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격
屬格 / Genitive, Possessive[2]
1. 개요
문장 안에서, 한 체언이 다른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어의 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표시하는 격으로, 한국어로 해석할 때는 보통 '~의'라는 뜻을 가진다. 주로 소유의 의미를 표시하기 때문에 소유격(所有格, possessive)이라고도 불리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체언을 수식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사용해서 각각 관형격(冠形格), 연체격(連体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요소유격에 명사를 붙인 역할을 하는 소유대명사가 이를 대신하기도 한다.
속격의 격 표지 형태소는 당연히 체언 전후로 붙으나,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명사를 따라 굴절할 경우에는 형용사에도 속격 표지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속격 안에 소유격이 속한다고 한다.http://cafe.naver.com/stonesoup/590
2. 용법
속격의 쓰임새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소유
가장 흔하게 쓰이는 용법. 일부 언어에서는 alienability(수식을 받는 체언이 수식하는 체언과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따져 alienable possessive와 inalienable possessive를 구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부분
- 의미 상의 주어·목적어
- 동격
3. 언어별 속격
3.1. 인도유럽어족
3.1.1. 영어
3.1.1.1. 인칭대명사
보통 's 형태이며, s로 끝나는 경우 '만 붙인다.
ex) Smith's / kids'
s로 끝나는 단수명사 및 고유명사의 경우 양식마다 규칙이 다르다. 예를 들어 학계에서 쓰이는 APA 양식은 s로 끝나도 's를 요구하지만, 언론계에서 쓰이는 AP스타일은 '만 붙인다.
ex) James's / James'
간혹 '~의 것'이라는 뜻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소유목적격'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소유격과 구별되게 쓰지 않지만 인칭대명사의 경우 소유격과 다르게 쓰는 경우가 있다. mine(내 것) 같은 식으로
또한, 사람이 아닌 경우는 B of A 와 같은 형태이다.[3]
ex) benefits of windows.
소유격으로부터 수식받는 명사를 더 한정시키기 위해서 관사를 붙이는 경우에도 위의 of를 사용하는데 이를 한국에서는 '이중소유격'이라고 해서 설명하고 있다. of를 사용하는 이유는 관사와 소유격이 들어가는 위치가 서로 같기 때문.
* 인칭대명사의 소유격
노래도 있다! 개나리 노래에 소유격들을 넣어서 부르면 외우기 쉽다며 학원에서 많이들 가르친다.
다만, 순서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목적격순.
나리 나리 개나리 → 아이(I) 마이(my) 미(me) 마인(mine)
입에 따다 물고요 → 유(you) 유어(your) 유 유어스(yours)
병아리떼 총총총 → 히(he) 히스(his) 힘(him) 히스
봄나들이 갑니다 → 쉬(she) 허(her) 허 허스(hers)
3.1.1.2.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사는 관계대명사가 사용된 문장에서 소유격 역할을 한다.
소유격 관계사 뒤의 문장구조는 주어+동사이며, 소유격 관계사 뒤의 문장의 해석이 완벽하다.
예)
3.1.2. 라틴어
라틴어에서는 2격(속격. genitivus)으로 분류되며, 1격(주격)에서 어근을 유지한채 어미가 명사의 declension에 맞추어 변화한다. 자세한 내용은 라틴어/명사 변화 문서 참조.
라틴어 사전에서 명사를 찾아보면 표제어 옆에 반드시 그 단수 속격 형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단수 속격의 형태에 따라 그 명사가 어떻게 격변화를 하는지를 구분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명사
명사를 수식하는 일반 형용사
대명사
대명사가 속격의 형태로 쓰이면 '~에 대한'이라는 뜻을 가진다. 복수 속격의 두번째 것은 '~중에서'의 뜻으로 쓰인다.
소유 형용사
지시 대명사
3.1.3. 독일어
독일어 격변화의 제2격으로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독일어/문법/관사의 격변화, 독일어/문법/관형사의 어미변화 참조.
다만 인칭대명사의 2격은 대체로 사용하지 않는다. 인칭대명사/독일어 참조.
3.1.4. 핀란드어
속격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n을 쓴다. 그런데 핀란드어에는 consonant gradation라는 음운 변동 현상이 있기 때문에, 규칙이 꽤나 까다롭다. 이하 모든 단어에는 특별한 얘기가 없으면 '''끝에 -n을 붙이는 것'''을 전제로 한다.
3.1.4.1.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a, o, u, y, ä, ö로 끝나는 단어, 혹은 i나 e로 끝나는 일부 단어는 모음 끝에 n만 붙이면 된다. consonant gradation 현상이 일어나는 자음이 있을 때는 weak grade를 따른다.
