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둥이

 

1. 개요
2. 기준
3. 늦둥이의 시대 변화
4. 이유
5. 기타
6. 해외의 늦둥이


1. 개요


부모가 출산 적령기를 지나 나이가 많이 든 뒤에 본 자녀를 의미한다.

2. 기준


몇 살에 아이를 낳으면 늦둥이다라는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한국에서는 출산 연령이 계속 늦어져 30대 중후반 출산도 흔해지다 보니 대개 30대 후반인 '''38세 이후''' 에 아이를 가질 경우 늦둥이라는 표현을 붙이는 듯하다. 이는 엄마의 연령이고, 일반적으로 아빠가 엄마보다 평균 2~3살정도 연령이 높기 때문에 아빠 기준으로는 '''40세 이후'''에 아이를 갖는 경우 이러한 표현을 붙이는 듯하다. 부모 모두 30대 후반 이후 본 아이는 확실한 '''늦둥이'''이다.일반적으로 노산의 기준은 만 35세다. 언론에서는 노산의 기준인 만 35세 이상의 산모를 고령 산모라 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로 현재 평균 출산 연령은 만 32세 정도. 2019년 출생아 303,100명 중 33.3%인 101,000명이 35세 이상 산모에서 태어났다.

3. 늦둥이의 시대 변화


근대화 이전에는 피임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데다, 부모가 생전에 자식들을 모두 책임질 필요가 없이 큰 아이가 작은 아이를 키우면 된다는 인식 때문에, 부모 중 한쪽이 죽거나 어머니가 폐경할때까지 계속 자식을 낳았으며, 이로 인해 부모가 40~50대 때 태어나는 늦둥이도 상당히 많은 편이었다. 유아 사망률이 많은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기도 한다. 농경 사회에서는 지금처럼 자녀들을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시킬 필요 없이 유아기만 벗어나면 노동력으로 써먹을 수 있었던 탓도 크며, 그래서 한국의 경우에도 소위 '베이비붐 세대'(1955~71년)까지는 이러한 늦둥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현재에도 근대화가 덜 되고 출산율이 매우 높은 아프리카대륙에서 빈번히 나타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피임 기술이 발달하고 부모가 생전에 책임질 수 있을만큼만 자식을 낳아 키워야 한다는 가족계획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늦둥이 출산은 점차 줄어들게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에 출산률의 저하와 함께 이런 경향이 굳어지게 된다.
그러나 2020년대 들어 경제적 이유 등으로 결혼연령이 증가하는 추세인 현대 사회에서는 부모가 늦게 결혼하는 이유로 늦둥이를 출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늦둥이의 유형에는 첫 자녀(장남, 장녀, 외동아들, 외동딸)지만 부모의 연령이 높은 유형이 있고, 위로 형제들이 있는데 부모가 나이가 많은 막내 유형이 있다. 2020년대에 늦둥이가 늘어났다는 것은 '''늦게 결혼'''함으로 인해 '''첫 자녀'''가 늦둥이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2020년대에 늦둥이가 늘어난 것이다. 막내유형의 늦둥이는 결혼이 늦어지면서 터울이 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위의 형제자매들과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늦둥이는 부모와 손위 형제들로부터 상당히 귀염받으며 자라는 경우가 많다. 