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반

 


'''작위'''
'''진안 갈문왕'''
'''별호'''
국반 갈문왕 / 국기안 갈문왕[1] / 국분 갈문왕
'''골품'''
성골
'''성씨'''
김(金)
'''이름'''
국반(國飯)
'''아버지'''
김동륜
'''어머니'''
만호부인[2]
'''형제'''
진평왕, 김백반
'''배우자'''
월명부인
''''''
진덕여왕
'''생몰년도'''
(567~573년)[3] ~ ?
1. 개요
2. 상세
3. 창작물


1. 개요


신라 성골 왕족. 형에게서 갈문왕 작위를 받았다.
이름 국반은 실제 석가모니의 셋째 숙부 곡반(斛飯)에서 따 온 것이다. 형인 진평왕 백정의 이름은 실제 석가모니의 아버지 슈도다나의 한자식 표기이므로 일괄적으로 지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2. 상세


김동륜만호부인 사이의 3남이자 진평왕김백반의 친 남동생. 진덕여왕의 아버지.
형 진평왕이 즉위하면서 갈문왕으로 책봉됐고, 얼마 안 남은 성골 남성이었지만 슬하에는 만을 두어 결국 신라에 여왕이 즉위하게 된다.
삼국유사에서 선덕여왕국서로 등장하는 음갈문왕의 음(飮)을 반(飯)의 오기로 보는 설을 차용해서, 김국반이 선덕여왕과 혼인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조카지만, 한국사고대~중세 초기는 왕실 내 근친혼이 워낙 흔했던 시대라 그리 특이한 것은 아니다.[4]

3. 창작물


[image]
KBS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에서도 등장. 배우는 홍일권[5] 여기서도 국반갈문왕=음갈문왕 설을 차용해 선덕여왕 김덕만과 혼인한다.
성골 남성임에도 왕위를 잇지 못한 것을 묘사하기 위해서인지 일상생활에 하자가 있는 전형적인 광인으로 설정됐지만 간간이 사도태후에 대한 디스라든가 김춘추와의 대화, 숙흘종알천에게 뼈 있는 소리를 던지는 것을 보면, 실은 상식적인 면모도 있으면서 일부러 미친 척 하거나 위악하는 듯 보이기도 했다.[6] 어쨌든 각혈을 하면서 사망 플래그를 세우다 결국 병사하고 말았다.

[1] 삼국유사 기록.[2] 삼국사기 진평왕 본기에서 김백반, 김국반을 왕의 친동생(母弟)이라고 서술했다.[3] 동륜태자의 몰년과 추정 생년을 토대로 역산했다.[4] 이후 고려 초까지도 왕족끼리 조카와의 결혼 정도는 흔했다.[5] 명성황후에서 명성황후의 호위무사 홍계훈, 무인시대에서 최충헌의 심복 김약진, 공주의 남자에서는 금성대군역으로 호연을 펼쳤다.[6] 의외로 정신질환자들이 이따금 뼈 있는 말을 하는 경우가 꽤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