주격에서 -i로 끝나는 대부분의 단어는 속격에서 -i가 -e로 바뀐다. consonant gradation 현상이 일어나는 자음이 있을 때는 weak grade를 따른다.
jousi(활), kusi(오줌), and kuusi(여섯)을 제외한 -si로 끝나는 단어는 s 자리에 t가 있는 것처럼 음운 변화가 일어난다.
veli, yksi, kaksi는 별개의 변화가 일어난다.
3.1.4.2.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3.1.4.2.1. s로 끝나는 단어
동사에서 유래된 단어는 -s가 -kse로 바뀐다.
명사나 형용사에서 유래되고 -모음+us나 -모음+ys로 끝나는 단어는 -s가 -de로 바뀐다.
서수의 경우, -s가 -nne로 바뀐다.
나머지의 경우 -s를 빼고 모음을 장음으로 발음한다. consonant gradation 현상이 일어나는 자음이 있을 때는 strong grade를 따른다.
paras(최고)와 mies(남자)는 각각 parhaan과 miehen으로 불규칙 곡용한다.
3.1.4.2.2. n으로 끝나는 경우
3.1.4.2.3. l로 끝나는 경우
그냥 l 뒤에 e만 붙여 주면 된다. consonant gradation 현상이 일어나는 자음이 있을 때는 strong grade를 따른다.
3.1.4.2.4. r로 끝나는 경우
마찬가지로 그냥 r 뒤에 e만 붙여 주면 된다. consonant gradation 현상이 일어나는 자음이 있을 때는 strong grade를 따른다.
3.1.4.2.5. t로 끝나는 경우
3.1.5. 러시아어
러시아어에서는 '''생격'''(生格, роди́тельный паде́ж)이라고 불린다. 명사에서 변화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인 경우는 주격형태에 а나 я가 붙으며, 여성명사는 ы나 и가 붙는다. 자세힌 내용은 러시아어/문법/격변화 참조.
3.1.6. 로망스어군
로망스어군은 언어는 격변화를 크게 따지지 않아 소유격 역시 대게 존재하지 않는다.
고대에는 프랑스어에도 격변화가 존재했으나, 지금은 소멸해서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루마니아어는 속격과 여격이 동일하다.
3.2. 한자문화권
3.2.1. 한국어
한국어는 명사나 대명사의 격 변화가 존재하지 않아, 관형격 조사인 '의'를 사용하여 속격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조사는 후치사이므로, 앞에 오는 체언이 수식어고 뒤에 오는 체언이 피수식어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이 제시하는 한국어의 '의'의 용법은 총 '''21가지'''나 된다.
- 소유·소속
2. 행동·작용의 주체
그녀는 아버지의 사랑을 받고 자랐다.
우리의 의지를 보여 주자.
그녀는 아버지의 사랑을 받고 자랐다.
우리의 의지를 보여 주자.
4. 과정·목표의 대상
다시는 실패의 길을 걷지 않겠다.
다시는 실패의 길을 걷지 않겠다.
6.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실이나 상태가 앞의 체언에 관한 것임을 나타냄.
인간의 찬가는 용기의 찬가!!
7. 뒤 체언에 오는 인물의 행동이나 행위가 앞 체언이 나타내는 사건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나타냄.
소설 해리포터의 저자는 J. K. 롤링이다.
전설에 의하면 한자의 창시자는 창힐이다.
인간의 찬가는 용기의 찬가!!
7. 뒤 체언에 오는 인물의 행동이나 행위가 앞 체언이 나타내는 사건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나타냄.
소설 해리포터의 저자는 J. K. 롤링이다.
전설에 의하면 한자의 창시자는 창힐이다.
8, 9. 속성, 또는 속성의 보유
영수의 키는 180cm이다.
한반도의 면적은 영국보다 조금 크다.
매화꽃의 향기가 그윽하다.
10. 뒤 체언이 앞 체언이 나타내는 어떤 동작을 주된 목적이나 기능으로 하는 것임을 나타냄.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순간은 감격의 순간이다.
축제의 장을 즐기러 가자.
영수의 키는 180cm이다.
한반도의 면적은 영국보다 조금 크다.
매화꽃의 향기가 그윽하다.
10. 뒤 체언이 앞 체언이 나타내는 어떤 동작을 주된 목적이나 기능으로 하는 것임을 나타냄.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순간은 감격의 순간이다.
축제의 장을 즐기러 가자.
