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바우 영감
[image]
1. 개요
시사만화가 김성환 작가의 4컷짜리 시사 풍자만화.
고바우 영감의 첫 연재가 실린 매체에는 대해서 사료마다 엇갈리는데, 1950년의 국방부에서 발행한 '사병만화'라고 하기도 하고, 1950년 '만화신보' 또는 '만화신문'이라고 하기도 한다. 어쨌건 1950년에 연재가 시작된 점은 같은데, 나중에 '만화승리', '월간희망' 등의 잡지를 거치다가, 1955년 2월 1일부터 동아일보로 자리를 옮겨서 매일 연재되었다. 1980년 9월 11일부터는 조선일보로 자리를 옮겨서 매일 연재하게 되었고, 1992년부터 작가가 조선일보에서 문화일보로 자리를 옮겨서 연재되다가 2000년 9월 29일이 끝으로 50년 만에 연재가 종료되었다.
대한민국 시사만화 중에서 1만 4139회 연재라는 최장 기록을 가지게 되었으며, 스크린톤 없이[1] 만화 펜촉 그대로 매일 신문에 연재한 4컷짜리 만화인 점으로도 보듯 작가의 필력도 세월에 따라 변화한 적이 있기도 하다.
초기에는 가정적이고 넌센스적으로 그려낸 풍자물이었으나 함께 연재되던 1컷만평을 대신하여 1950년대 종반 경무대 똥통 사건으로 사회적 탄압을 받고 1960년대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기 등을 거치면서 점차 정치적 풍자물로 바뀌어갔으며 만화검열이 심했던 7-80년대를 거치면서는 정치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만화로 진화해가면서 그 당시 검열당국의 경고와 제재 등을 받은 적도 있다. 심한 경우 말풍선 하나가 통째로 잘린다거나 아예 한 화 전체가 지워져서 나간 적도 있다. 몇몇 에피소드를 대충 봐도 이렇다.
고바우 영감 풍자 관련 사건 중 제일 유명하다.
- 새로운 건물 디자인
1955년 11월 23일자. 11월 18일의 서울신문 대구 지사에 자유당 높으신 분을 친척으로 둔 대구 주둔 부대 소속 육군 대령 최석대가 여러 부하들을 이끌고 난입해 자신의 아내가 구타당한 끝에 자살한 걸 보도한 게 엉터리라며 들이닥쳐 대구 지사시설을 파괴하고 기자를 구타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걸 본 고바우 영감이 신문사로 와서 새로운 신문사 건물 디자인을 만들었다며 그림을 보여준다. 그것은 신문사 건물을 대포로 중무장한 요새화한 그림이다.
- 국가보안법 반대
1958년 12월 28일자. 당시 민주당(1955년)은 자유당이 국가보안법이란 이름으로 영구권력화를 한다면서 엉터리 보안법을 없애라는 시위를 벌였고 당연히 자유당은 빨갱이 드립으로 뭉개던 걸 풍자한 연재분. 야당 측에서 "보안법이 싫다"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함에도 자유당은 보안법을 선포한다고 일갈. 야당이 "우리가 싫다고 하면 꼭 반대로 한다!"라고 화를 내는데 고바우 영감이 나타나서 "그럼, 이렇게 해보시게."라고 뭔가 말을 하는데 그 말을 들은 야당은 현수막으로 "돈두 싫다!"라고 외치자 자유당에선 돈다발을 내던진다.
- 검열을 풍자한 만화
1961년 5월 24일자. 고바우 영감이 내기바둑을 두는데 엿장수가 나타나 가위로 철컥철컥 소리를 내서 고바우 영감이 계속 지는 내용으로 당시 군부에서 검열을 비꼬는 것이냐고 입건하여 벌금형을 내렸다.
- 사사오입 개헌 풍자.
김성환 화백은 고바우 영감을 통하여 이걸 통렬하게 깠다. 절룩거리면서 가는 야당의원을 보고 "아니? 어쩌다가 그리 다쳤습니까?"라고 말하는 고바우 영감에게 의원은 "푸른 제복을 입은 개에게 물렸다오."라고 대답한다. 이건 당시 이 억지스러운 결정에 따졌다가 동원된 경찰에게 강제해산당한 것을 풍자했다. 그리고 불구속입건과 같이 벌금형을 당한다.
- 어민들의 시름
1965년 4월 08일자. 한일 국교 정상화로 이승만 라인이 없어지면서 어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한 일이 있었다. 이 당시 그린 고바우영감에선 한 어민이 산에 가서 물고기 뼈다귀를 벼심듯 심는다. 고바우 영감이 대체 뭐하냐고 하자, 그 어민은 "이렇게 심으면 벼처럼 물고기가 자라지 않을까 싶어서요."
김성환 화백은 이걸로 또 경찰서에 불려나갔다고 한다. 벌금으로 얼마를 내다 바쳤는지도 모르겠다고 할 정도로 웃으며 회고할 정도였다.
