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1호터널
南山 一號 터널 / Namsan 1st Tunnel
[image]
[1]
1. 개요
남산1호터널(南山一號-)은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중구 예장동을 잇는 터널이다. 삼일대로에 속해 있으며 북쪽방향으로는 명동·을지로·충무로 일대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한남대로를 통하여 한남대교와 접속하고 한남대교 남단에서부터 강남대로와 경부고속도로 진입로와 접속한다.
2. 역사
1969년 3월 13일에 착공하여[2] 1970년 8월 15일에 개통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터널은 달랑 한 가닥으로, 통행은 왕복 2차로였다. 터널 폭은 3차로까지 수용 가능한 넓이로 시공되었다. 그러나 개통한지 1년 정도 지나자 물이 새고 천장에 금이 가는 등 부실공사로 인한 각종 하자가 속출했고, 결국 1975년 6월 1일 터널을 폐쇄하고 대대적으로 보수공사를 벌여 9월 2일에 재개통했다. 근데 이렇게 돈들여 고쳤는데도 1976년 1월 7일에는 터널 내벽이 무너지는 사고가 났다(...).
그 이후에도 문제가 속출했는데, 경제발전으로 서울시내 자동차가 늘어나면서 터널 통행이 많아지자 1980년대 초반에는 터널 공기질이 대단히 나빴다. 환풍장치가 1970년대 초반의 서울시 교통사정에 맞춰 설계된 터라 한계를 넘어선 탓이었다. 이 문제는 1982년에 환풍장치를 보강하는 쪽으로 개선이 되었지만 자동차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빨라서 또다시 한계를 넘어섰다.
1980년대에 자동차가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1호터널은 하루종일 막히는 상습 정체구간이었다. 이 때문에 1983년부터는 가변차로를 실시, 출근시간대에는 시내방향만, 퇴근시간대에는 한남동 방면으로만 통행을 시켰다. 1984년에는 1975년 공사 때 누수 문제 때문에 좁혀놨던 터널 내벽을 다시 넓혀서 3차로로 늘리는 방안도 나왔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고, 정체가 너무 심하다보니 보수도 못 해서 안전에도 문제가 많았다.
1987년 9월 11일, 서울시는 결국 1호터널 옆에 새 터널을 하나 더 뚫어 왕복 4차로로 확장하는 방안을 내놓는다. 새 터널은 1989년 5월 25일 첫 삽을 떴고, 1993년 12월 28일에 개통했다. 하지만 새 터널이 뚫렸어도 한동안 왕복 2차로로 운영되었는데, 구 터널의 하자가 너무 많아서였다. 통행은 새 터널로 모두 돌리고, 구 터널은 새 터널 개통과 동시에 폐쇄하고 약 1년 반 동안 거의 다시 만드는 수준으로 보수공사를 하여 1995년 6월 10일 재개통했다. 이로써 지금의 1호터널이 완성되었다.
3. 특징
도심에서 강남 지역을 잇는 노선으로 교통량이 매우 많다. 일단 '''강남과 도심을 이어주는 핵심경로''' 이며, 경부고속도로 축의 도시(용인, 수원, 성남, 동탄)에서 도심으로 오는 것은 물론, 올림픽대로를 통해 서울 동부나 남양주에서도 간접적으로 합류하기도 한다. 당연히 이용량은 엄청나며 그 어마어마한 교통량을 북쪽에서는 퇴계로2가, 을지로2가 교차로 신호가 감당을 못하고 남쪽에서는 비좁은 한남고가가 감당을 못하면서 터널에 정체가 생긴다. 한번 정체가 생기면 굉장히 극단적으로 막히며 터널을 빠져나가는데 금요일 밤에 가면 한남오거리까지 한 시간은 기본으로 잡아먹는다(...).
'''경기도 동남부, 도심간 광역버스들은 1개 노선[3] 을 빼면 무조건 이 터널을 거친다.''' 이는 경부고속도로 연선 도시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한 뒤 직진하면 한남대교, 한남대로와 이 터널을 거쳐 신호등을 한 번 이하로만 거치고 명동으로 빠르게 갈 수 있기 때문이다.[4] 이러한 점 때문에 경기광주 버스 1005-1이 처음 이 터널을 지나고 나서부터는 사실상 광역버스들의 국룰 루트로 자리잡았다.