11. 의미적인 동격
한국어의 품사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의 9가지가 존재한다.
나무위키의 운영진에는 관리자, 중재자, 호민관의 3가지가 있다.
한국어의 품사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의 9가지가 존재한다.
나무위키의 운영진에는 관리자, 중재자, 호민관의 3가지가 있다.
12. 사회적·친족적 관계
저 분은 그의 어머니이다.
저 남자는 그녀의 상사이다.
저 분은 그의 어머니이다.
저 남자는 그녀의 상사이다.
16. 부분·전체의 관계
그 빵의 반만 나눠 주면 안 되겠니?
중국은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을 차지한다.
그 빵의 반만 나눠 주면 안 되겠니?
중국은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을 차지한다.
17. 앞 체언이 뒤 체언의 특성을 나타냄. 아래 사례는 둘 다 명사와 '의'가 결합한 형태가 관습적으로 하나의 단어인 것처럼 사용된다.
그는 불굴의 투지를 가졌다.
이 곡은 다시는 없을 불후의 명곡이다.
그는 불굴의 투지를 가졌다.
이 곡은 다시는 없을 불후의 명곡이다.
20. 앞 체언이 어떤 결과를 낳는 행동임을 나타냄
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갖은 고생의 끝에 그는 결국 대학에 합격했다.
대명사 '나#s-1', '너'가 '나의', '너의'로 소유격을 나타낼 때 각각 '내#s-2', '네#s-1.2'로 줄여 쓸 수가 있다.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갖은 고생의 끝에 그는 결국 대학에 합격했다.
중세 한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ᄋᆡ(아래아+ㅣ)', '의'와 'ㅅ'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이 중 'ᄋᆡ'와 '의'는 용법은 같은 음운론적 이형태이다.
- 'ᄋᆡ'와 '의'는 유정명사(有情名詞)[13] 가 높임을 받지 않을 때 사용한다. 모음조화로 인해 앞에 오는 체언의 마지막 음절이 양성모음으로 끝날 때는 'ᄋᆡ', 음성모음으로 끝날 때는 '의'를 사용한다.[14] 또한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 'ㅣ'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는데, 정확한 환경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羅睺羅(라ᅘᅮ라)애(ᄋᆡ) 소날(ᄂᆞᆯ)자바 目連일 맛디시고 울며 여희시니라
나후라의' 손을 잡아 목련이를 맡기고 울며 여희시었다.
- 諸子ㅣ 아배(ᄇᆡ)[15] 주구믈 듣고
아들들이 아버지의 죽음을 듣고
- 거부븨 터리 갇(ᄀᆞᆮ)고
거북의 털과 같고
- 'ㅅ'은 유정명사가 높임을 받을 때, 혹은 무정명사(無情名詞)일 때 사용한다.
- 狄人ㅅ 서리예 가샤 狄人이 갈(ᄀᆞᆯ)외어늘
3.2.2. 일본어
일본어 역시 한국어처럼 명사나 대명사의 격 변화가 존재하지 않아, 조사 の를 이용하여 소유격을 나타낸다. 쓰임새는 한국의 '의'와 대동소이하나, 특이하게도 君'''の'''知らない物語(네'''가''' 모르는 이야기)처럼 'A가 B하는 C'의 형태에서는 A가 마치 C를 직접 수식하는 것처럼 A 뒤에 の가 따라 오기도 한다.[16]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の 앞에 오는 체언이 の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한다.
- 彼女の手紙を読んで涙が出た。
그녀의 편지를 읽고 눈물이 나왔다.
3.2.3. 중국어
중국어는 고립어라서 체언이 곡용을 하지 않으므로, 조사 的(표준중국어 발음: de)를 써서 속격을 나타낸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的 앞에 오는 체언이 的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나, 的는 속격(한국어의 '~의')의 용법 말고도 한국어의 '~ㄴ'이나 '~은'처럼 앞에 용언이 와서 뒤의 체언을 수식해주는 관형어적 용법도 있다.
- 这是我的书。
이것은 나의 책이다.
- 中国的首都是北京。
중국의 수도는 베이징이다.
- 朋友的爸爸是一位有名的医生。
친구의 아버지는 유명한 의사이다. (有名的医生의 的는 universal한 문법 체계에서는 속격이 아님에 주의하자.)