늦둥이는 '''심하면''' 부모에게는 자식보다는 손자뻘, 형제들에게는 자식뻘에 가까울 정도로 어린 경우도 있다. '''극단적'''으로 부부가 결혼을 빨리 하여 20대초반에 첫 자녀를 낳고 40대초반인 굉장히 늦은 나이에 늦둥이를 낳게 되면 첫째와 막내의 터울은 약 20년 까지 차이날 수도 있다. 매우 드문 경우이지만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다. 2015년 방영된 동상이몽에 출연한 늦둥이 딸(당시 17세,1999년생)은 친오빠(당시 40세,1976년생)와 23살 터울임을 밝혀 진행자가 경악을 금치 못하였다. 이러한 경우 자연히 응석받이 취급을 받으며 자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늦둥이들이 버릇이 없다는 편견이 존재하는 것이 아마 이러한 이유일 것이다. 물론 가정마다 환경은 다른 법이므로 오히려 늦둥이일수록 더 엄격하게 키우는 집안도 있다. 오히려 늦둥이 막내가 응석받이는커녕 천덕꾸러기, 구박덩이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늦은 나이라 임신이 안 될 거라 생각하고 딱히 피임하지 않았다가 계획에 없던 아이가 덜컥 생겨버리는 경우가 이렇다. 애 면전에서 대놓고 실은 너 가질 생각이 없었고 안 낳으려고 했었다느니 어쩌니 말을 해대서 큰 상처를 주는 막장부모도 있다. 아이 돌보는게 쉬운 게 아니어서 젊은 부모들도 힘든데, 중년 이상 나이대라면 더 힘들다. '내가 이 나이에 웬 고생을...'하고 애꿎은 애한테 그 스트레스를 화풀이하는 것.
2020년대인 현재는 저출산이 문제가 되면서 출산 시기도 늦어지고 있어서 맏이의 경우 부모님과의 나이 차가 35세 이상 나는 경우도 많아졌으며 40세 이상 차이난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특히 아버지의 경우 40세 이상은 흔하고 심지어는 50세 이상 차이난 아동도 생겨나고 있다.# 이는 2019년도 자료로 출생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아버지 나이가 40세 ~ 44세인 신생아가 약 15%이고 45세 ~ 49세인 신생아가 4% 심지어는 50세 이상인 신생아도 거의 1%에 육박하다. 40세 이상으로만 한정하면 이들은 약 20%가 된다. 이는 전년대비 증가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아버지와 나이차가 40세 이상인 아동도 전 세대에 비해 흔히 볼 수 있을 듯 하다.
1990년대 초 중반 한국에서는 산아제한 정책의 실질적인 폐지와 함께 경제호황에 따른 사치풍조의 하나로서 중산층을 중심으로 늦둥이 출산이 유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출산률이 반등하고 출생아 수가 증가하여 에코붐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뿌리깊은 남아 선호 사상때문에 딸만 있는 집에서 아들을 얻기 위해 늦둥이를 낳는 경우가 많았으며, 딸만 낳아 키우던 집도 '아들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과 주변의 압박 때문에 뒤늦게 늦둥이를 가지곤 했다. 그래서 90년대 초중반생 중에는 형제와의 터울이 크게 벌어지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이 때문에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반생(1978, 1979, 1980, 1981, 1982)들은 늦둥이 동생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4. 이유