이 터널을 이용하는 서울버스들도 당연히 많다. 때문에 서울 백병원 정류장에 붙어있는 노선도의 개수도 20개에 가까우며 이들이 배차간격도 짧은 편이기 때문에 터널에 버스만 다니게 해도 정체가 발생할 수도 있을 지경이다.
터널이 상하행선 2개 있지만, 원래는 상행 터널만 있었다. 한남동 방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 터널이 원래 있던 터널이고, 왼쪽에 있는 하행 터널이 나중에 만든 것이다. 그래서인지 상행 터널은 당시 토목 공사 기술 부족으로 인해 터널 내 언덕배기가 있는 반면, 하행 터널은 언덕배기가 없다. 또한 터널 등기구 모양도 서로 차이가 있었으나, 2018년에 LED로 전면교체하면서 동일해졌다.
3.1. 남산1호터널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
- 서울 버스 140
- 서울 버스 470
- 서울 버스 472
- 서울 버스 741
- 서울 버스 9401
- 경기광주 버스 1150
- 경기광주 버스 3201
- 경기광주 버스 5007
- 경기광주 버스 5500-2
- 경기광주 버스 8100
- 성남 버스 G8110
- 경기광주 버스 9000
- 성남 버스 9003
- 성남 버스 9200
- 성남 버스 9300
- 용인 버스 5000
- 용인 버스 5005
- 화성 버스 4108
- 수원 버스 8800
- 광역급행버스 M4101
- 광역급행버스 M4102
- 광역급행버스 M4108
- 광역급행버스 M4130
- 광역급행버스 M4137
- 광역급행버스 M5107
- 광역급행버스 M5115
- 광역급행버스 M5121
4. 요금
징수시각 : 평일 07~21시에 한함.
1종, 6종 중 면제차량 : 화물자동차[5] , 3인 이상 탑승 차량, 택시(승객탑승여부 무관), 맑은서울 태그 부착 서울시 등록 저공해차량(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긴급자동차 등.
[image]
[image]
명동 쪽 출구에 톨게이트가 있어 '''평일 7시부터 21시까지만 혼잡 통행료 명목으로 터널 이용 요금을 받고 있다.''' 2인 이하의 인원이 승차한 10인승 이하의 승용차와 승합차는 2,000원을 징수하며, 현금이나 티머니, 캐시비,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로 지불할 수 있다. 단 하이패스로는 지불할 수 없으며 하이패스카드를 단말기에 대도 인식이 안된다.[6]
3인 이상 탑승시, 요금소를 지나면서 왼손으로 세 손가락을 펼쳐 보이면서(3명이 타고 있다는 뜻) 천천히 정차 후, 직원이 차 안을 확인하고, 통과하라는 사인을 보내면 지나가면 된다.
이 요금소의 존재 때문에 경기도에 2층버스가 도입되고도 한동안 서울역 착발 노선에는 투입되지 못했는데, 이후 요금소 지붕을 더 높이 올려서 해결하였다.
서울시 바로녹색결제에 차량번호와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창문을 열지 않아도 자동으로 결제가 된다.
5. 사건 사고
2011년 7월 14일 택시 폭발사고 관계로 인해 교통이 마비되고 대피소동이 일어났었다. 이 외에도 수시로 접촉사고가 발생하여 헬게이트를 만들고 있다.
[1] 사진 속 ''''남산 제1호터널'''' 현판은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쓴 글씨다.[2] 당초에는 방공호 역할을 하기 위해 2호터널과 만나는 중앙에 약 23,000㎡ 규모의 지하 교통광장과 교차로를 둘 계획이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무산되었다. 당시 대한뉴스[3] 성남 버스 9007. 남산3호터널을 거친다.[4] 신호등을 한 번 이하로만 거친다는 것은, 한남오거리를 넘는 한남2고가차도의 경우 광역급행버스 및 그 보조노선들만 통과하도록 인가가 났기 때문이다. 순천향대병원 정류장에 정차하는 직행좌석버스들은 해당 정류장 정차를 위해 고가도로 옆길로 다녀 신호를 한 번 받는다. [5] 현대 포터 등.[6] 요금소 여유공간이 없는데다가 터널 출입구와 요금소 사이가 좁아 하이패스 차로 설치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