중국어의 방언(구어체)에서는 的 대신 다른 조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광동어에서는 嘅(월병: ge3, 단수형) 혹은 啲(월병: di1, 복수형)를 사용하고, 대만어에서는 ê(POJ 표기. 한자 표기는 的을 쓰기도 하고 '入 밑에 下'[17] 를 쓴다.3.2.4. 한문
한문에서는 的가 갖는 속격의 용법을 之가 차지하고 있으며, 용언이 명사를 수식할 때 사용되는 것도 的과 용법이 같다. 그러나 이 이외의 용법은 的과 之가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的 뒤에 어떤 단어도 오지 않으면 的은 '~의 것'이나 '~ㄴ 것'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고(예: 我的: 내 것), 地·得와 통용되어 부사적 용법을 가질 수 있으나, 之에는 이런 용법이 없다. 또 之는 목적격 3인칭 지시대사('그를', '그것을')로 사용되거나 '(어디를) 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的은 이런 의미로 쓰일 수 없다.
- 조족지혈 (鳥足之血): '새 발의 피' 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양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이다.
- 수어지교 (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의 사귐
3.3. 기타
기타 그리스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아르메니아어, 에스토니아어, 체코어, 카자흐어, 타밀어, 터키어, 팔리어, 폴란드어 등에 속격이 존재한다.
3.3.1. 히브리어
연계형(Construct State) 명사구와 대명사 접미사(Pronominal Suffixes)가 속격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18]
- 연계형 명사구의 예 : 벧엘 - 하느님('엘')의 집('바이트'. 연계형이 될 때는 '베트')
- 대명사 접미사의 예 :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 '엘리'가 '나의 하나님'이다. '엘'에 '나의'라는 뜻의 대명사 접미사가 붙은 형태. 위 문구 자체는 히브리어가 아니라 아람어이지만, 히브리어에서도 사정은 같다(히브리어로는 "엘리 엘리 라마 아자브타니").
3.3.2. 우데게어(Udege)[19]
대명사의 소유격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앞에 오는 체언이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며, 피수식어는 소유격을 나타내는 접미사가 붙게 되는데, 이 때 소유자의 인칭과 수, 그리고 alienability를 따진다.
ŋi가 바로 alienability를 나타내는 접미사다. 또한 형태소 경계에서 < i >가 연속으로 나올 경우 장음 < i: >가 된다.
bi wo:i 내 넓적다리
si bogdoloi 네 어깨
bi mo:ŋi: 내 나무
si ja:ŋi: 네 소
bi nakta diliŋi: 내 돼지 머리
si b’ataŋi: bogdoloni 네 아들의 어깨
ja: xabani 소의 유방
dili tekpuni 두피
b’ata zä:ŋini 소년의 돈
aziga bugdini 소녀의 다리
nakta igini 돼지의 꼬리
teŋku bugdini 의자의 다리
su ja: wo:ŋiu 네 소 넓적다리
su zä:ŋiu 네 돈
[1] 러시아 극동 지역의 우데게족이 사용하는 언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사용 인구가 1991년에 100명이었다고 하니 현재는 더 줄었을 가능성이 높다.[2] 뒤에 'case'를 붙이기도 한다.[3] A의 B란뜻[4] it's라고 잘못 쓰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 -'s가 들어가서 소유격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it is나 it has의 줄임말이니 it's 대신에 it is/it has를 대입할 때 어색하다면 잘못 쓴 것이다.[5] its를 소유목적격으로도 쓰지만 소유격으로만 쓰는 게 일반적[6] 단, deus(신)은 시에서 deōrum 대신 deum으로 쓰이기도 한다.[7] 1식[8] 2식, 3식[9] 여성[10] 남성, 중성[11] 남성, 중성[12] 여성[13] 사람이나 동물처럼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명사[14] 사실 이외에도 중세 한국어는 '을/를'에도 양성 음성 여부를 따졌다. 마지막 글자의 모음이 양성 모음이면 '을/를' 대신 'ᄋᆞᆯ/ᄅᆞᆯ'을 사용하는 식.[15] '아비'의 '비'가 'ᄋᆡ'와 결합하여 'ㅣ'가 탈락하였다.[16]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장 시스템의 차이를 보여준다. 한국어에서는 문장 요소를 "네가 모르는 | 이야기"로 생각하는 반면 일본어에서는 "君の | 知らない物語" 로 나누는 것. 한문에서도 이런 경우 안긴문장의 주어 뒤에 之를 붙이는 등 유사한 현상이 발견된다.[17] [image][18] 다만, 대명사 접미사 중에는 속격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지만 다른 격의 역할을 하는 것들도 있다.[19] 러시아 극동 지역의 우데게족이 사용하는 언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사용 인구가 1991년에 100명이었다고 하니 현재는 더 줄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