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군/장관급 장교
1. 개요
대한제국군의 장성급 장교를 설명하는 문서다. 엄밀히는 1894년 12월에 주요 군사계급이 설정된 이후를 다루기 때문에 조선군의 현대 장성급 장교도 포함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장성급 장교는 대한민국 국군/장관급 장교를 참고할 것.
이 시절만 해도 군사계급을 부여하고 파면하면 군사계급을 빼앗겼다가 다시 복직되기도 했다. 현재의 북한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 그리고 법부대신이나 농상대신 등 다른 보직을 제복군인에게 맡기기도 했다. 대한제국이 전제제국을 꿈꿨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계급은 대원수(大元帥), 원수(元帥), 대장(大將), 부장(副將), 참장(參將)으로 구성되었다. 현재의 준장에 상당하는 계급은 없었다. 본래 한중일 모두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과 북한[1] 에 생겼고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는 필요에 따라 교관급 장교 최선임인 대교를 타국의 준장의 카운터파트로, 자위대에서는 1등육좌, 1등해좌, 1등공좌를 1종, 2종, 3종으로 나눠 1종 1좌를 준장에 가깝게 대우한다.
이들 중 일부는 조선인 일본군에 조선군인으로 편입되었다.
2. 계급별
2.1. 대원수
고종이 유일하게 맡았다.
2.2. 원수
순종이 유일하게 맡았다.
2.3. 대장
대한제국군에서 대장 계급으로 진급한 사람은 없었다.
2.4. 부장
- 1895년 5월 10일 종1품 신기선(申箕善) 육군부장 임용, 군부대신 임용
- 1895년 6월 20일 정2품 안경수(安駉壽) 육군부장 임용, 경무사(警務使)에서 군부대신 임용
- 1895년 10월 10일 종2품 이도재(李道宰) 육군부장 임용, 군부대신 임용
- 시기불명 조희연(趙羲淵) 육군부장, 군부대신 임용
- 1896년 11월 12일 민영환(閔泳煥) 육군부장 임용, 군부대신 임용[2]
- 1897년 3월 23일 심상훈(沈相薰) 육군부장 임용[3]
- 1897년 10월 1일 이종건(李鍾健)[4] 육군부장 임용
- 1898년 4월 18일 민영기(閔泳綺)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군부대신 임용
- 1898년 11월 7일 유기환(兪箕煥) 육군부장 임용
- 1898년 12월 12일 민병석(閔丙奭) 육군부장 임용
- 1899년 5월 14일 이재순(李載純) 육군부장 임용
- 1899년 8월 21일 조동윤(趙東潤)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5]
- 시기불명 이운용(李允用) 육군부장 임용[6]
- 1901년 5월 19일 민영휘(閔泳徽) 육군부장 임용
- 1903년 5월 7일 이근택(李根澤)·이봉의(李鳳儀)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3년 10월 7일 윤웅렬(尹雄烈)[* 참모부 부장을 지냈다.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3년 11월 14일 민영철(閔泳喆)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4년 3월 21일 이지용(李址鎔)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4년 5월 2일 권중현(權重顯)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4년 9월 22일 이용태(李容泰) 육군부장 임용
- 1905년 7월 21일 박제순(朴齊純) 육군부장 임용
- 1905년 11월 8일 한규설(韓圭卨) 육군부장 임용
- 1906년 2월 15일 이근호(李根澔) 육군부장[7] 임용
- 1906년 4월 8일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 육군부장 임용
- 1906년 5월 12일 민형식(閔炯植) 육군부장 임용
- 1907년 2월 25일 이용익(李容翊)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7년 5월 22일 윤택영(尹澤榮) 육군참장에서 육군부장으로 진급
- 1907년 11월 27일 완흥군(完興君) 이재면(李載冕) 육군부장 임용
- 시기불명 이병무(李秉武) 육군부장 임용[8]
2.5. 참장
건군 직후에는 정령을 안 거치고 부령(현재 중령에 대응)에서 참장으로 바로 진급한 케이스들이 많다. 이후 정령에서 참장으로 정상적인(?) 진급자가 늘어나는 편.
- 1899년 8월 21일 이학균(李學均)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9]
- 1900년 4월 8일 김영준(金永準) 육군참장 임용
- 시기불명 주석면(朱錫冕) 육군참장 임용
- 1900년 12월 30일 민영철(閔泳喆) 육군참장 임용
- 1901년 5월 19일 이지용(李址鎔) 육군참장 임용
- 시기불명 이근택(李根澤)[10] 육군참장 임용
- 1902년 2월 22일 백성기(白性基)[11] 육군참장 임용
- 1902년 9월 16일 민상호(閔商鎬) 육군참장 임용
- 1903년 5월 7일 구영조(具永祖)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3년 10월 7일 이용익(李容益)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3년 11월 14일 엄준원(嚴俊源)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정기택(鄭騏澤) 육군참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3월 21일 권중석(權重奭)·신태휴(申泰休)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5월 2일 엄주익(嚴柱益)[12] , 현영운(玄暎運)[13]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7월 16일 김승규(金昇圭)[14]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민영찬(閔泳瓚), 김정근(金禎根)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9월 1일 홍순찬(洪淳瓚)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원우상(元禹常)·김영진(金永振) 육군참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9월 5일 장화식(張華植) 육군부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4년 9월 22일 양성환(梁性煥)[15]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시기불명 권태익(權泰益)[16] 육군참장 임용
- 1905년 10월 22일 이한영(李漢英)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5년 12월 13일 이희두(李熙斗)·이병무(李秉武)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6년 5월 14일 이남희(李南熙)·오보영(吳普泳)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6년 9월 2일 윤영렬(尹英烈)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7년 4월 19일 이기홍(李起泓)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7년 4월 27일 조성근(趙性根)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7년 5월 28일 한진창(韓鎭昌) 육군정령에서 육군참장으로 진급
- 1907년 11월 27일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 육군참장 임용
[1] 조선인민군의 소장이 brigadier general에 해당한다.[2] 뒤에 부장 계급으로 원수부 회계국 총장, 헌병대사령관 등을 지냈다.[3] 원수부 군무국 총장을 지냈다.[4]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궁성호위 사령관(宮城扈衛司令官), 시종무관장(侍從武官長)을 지냈다.[5] 원수부 검사국 총장, 동궁 무관장(東宮武官長)을 지냈다. 뒤에 조선군인으로 편입하여 일본군 중장도 지냈다.[6] 호남사령관, 참모부 부장을 지냈다.[7] 배종 무관장(陪從武官長)을 지냈다.[8] 군부대신을 지냈다.[9] 육군무관학교 학교장을 지냈다.[10] 혼성여단 임시여단장을 지냈다.[11] 육군법원장, 교육부 참모장.[12] 군부협판(軍部協辦)을 지냈다.[13] 참모부 1국장을 지냈다.[14] 군부 군무국장을 지냈다.[15] 헌병 사령관 역임.[16] 군부 참모국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