1970년대생까지만 해도 형제가 본의 아니게 늦둥이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형제자매가 기본 3명 이상이었던 그 당시에는 자녀가 5명 이상이면 대개 첫째와 막내의 터울이 10년이상 나며 이때 마지막에 태어난 자녀는 부모의 연령에 따라 늦둥이가 되는 경우가 흔했다. 그러나 대부분이 1자녀 혹은 2자녀, 드물게는 3자녀인 '''2020년 현재는 30대 이하에서 이 유형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 와서는 부부가 혼기를 한참 넘겨 늦게 결혼해서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부부가 30대 중반 이후 결혼하여 30대 후반~40대 초반인 매우 늦은 나이에 아이를 출산하는 경우이다. 대개 이 경우는 자녀가 하나 혹은 둘이지만 부모의 연령이 높기 때문에 늦둥이가 된다. 예전에는 이러한 경우가 드물었지만 만혼이 일반화되는 현재는 '''상당히 많이 보이는 유형이다.'''
먼저 낳은 자식들이 어느정도 성장해서 생기는 외로움이나 부부간의 결속을 다시 다지기 위해 낳는 경우에는 주로 세자녀 이상에서 보이며 대개 막내와 그 바로 손위 자녀의 터울이 특히 큰 편이다. 먼저 낳은 자식들이 어느정도 성장하여 느끼는 외로움이나 부부간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아이를 다시 출산하기도 한다. 예나 지금이나 이러한 유형의 늦둥이는 몇몇 보이며 2020년 현재에는 재혼 가정 형성, 늦은 혼인으로 인한 출산과 더불어 늦둥이 출산 이유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늦둥이는 손위 형제자매들과 기본 10살 정도 터울이 있으며 꽤 터울이 큰 경우는 15살 정도까지 차이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전 라붐의 멤버 율희가 해당 케이스에 속한다. 손위 자녀들이랑 터울이 매우 큰 (14~15살) 늦둥이 자녀의 경우 손위 자녀가 고등학생 정도 연령이 되어도 늦둥이 자녀는 '''아기''' 이기 때문에 늦둥이 자녀는 응석받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손위 자녀들의 영향으로 세상을 빨리 보게 되어 발달이 빠르며 앞서나가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재혼 가정이 형성되면 부부의 결속 등을 위해 보통 아이를 낳는 경우가 많다. 재혼은 초혼에 비해 부부의 연령이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재혼가정에서 생긴 아이는 늦둥이일 가능성이 높다. 부부 중 한 쪽 또는 두 쪽에 이미 아이가 있는 경우는 이복, 이부 자녀들의 터울이 꽤 큰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가수 조성모나 배우 조정석 등이 있다. 한국보다는 재혼, 동거혼이 많은 해외에서 더 많이 보이는 유형이다.
이부형제 특히 이복형제가 있는 경우에는 나이차가 20살 이상 차이가 나는 케이스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30살, 40살이상 차이나는 케이스도 있다.''' 이는 남자의 경우 아무리 나이가 많아도 젊은 여성과 임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서세원의 딸인 서동주가 해당 케이스에 속하는데 서동주는 1983년생 서동주의 이복 여동생은 2015년생이다. 계산해 보면 둘의 나이 차는 무려 '''32세.'''[1]
먼저 낳은 자식들과 다른 성별의 자녀를 갖기 위해 늦둥이 출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아들을 갖기 위한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2020년 현재에는 드문 유형이다. 그러나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이러한 이유로 태어난 자녀들이 상당히 있었다. 90년대 이전까지는 대부분의 경우가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만 있는 가정에서 아들을 낳기 위해 늦둥이 출산을 하였었다. 대표적으로 오마이걸의 멤버 지호가 해당 집안의 케이스이다. 특히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서 이러한 경향이 '''매우 두드러졌으며''' 남아선호사상이 약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드물었다.
2000년대에 태어난 자녀들까지 조금은 존재했던 유형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한 늦둥이 출산은 일부 경상도 시골지역을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다. 현재 이러한 유형으로 늦둥이를 출산하는 경우는 남아선호사상이 아닌 순수히 다른 성별의 자녀를 갖고 싶은 이유가 가장 크다. 딸만 있는 집에서 아들, 아들만 있는 집에서 딸 출산이 그렇다. 특히 요즘에는 이 아들보다 선호되는 경향이 있어 남성 자녀들만 있는 집안에 늦둥이가 인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전라남도,광주광역시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통계적으로 막내가 인 경우가 많다. 물론 큰 차이는 아니다. 이러한 유형의 늦둥이는 과거 '''한국''' 과 '''중국''' 한정으로 상당히 있었다. 하지만 한국은 극심한 저출산으로 인해 현재는 사그라들었다. 중국은 오히려 전 세계에서 외동자녀가 압도적으로 많은 국가이다. 다만 중국은 아들 선호가 아직도 남아있는 듯 하다.