김성환 화백은 이걸로 또 경찰서에 불려나갔다고 한다. 벌금으로 얼마를 내다 바쳤는지도 모르겠다고 할 정도로 웃으며 회고할 정도였다.
- 병역기피를 신랄하게 풍자한 만화도 있다. (1958년 3월 16일자.)
내용은 기합술이란 청년이 군대 가기 싫어 고바우영감에게 장애인처럼 보일만한 것들을 밝히지만 고바우영감이 그렇게 해도 보일 뿐이지 진짜 장애는 되지 않는다고 하자 한탄하며 '''에구, 난 천생 나갈 팔자구나!'''라 하자 고바우영감은 입대를 축하한다고 한다.
걸개로 나온 한자는 축 입대 기합술군(군입대 축하한다 기합술군.).
놀라운 것은, 실제로 이 때는 이런 수법을 쓰면서까지 군대 안 가려고 했던 사람들이 꽤 있었다는 사실이다. 기사에 따르면 심지어 항문에 양잿물을 발라 치질로 위장하는 경우도 있었고 기피자의 규모는 '''매년''' 5만~10만에 달했다. 6.25 전쟁이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아 거지가 된 상이군인들의 처참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고, 지금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북한의 재남침 위협이 컸던 때였다. 게다가 당시 군납비리는 심각한 수준이어서, 짬밥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사병으로 군대를 가면 제대로 먹지도 못하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당시에는 복무규율도 제대로 정해져있지 않고, 일본군시절의 똥군기 잔재가 엄청나던 시절이라 구타와 가혹행위가 수시로 벌어지던 때였다.[2] 이러니 입대에 대한 두려움이 워낙 커서 이렇게까지 했던 모양이다. 참고로 김성환 본인은 6.25 당시 입대하여 '''현역으로 실전을 겪으며''' 살아남았다.
검열은 제5공화국 시절인 80년대가 가장 극심하여 이때는 50년대 초처럼 내용 없는 만화로 돌아갔는데도 각종 의심, 검열, 방해를 받았다고 한다. 이렇게 풍자의 맛이 사라진 만화에 딴 사람이 그린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고 한다.
다만 영향력이 하도 큰 지라 독재정권 하에서 여러번 잡혀가거나 벌금을 내어도 손찌검도 당하지 않고 불수면 고문도 없었다고 한다. 되려 5일 뒤 석방되어 인지도만 높아졌는데, 화백은 '''작전 성공'''이었다고 회고했다. 이승만 정권에서는 450환의 저렴한 벌금으로 퉁친 적도 있는데 이때도 만화가 무슨 허위"보도"를 하느냐며 욕이나 더 먹었다고.
독자들에게는 정치사회를 풍자하고 신랄한 비판을 그려내었기 때문에 신문을 보는 입장에서는 답답한 기분을 날렸다거나 풍자적인 내용으로 인해서 재밌었다는 평가들이 오갔다. 자체 설문조사에서 신문을 볼 때 가장 먼저보는 기사로 고바우 영감이 꼽히는 일도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연재가 종료된 2000년 11월에는 고바우 영감 연재 50주년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하였다.
2. 등장인물
- 고바우 영감
- 그 외의 인물들
3. 여담
- 세계 최장기간 연재 4컷 시사만화로 기네스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에서 가장 오래 연재된 만화로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게스트로 나온 조석 작가의 맞춤형 문제로 출제되었는데, 조석 작가는 박수동 작가의 고인돌을 답해 틀리게 되었다. 고인돌도 오래된 작품이지만 문제가 바라는 정답은 고바우 영감이었고 틀린 조석 작가에 "큰일났네"가 백미. 여담이지만 고인돌은 1972년부터 1991년까지 19년간 연재되고 이후 후속작 등이 연재된 2001년까지 합하면 약 30년간 연재된 것이기에 장기연재 시사만화(고바우 영감, 장도리)들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가장 오래 연재된 만화로 볼 수 있긴하다.
- 원화가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 e지식채널에서 다룬적이 있다.
-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정인경씨는 숙명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세이카대학(京都精華大学)에 유학하여 고바우 영감을 주제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을 바탕으로 《コバウおじさんを知っていますか―新聞マンガにみる韓国現代史》(고바우 영감을 아십니까? - 신문만화로 보는 한국현대사)라는 책을 출간하였고, 김성환 화백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고바우 만화상'의 # 특별상을 수상했다.
- 지금 보고 싶다면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며 1955년부터 1980년까지의 동아일보 연재분, 1980년부터 1992년까지의 조선일보 연재분을 모두 볼 수 있다.[3] 다만 1992년 이후 문화일보 연재분은 볼 수 없다. 문화일보 연재분을 보려면 국립중앙도서관에 가서 열람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신문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