • 아가츠마 젠이츠(我妻[7]善逸) - 귀멸의 칼날

8. 지명



9. 모양자


  • 옳의 의(義)
  • 또한 중국어에서 배고프다(饿, è), 거위(鹅, é), 나방(蛾, é), 러시아(俄, é) 등의 모양자로도 사용된다.

[1] 반복 부호 를 사용한다[2] 유래가 불분명하나 2020년 올해의 사자성어에 채택되었다.[3] 빛날 현, 나 아 - 빛나는 나[4] 내 아내[5] 가사이 유노의 부모님[6] 나를 넘어 (타인의)몸을 입는 아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스포일러 방지 차원에서 카타카나로만 표시되었다.[7] 이쪽도 '나의 아내' 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