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터캐논

 

[image]
기술 이름
타입
분류
위력
명중
PP
한국어
일본어
영어


80
100
10
러스터캐논
ラスターカノン
Flash Cannon
기술 효과
특수 분류
부가 효과
확률
-
-
특방 -1
10

'''몸의 빛을 한곳에 모아서 힘을 방출한다.'''

포켓몬스터기술기술머신 91번이다.[1] 라스트버지와는 달리, 이름이 제대로 번역되었다. 단어의 뜻은 Luster Cannon, 즉, 철의 광택을 빔포로 쏘는 기술이다. 물론 그렇다고 몸으로 햇빛을 반사한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 몸에 대포 역할을 하는 부위가 있으면 거기서 쏘고 아니면 거의 입에서 발사한다.
강철 타입 중에서 얼마 안 되는 특수기 중 하나.[2] 섀도볼의 강철 타입 버전이나, 부가 효과는 섀도볼이 20%로, 러스터캐논이 더 낮다. 게다가 PP도 러스터캐논이 섀도볼보다 5 낮다. 몸이 번쩍거리는 포켓몬이 배우는 경우가 많으며, 전설계를 제외할 경우, 강철 타입 중 특공이 쓸만한 포켓몬인 자포코일, 대코파스, 킬가르도 정도가 채용한다. 그밖의 경우 엠페르트는 더 쓸만한 보조기가 많고, 루카리오파동탄과 견제 폭이 겹치므로, 잘 안 쓰인다. 격투를 무효화하는 고스트 타입에게 자속을 먹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루카리오는 악의파동이라는 선택지도 있어서... 그래도 6세대에서는 페어리 견제를 위해서 채용하는 경우가 제법 늘었다. 메가루카리오라면 특성 적응력과 나쁜음모를 이용한 특공 상승으로 웬만한 1배들도 박살내는 무시무시한 화력을 보여줄 수 있다. 격투 반감인 페어리 타입 견제가 가능한 건 덤. 또한 이런 특수형 루카리오는 선공기진공파를 채용하는 경우가 제법 많다. 안타깝게도 음번 같은 경우는 이 기술을 배우지 못해 페어리 견제가 불가능하여 강철날개나 아이언테일이나 써먹어야 한다. 그러나 페어리 견제로 러스터캐논의 입지가 확실한 건 아닌데, 강철 반감인 물이나 전기 타입 복합 페어리 타입에 있어서는 오물폭탄이나 오물웨이브가 효과적이기 때문.
디아루가 같은 경우에는 자력으로 배우지만, 5세대까진 차라리 화염방사번개, 파동탄 등, 다른 견제기나 잠꼬대를 선택했다. 그러나 6세대에서 페어리 타입의 등장으로, 페어리 타입을 1배로 받아내고 이 기술을 통해 역관광 시킬 수 있게 되었다.
5세대까지는 특유의 피격음이 인상적인 투사체를 발사하는 모션이었으나, 6세대부터는 기술 설명에 걸맞게 몸에서 빔을 발사하는 모션으로 바뀌었다. 8세대에서는 다시 탄알을 쏘는 것으로 회귀했는데, 철제광선이 강철로 된 빔을 쏘는 기술이라 헷갈리지 않기 위해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스토리에서는 주로 거북왕아쿠스타, 킹드라, 대포무노, 폭타, 루카리오, 자포코일, 심보러, 란쿨루스, 배바닐라, 프리지오, 삼삼드래, 블로스터 등이 주력으로 사용한다. 가만 보면 강철 타입 자체는 물리형이 많은지라 자포코일이나 특수형 루카리오 외에는 다른 타입의 견제기로 많이 쓰이는 편. 참고로 거북왕은 하트비늘을 사용하는 방법과 기술머신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포켓몬 GO에서는 위력 100[3]의 1차징 기술로 나온다. 강철 타입 최고 위력기지만 1차징이라 시전 자체가 느린데다 어정쩡한 위력 때문에[4] 많이 쓰이지 못했다. 덕분에 메타그로스는 강철 타입 1위의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다른 600족 포켓몬에 비해 사용률에서 밀렸는데, 커뮤니티 데이로 러스터캐논과 같은 위력 100에 '''2차징'''인 코멧펀치를 얻으면서 엄청나게 상향됐다.[5] 메타그로스 외에는 무장조, 엠페르트, 루카리오 등이 배우고, 비 강철 타입 중에서는 거북왕쏘드라[6], 가 배운다.
그러나 안그래도 코멧펀치에 묻혀 안습해졌는데 2020년 8월 패치로 에너지 요구량이 5 늘어나면서 기합구슬과 함께 너프되었다. 기존에 록온이라는 사기기술로 매우 빠르게 난사를 할수 있었던 레지스틸은 2개의 주무기가 그야말로 전부 간접 너프당했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정면의 적 1마리만 공격 가능.

[1] 레츠고 시리즈에서는 54번.[2] 강철 타입 특수기는 미러숏, 파멸의소원, 러스터캐논, 철제광선 넷 뿐인데, 미러숏은 대놓고 러스터캐논의 하위호환이며, 파멸의소원은 지라치의 전용기며, 미래예지처럼 2턴 후에 공격하는 거라 애매하다. 그리고 철제광선은 위력하고 명중률은 엄청 좋으나 최대 HP의 절반이 까이는 페널티가 있다. 강철 타입 역시 바위 타입 못지 않게 '''특수기가 빈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3] PvP에서는 조건적으로 '''110'''이다.[4] 스톤에지, 사이코키네시스와 같다.[5] 이후 열린 호연지방 이벤트 기간 동안 메탕구를 메타그로스로 진화시키면 코멧펀치를 배울 수 있게 되었다.[6] 특이하게도 진화체는 배우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