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역세권개발사업

 

京畿廣州驛勢圈開發事業
[image]
[image]
조감도
1. 개요
2. 배경
3. 추진과정
3.1. 주거시설
3.2. 업무시설
3.4. 상업시설
3.5. 공공시설
3.6. 문화시설
4.1. 철도교통
4.2. 도로교통
4.3. 버스교통
5. 생활환경


1. 개요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경기광주역 역세권 일대에 추진중인 역세권개발사업. ##사업자는 광주시와 경기도시공사이다.

2. 배경


경강선 경기광주역의 신설과 더불어 각종 주거시설이 들어서게 되면서 역세권에 대한 부동산 개발사업이 요구되었다. 그리하여 광주시청 측에서 본격적으로 광주역세권개발사업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3. 추진과정


2015년 9월 23일 경기도청에서 개발계획을 승인하였다.
2017년 12월 27일 드디어 착공하였다.

3.1. 주거시설


e편한세상 광주역 1~6단지 아파트가 이미 들어서있으며, 가까운 경안천 건너에는 우방 아이유쉘 1, 2단지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역 북측에 공동주택용지(아파트)가 배정되어있어 이 곳에도 아파트가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역세권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현재 가로등조차 없는 열악한 농로(..)를 통해 경기광주역을 오가는 e편한세상 입주자들의 도보 이용에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3.2. 업무시설



3.3. 공업단지


경기광주역세권개발사업에는 산업단지 용지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공장을 몇몇 유치할 것으로 보인다.

3.4. 상업시설



3.5. 공공시설



3.6. 문화시설



4. 교통



4.1. 철도교통


경강선 경기광주역이 있다. 2016년 9월 24일에 개통하여 현재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통근전철만이 정차한다. 이곳에서 출발하면 종점역인 판교역(성남)에서 신분당선으로 환승하여 강남역까지 30분내로 갈수있다. 뿐만 아니라 2023년에는 여주~서원주 구간이 개통되어 기존에 개통된 만종-강릉구간과 이어지고, 성남역이 개통되어 운정~동탄을 잇는 GTX-A를 이용할수있고, 2025년에는 월곶~판교구간이 개통되어 인천 송도부터 강원도 강릉까지 이어진다. 향후 충주, 문경, 제천, 안동, 경주, 부산으로 경상도 구간도 열차가 다닐수 있게되고, 수서광주선까지 개통된다면 SRT는 물론 KTX새마을호, EMU-250등 일반 여객열차도 다니게 될 예정이다. 월곶~판교구간 통칭 월판선이라 불리는 이 구간이 개통된다면 기존 4량전동차가 6량으로 증설되고 급행열차도 다닐수있어 광주에서 판교까지 급행으로 7분이면 갈수있고, 이어서 과천, 의왕, 안양, 광명, 시흥, 인천 까지 이어져 그 부근으로의 출퇴근이 편해질수있고, 수서광주선까지 나오면 경기광주역은 그야말로 교통의 요충지가 될수있어 역세권부근 아파트값은 계속 올라갈 전망이다.

4.2. 도로교통


주변에 성남이천로, 경충대로 등이 지나가며, 2022년에 개통되는 세종포천고속도로 남구리~안성 구간에서 역세권에 사는 주민들은 출퇴근시 광주성남ic나 오포ic를 이용해서 서울(강동), 용인, 안성, 구리, 남양주(별내), 의정부, 포천 등으로 갈수있다.

4.3. 버스교통


배차간격이 너무 긴 노선은 제외함
*시내버스
1
2
2-3
3
*남한산성 방향
15-1
*성남 방향
17
31-2
*용인 방향
20
*수원 방향
60
660
*서울 방향
32
1113
3201
G3202

5. 생활환경


경기광주터미널 까지는 걸어서 약 15분 이상 소요되며 이마트나 경안시장을 도보로 이용할수 있으며, 주변에 경안천 등이 있어 자전거를 타고 다닐 수 있다. 아직 상가나 편의시설등은 터미널이 있는 역동, 경안동 부근에 집중되어있어 그곳에서 해결해야한다.
경기광주역 맞은편 상업용지에 대형쇼핑몰이 들어올수도 있는데 아직까지 확정되어 나온 이야기는 없다.
2023년에는 경기광주역이 있는 경안천 부근 건너편 양벌리쪽에 워터파크가 생긴다고 한다.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