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 공화국

 

Banana Republic
1. 개발도상국에 대한 멸칭
1.1. 개요
1.2. 상세
1.3. 실제로 해당되는 국가
1.3.1. 과거 바나나 공화국이었던 국가들
1.4.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비판이 일각에 있는 국가
1.5. 관련 문서
2. 영화
3. 의류 브랜드


1. 개발도상국에 대한 멸칭



1.1. 개요


주로 중남미의 농수산물이나 광물 등 채취산업 상품의 수출에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경제를 가져, 그러한 생산품을 독과점하는 대기업 등 국제 자본에 종속된 동시에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를 가르키는 경멸적 표현이다.
하필이면 바나나인 이유는, 바나나 문서에도 적혀 있지만 바나나가 플랜테이션 농업의 상징[1]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설가 오 헨리가 1904년 단편 《양배추와 왕들》에서 온두라스를 모델로 한 가상의 국가인 Anchuria를 바나나 공화국이라 빗댄 데서 유래한다. 사실 오 헨리가 그거 쓸 때 갑자기 떠오른 플렌테이션 작물이 바나나라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카카오, 설탕, 커피도 만만찮은 열대 플렌테이션 작물이지만 설탕의 경우 오 헨리 시대보다 훨씬 일찍 플렌테이션이 자리잡았고, 카카오와 커피는 2차 대전 이후에나 농장이 본격적으로 확장되었다.

1.2. 상세


이런 국가들은 대부분 채취산업 상품을 국제적으로 유통시키는 국제 자본 대기업한테 경제적으로 종속화되는 경향이 강하며, 또한 이런 1차 생산품들은 직접적으로 수출되므로 전체 국가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2] 다른 제조업 같은 산업 발달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국가들은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외국 대기업에 휘둘리거나 지방 토호의 기반이 되기도 하고, 심지어 해당 작물에 관해서 이해 관계가 깊은 강대국이 정치적으로 개입해서 쿠데타를 지원하거나 심한 경우 직접 점령, 그 강대국에 종속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서 비판의식이 솟아오르기도 하나 권위주의적인 정부로 인해서 개혁의 목소리 자체가 탄압 받기도 하고, 지방 토호들의 반발로 인해 무산되기도 하고, 기적적으로 저런 상황을 개혁하고자 하는 정부가 들어서도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는 기타 산업의 발달이 심하게 미비하고, 자본 발전을 위한 기타 요소들이 심하게 부족해서 별 수 없이 그냥 농사만 짓는 체제를 유지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세네갈의 경우 땅콩 농사를 그만두면 그 날로 나라 문 닫아야 한다.
경제학적으로는 자원의 저주가 비슷한 개념이나,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용어는 지하자원만이 아니라 플랜테이션 농업을 포함하거나, 반대로 플렌테이션을 더 집중해서 부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의미를 확장하여, 공업화되었다 해도 특정 산업 또는 국가, 기업의 부품 생산에 특화, 종속된 경우 역시 바나나 공화국으로 취급할 수도 있지만,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논리일 뿐 현실적으로는 딱히 사례가 없다. 특히 종속이론에서 유사한 논지를 전개했지만 한국을 비롯한 몇몇 신흥공업국선진국으로 성장한 사실에 의해 논파되었다. 일단 공업화에 성공하면 아무리 특화되어 있다고 해도 공장을 다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속된 2~3차 벤더에서 탈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으로 이러한 상황인 중남미의 국가들의 현실을 빗대서, 독재자 및 독재자의 개인 수하들에 의해서 지배되며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들을 동시에 지칭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바나나' 라는 표현으로 중남미 국가들이 플렌테이션 의존적인 현실을 가르킨다면, '공화국'이라는 표현으로 중남미 국가들의 겉만 공화국이고 실제로는 독재자와 그 주변 개인들에 의해 지배되는 정치적 불안정성을 가르키는 것이다.

1.3. 실제로 해당되는 국가


  • 아프리카의 농업 특산물 수출국 대부분. 특히 세네갈은 과거에는 수수나 조 같은 곡물을 재배했으나 프랑스 식민지가 된 이후로는 땅콩을 재배해 수출하고 동남아에서 쌀을 수입해오는 기형적인 농업 국가가 되고 말았다. 다른 많은 아프리카 국가가 그렇듯이 빚더미에 깔린 신세여서, 산업구조를 개편할 여력이 없다.
  • [image] 과테말라: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가 이권을 지키려고 아예 쿠데타를 사주했다.
  • [image] 니카라과
  • [image] 온두라스
  • [image] 엘살바도르
  • [image] 코트디부아르
  • [image] 에콰도르: 바나나를 세계적으로 많이 수출하고 바나나 생산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바나나 공화국 소리를 듣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석유를 수출해서 버는 돈이 훨씬 더 많다. 바나나 수출로 벌어들인 돈이 연 20억에서 30억 달러대인데 석유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이 저유가로 반토막이 났지만 1년에 100억 달러는 넘는다. 그래도 전체적인 비율로 본다면 농사를 짓거나 해산물 양식을 해서 버는 돈이 결코 적지 않다.
  • [image] 칠레: 가장 전형적인 '바나나 공화국 당한' 케이스다. 살바도르 아옌데 항목 참조. 여전히 구리 수출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그 다음 수출품도 거의 농수산물이다.