5. 기타


손윗형제와 늦둥이 나이차가 클경우, 사회적으로 곤란에 처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저 애는 형/오빠/언니/누나가 어린 나이에 문란하게 사고쳐서 낳아서는 자기 부모 자식으로 입적시켜 키우는 거 아냐?'하는 이상한 시선을 받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미혼모미혼부가 사회의 따가운 시선 때문에 자기 자녀를 부모의 자녀로 등록하는 경우가 있고, 김승현(배우)도 이런 식으로 딸을 부모에게 입적[2]시켰다가 결국 미혼부임을 커밍아웃하고 인지한 바가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가부장적이고 평균 초산연령이 가장 높은 한국에서는 상당히 희귀한 케이스이다.[3]
친척 중에 늦둥이가 있거나 본인이 늦둥이일 경우 나이와 항렬 관계가 서로 어긋나서 나와 나이가 비슷하거나 오히려 적은 삼촌이나 이모,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생기게 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항렬이 어긋나는 관계의 당사자들이 모두 성인이면 상호 존칭을 써야 한다. 물론 꼭 그런 것만은 아니고 본인은 늦둥이는 아니나 부모 두분 중에 늦둥이어도 이런 케이스가 종종 있는 편이다.

6. 해외의 늦둥이


https://www.thestudentroom.co.uk/showthread.php?t=3429639
위의 링크는 영국의 학생 커뮤니티에 올라온 게시글로, '당신들의 형제자매는 최대 몇살 터울인가?' 라는 글과 댓글이다. 우리나라보다 출산율이 높고 자녀 수가 많은 영국에서는 대체로 10살 터울이 많고 심하게는 20살 터울도 있다. 영국 전 총리 토니 블레어도 84년에 장남을 낳은뒤 16년 후, 무려 46살의 나이에(아내는 45세) 늦둥이 아들을 낳았다.
선진국의 경우 나이가 찬 후 결혼하여 늦게 자식을 보는 경우가 대체로 개발도상국에 비해 많고, 여성의 삶의 질도 높은 편이며 직장인 여성비율이 높아 경력단절 등을 이유로 아예 늦게 결혼하여 자식을 두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늦둥이 출산이 꽤 있는 편이다.
다만 늦은 혼인이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막내 유형의 늦둥이는 몇몇 개발도상국을 제외하고는 줄어드는 편이다.
대체로 출산율이 높고 사회복지 시스템이 잘 되어있는 국가들에서 늦둥이 출산이 많다. 늦게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아도 사회적 눈초리가 적은 국가들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들 국가에서는 늦둥이 출산이 있는 편이다.
아프리카대륙에서도 늦둥이 출산이 흔한데, 이는 피임의 부족과 농업 위주 국가의 노동력 때문이다. 다만 첫 출산을 20세 정도로 일찍 하기 때문에 한국의 산모 기준에서는 늦둥이가 아닌 막내가 첫째랑 10살 이상 차이나 늦둥이인 경우도 있다.
니제르, 말리같은 국가는 기본 자녀가 6~7명 이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터울이 나타난다.
반면 중국은 출산율이 1.6명 정도이지만 대부분이 결혼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 결혼한 사람들의 출산율인 유배우 출산율도 이와 비슷하다. 현 20대 기준 중국인들에게 물어보면 대충 절반은 외동이며 나머지 절반은 2자녀이다. 3자녀는 중국에서 '''매우 드물다.''' 자녀를 많이 낳는 국가가 아니라서 유배우 출산율은 한국보다도 낮고 이때문에 자녀들끼리 터울이 큰 막내유형의 늦둥이는 중국에서 보기 힘들다. 다만 지금은 계획생육정책이 끝난지라 이런 유형이 점차 늘어날 확률이 높다.


7. 늦둥이인 인물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늦은 나이에 아들을 얻은 사람은 전직 씨름선수인 인도의 농부 라그하브 씨('''1915년 생''')로 2010년 '''94세의 나이로''' 아들을 낳아 이전 최고령 기록인 90세를 경신했고 다시 2012년에 '''96세의 나이로 둘째 아들까지 보면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4] 근데 그의 가족들은 그를 버리고 가출해버렸다 카더라. 믿거나 말거나.

[1] 참고로 서세원서정희와 결혼 후 30년동안 생활하다가 이혼했으며 현재 부인과 재혼했는데 재혼한 여성은 첫째 딸인 서동주보다 '''고작 1살 많다.''' 한마디로 딸 또래다.[2] 실제로 김승현의 부모가 손녀를 본 나이가 어머니는 40대 초반이었던 상황이여서 충분히 대외적으로는 늦둥이로 설명이 가능했던 케이스.[3] 해외에서는 형제간 나이차가 10살은 예사고 20살 이상 차이나는 케이스도 종종 있는편이다. 한국과는 달리 해외에서는 20세 초반의 나이에도 출산한 케이스가 상당히 흔한 편이기 때문.[4] 그는 80대 후반까지 금욕생활을 하다가 결혼을 했는데, 본인은 매일 3킬로그램의 우유와 아몬드를 먹는게 건강의 비결이라고 주장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