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복

 

1. 喪服
1.1. 상복을 입은 캐릭터
2. 常服
3. 賞福


1. 喪服


[image]
상중(喪中)에 입는 예복. 즉, 장례식 때 유가족이 장례식장에서 입는 옷이다. 남성들은 삼베로 지은 한복에 굴건을 쓰거나, 검은 양복에 삼베로 만든 완장을 팔에 두른다. 여성들은 하얀 한복을 입고 머리에 하얀색 리본을 달거나, 검은 정장을 입는다. 삼베로 된 '전통식'의 경우엔 겉보기엔 하나로 보이는 몸통 부분도 통짜가 아니라 여러 조각과 여러 겹을 차례대로 껴입어 조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2000년대 이후론 시골에 사는 어르신들조차 종가집이 아니라면 입는 방법을 확실히 모른다. 장례절차를 전문으로 하는 장례지도사라면 아마 알겠지만.
옛날에는 상을 당했을 때 관료사회에서는 상복단령도 입었다. 옛날 조선시대 때까지는 지금과 달리 상중에도 왕이나 고위관료들이 잠을 잘 때도 유색 한복 야장의 대신에 흰 한복 야장의를 입었다.
▦는 상복을 만들 때 쓰이는, 혹은 상복 대신 팔에 두르는 완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도하는 글에 서양식의 검은 리본을 의미하는 ▶◀대신 쓰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상을 당한 사람, 즉 유가족이 입는 옷이므로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수의와는 다르다.
시위할 때도 상복이 쓰이기도 한다. 이를 상복 시위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아동용 비행복도 보유하고 있는데, 순직 조종사들의 유가족 중 어린 아이가 입는 상복이 된다. 영결식 날 이 비행복을 입는다.

1.1. 상복을 입은 캐릭터


상을 당한 캐릭터는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므로(~의 장례식에서 입었다는 언급이 나오므로) '''스포일러 주의.'''

2. 常服


(1) 예복이 아닌 평상시 입는 옷.
(2) 고려, 조선시대 관리가 평상시 집무할 때 입던 옷. 정복(正服)이라고도 한다.
(2) 약이나 음식 따위를 오랜 기간 계속해서 먹음.

3. 賞福


상을 잘 받는 복. 1, 2번 항목과 달리 '상뽁'으로 읽는다.
상을 잘 받는 사람을 '상복이 있다', 실력은 있는데 상을 잘 못받는 사람을 '상복이 없다'고 표현한다.

[1] 미리엘 주교가 사망한 이후 진심으로 그를 존경했던 장 발장은 주변 사람들이 친척이 아니냐고 물을 정도로 잠깐 동안 상복을 입었다.[2] 장 발장어머니를 기리라는 뜻으로 제일 먼저 사 준 옷이 검은색 상복 드레스다. 이 옷은 장 발장이 평생 가지고 다녔다.[3]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빈약한 환경에서도 검은 마의를 입고 다녔다. 그러다가 옷이 해졌는데, 그러면 안감이 검은 다른 외투를 뒤집어 입어서 조의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