1.3.1. 과거 바나나 공화국이었던 국가들


  • [image] 쿠바: 사실 경제 구조의 취약점으로 치면 바나나 공화국과 별 차이는 없으나, 쿠바 혁명 이후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인해 수출을 못하게 되어서(...) 바나나 공화국이란 표현이 찝는 국가들과는 좀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정치적으로도 다른 중남미 국가들보다 안정되어 차라리 성공적인 편이다.
  • [image] 필리핀: 델몬트Dole, 치카타로 대표되는 열대과일 플랜테이션 규모는 여전히 최상위 수준이지만, 현대 필리핀의 주력 수출업종은 전자제품이며 과일 쪽의 비중은 5% 이하로 떨어졌다.
  • [image] 하와이 왕국: 미국이 나라 자체를 멸망시켜 버리며 국가도 아니게 되었다.

1.4.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비판이 일각에 있는 국가


실제로는 바나나 공화국이 아니지만, 일부 경향으로 인해서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표현으로 비판을 받아본 나라들.
사실 광물, 농산물 등 1차 산업물이 주요 수출사업이기 때문에 바나나 공화국이라는 표현을 들은 바 있다. 1986년에 당시 재무장관이었던 폴 키팅은 호주의 경제구조나 규모가 바나나 공화국이 되어간다며 우려를 표했었다. 그나마, 다른 바나나 공화국보다 나은 점은, 일단 호주는 이렇게 바나나 공화국 노릇을 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준수한 경제력을 갖춘데다[3] 중남미와 달리 수준 높은 민주 정부를 갖춘 등 다른 국가적 내실이 매우 탄탄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시대 들어 바나나 공화국이란 표현이 미국 정계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음모론에 관해서 래리 호건 메릴랜드 주지사가 '바나나 공화국에서나 볼 일'이라고 비판한 적 있다.#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이 일어나자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바나나 공화국에서 선거를 논쟁하는 방식"이라고 개탄했으며, 친트럼프 인사였던 마이크 갤러거 하원의원도 "우리는 지금 바나나 공화국에서 볼법한 쓰레기같은 일을 목격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보다시피 경제적인 이유로 바나나 공화국 타령을 한 호주랑 반대로, 트럼프의 독선적인 측근 위주의 정치와 지지자들을 선동하여 음모론을 퍼트리는 등 문제를 바나나 공화국의 독재정에 빗댄 것이다.

1.5. 관련 문서



2. 영화



1을 소재로 배우겸 감독인 우디 앨런1971년에 제작한 영화. 원제는 Bananas.
미국의 지식인인 우디 앨런카리브해의 어느 바나나 공화국 섬나라에 가서 혁명을 도와 독재를 타도한 뒤, 혁명정부의 중요한 인물이 되어 미국에 대사로 파견되었다가 체포되어 다시 미국의 지식인으로 돌아온다는 스토리이다.
우디 앨런의 영화답게 영화내내 음담패설이 끊이질 않으며 혁명 과정도 병맛넘치기 그지없다. 특히 전함 포템킨의 오뎃사 계단 장면을 패러디한 부분을 보면 진짜 개병맛...
2009년 서방 과일 다국적 기업[4]의 압제에 맞선 독립영화[5] Bananas!와 혼동하면 곤란하다. 이 영화는 바나나 공화국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목도 다르다.

3. 의류 브랜드


[image]
미국 중고가 의류 브랜드이다. Mel Ziegler와 Patricia Ziegler 부부가 1978년 "Banana Republic Travel & Safari Clothing Company"로 브랜드를 런칭했으며. 갭(Gap Inc.)이 1983년 인수하면서 브랜드의 이름을 심플하게 "Banana Republic"으로 바꾼 후 고급화하였다.
GAP의 자회사이며 미국 내에서는 GAP보다는 좀더 어른스러운 스타일과 고급원단을 사용해 평범한 다른 브랜드보다는 고가 정책을 유지 중이며, 과거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수입사를 맡으면서 국내에 진출했으나 실적 부진으로 모든 매장을 정리하고 철수하였다. 갭은 알아도 바나나 공화국은 모르는 사람이 많다.
현재는 40% 할인(가끔은 +10% 이상의 엑스트라 세일까지) 기간 중에나 간간히 뭔가 살 게 있나 둘러보는 정도의 이미지로 자리잡았다. 브룩스 브라더스와 비슷.
심슨 가족에서는 바나나 독재국가(Banana Dictatorship)라는 의류 상점이 나오는데 당연히 이 바나나 리퍼블릭의 패러디이다.

[1] 바나나는 무르고, 벌레가 꼬이고,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짧다. 즉, 바나나는 장거리 유통에 적합한 과일이 절대로 아니다. 이런 바나나가 전세계로 퍼질 수 있었던 것은 독점 생산은 물론이고 최소한 국가단위의 유통까지 장악해서 독점 판매하는 거대기업들 때문이다.[2] 반대로 전반적인 국가 산업을 발전 시키는 대표적인 산업은 자동차 제조업이다. 자동차 제조를 위한 기타 제조업의 발전을 동원하며, 자동차 이용을 위한 도로 정비를 통해 교통도 발전하며, 석유 화학 공업 발전 등도 병행된다.[3] 현대 산업의 근간이 되는 자원인 석유, 천연가스, 석탄, 철광석, 구리를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 그 생산량 모두 전세계 최상위권에 속한다. 특히, 석탄의 생산량은 세계 1위이고, 천연가스 역시 아직 개발이 더디다 뿐이지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한다면 세계 2위의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을 만큼, 그 매장량이 어마어마하다고 추정된다. 그래서 호주-중국 무역 분쟁이 발발했을 때 중국에 전력난이 터졌다느니 하는 기사가 나온게 이런 이유인데, 중국의 전력 생산의 대부분을 호주산 석탄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호주의 부동산 쪽은 중국 자본이 크게 한자리 하고있다.[4] 전세계 3대 과일 메이저는 치키타, Dole, 델몬트이고, 이들은 그대로 전세계 바나나 생산량 1-3위이다.[5] EBS에서도 제작과정이 소개된 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