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200번대
1. 개요
2. 203 (시영버스) (★)
3. 205 (시영버스 → 북부운수)
4. 205-1 (북부운수) (★)
5. 207 (시영버스) (★)
6. 209 (시영버스) (★)
7. 211 (시영버스 → 중부운수)
8. 212 (중부운수)
9. 212-1 (중부운수)
10. 21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11. 222 (시영버스) (★)
12. 222 (도원교통)
13. 225 (흥안운수)
14. 228 (시영버스) (★)
15. 229 (시영버스) (★)
16. 230 (김포교통)
17. 233 (시영버스) (★)
18. 234 (시영버스) (★)
19. 23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
20. 235 (좌석) (신우교통) (★)
21. 235-1 (신우교통 → 흥안운수)
22. 235-2 (신우교통) (★)
23. 239 (시영버스 → 삼흥운수) (★)
24. 239-1 (삼흥운수 → 대성운수)
25. 240 (삼흥운수 → 대성운수 → 서울승합) (★)
26. 243 (시영버스) (★)
27. 255 (시영버스) (★)
28. 270 (시영버스 → 동성교통) (★)
29. 271 (시영버스 → 수도교통) (★)
30. 272 (시영버스 → 수도교통) (★)
31. 273 (시영버스 → 신장운수) (★)
32. 274 (시영버스 → 신장운수) (★)
33. 275 (시영버스 → 삼흥운수) (★)
34. 277 (시영버스)
35. 288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신진운수 → 진화운수)
36. 288-1 (신진운수 → 삼선버스) (★)
37. 289 (시영버스 → 신촌교통 → 성진상운 → 관악교통) (★)
38. 289-1 (관악교통)
39. 289-2 (관악교통)(★)
1. 개요
서울시가 오지노선 등 수요가 나오지 않는 노선들을 직접 운행한 적이 있는데, 200번대는 이런 시영버스 출신 노선들이 많이 있었다. 시영버스 자체는 2004년 개편보다 훨씬 이전에 사라졌다. 사라진 이후 각 회사에 서울시가 노선을 직권 분배했는데, 이 과정에서 번호가 바뀌지 않아 200번대 노선=시영버스 출신이라는 등식이 성립했던 것이었다.
1970년 개편으로 새로이 생겨난 200번대 노선은 다음과 같다.출처(동아일보, 1970. 3. 30, 8p)
- 207, 209, 215, 228, 229, 233, 243, 271, 272, 273, 274, 275, 288
2. 203 (시영버스) (★)
시흥동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를 오가던 노선이었다.
3. 205 (시영버스 → 북부운수)
[image]
사진 속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2311번 BS106 2010년식으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면목동 - 상봉동 - 청량리 - 신설동 - 보문동 - 혜화동 - 창경궁 - 적선동 - 연세대 - 모래내 - 북가좌동 - 응암동 - 홍제역 - 적선동 (청색노선, 적색은 적선동 이후 구간이 반대방향/적선동 - 응암동 구간은 순환형)
상봉동 분리구간은 아래와 같다.
청색 : 면목동 → 상봉TR → 청량리 (북가좌동 방향)
청량리 → 상봉시장 → 면목동 (면목동 방향)
적색 : 면목동 → 상봉시장 → 청량리 (북가좌동 방향)청량리 → 상봉TR → 면목동 (면목동 방향)
'''면목동길의 터줏대감.'''터져나가는 수요가 증명해주듯 면목동길에는 괴물급 노선들이 즐비했는데
17 (도선여객) 61대
131 (경성여객) 55대
567 (우신운수) 55대
205 (북부운수) 74대
19 (아진교통) 102대
여기에
50 (북부운수) 42대
55-3 (대원여객) 35대
까지 합치면 어후...
이 노선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서울 버스 272 참조. 워낙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보니 개편 때에도 큰 틀의 변화 없이 손질을 해서 그대로 살아남았다. 개편 전 운행대수는 열 손가락 안이었고 개편 후에도 열 손가락 안에 든다.
1980년 5월 19일에 북부운수 9754호 차량이 앞에 가던 픽업 트럭을 피하다가 사고가 났었다.#
4. 205-1 (북부운수) (★)
운행구간 : 면목동 - 상봉동 - 청량리 - 신설동 - 보문동 - 혜화동 - 창경궁 - 적선동 - 연세대 - 모래내 - 북가좌동 - 응암동 - 홍은동(미미예식장)
본래 205의 좌석버전이었으나 이후 시내로 형간전환. 응암순환이 아닌, 응암을 넘어 홍은동까지 갔다가 회차했다. 2003년 205번에 통합되면서 205번의 운행대수가 62대에서 74대로 증차.
5. 207 (시영버스) (★)
시흥과 서울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3번 입석버스였다.
6. 209 (시영버스) (★)
영등포와 한양대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5번 입석버스였다.
7. 211 (시영버스 → 중부운수)
[image]
출처
운행 구간 : 신월7동차고지 - 신정역 - 오목교역 - 영등포시장 - 노량진 - 동부이촌동 - 한남동 - 약수역 - 신당역 - 상왕십리역
중부운수 창립부터 함께한 최고참급 노선으로, 과거에는 쌍문동까지 운행했던 적도 있다.
여담으로 중부운수에서 이 노선에 최초로 냉방버스를 도입하고, 또 회사 내에 전 차량 냉방화를 먼저 시행한 노선이기도 하다.
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211 참조.
8. 212 (중부운수)
[image]
[1]출처
운행구간 : 신월7동 차고지 - 신정역 - 오목교역 - 영등포시장 - 노량진 - 국립현충원 - 고속터미널 - 영동시장 - 강남구청 - 서울의료원 - 잠실종합운동장 - 잠실역 - 강동구청(적)/강동대로(청) - 둔촌동
1979년 8월 20일 부로 신설된 노선으로 211번과 함께 중부운수의 최고참급 노선이다. 당시 목동 - 잠실 간을 15대로 운행하였다.
서울을 동서로 횡단하던 장거리 노선으로 64-1번의 형간전환 이전까지 '''서울시내를 다니는 시내버스 중 최장길이의 괴물노선.'''
막차시간이 신월동 차고지 기준 22:20에 출발해서 둔촌동에서 회차할 때 자정 가까이 되었고, 차고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25:40 가까이 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의료원 - 둔촌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40 참조. 현재는 강남역까지 단축되었다.
9. 212-1 (중부운수)
[image]
사진 속 차량은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603번에서 다니고 있다.
운행구간 : 신월7동 - 신정역 - 오목교역 - 영등포시장 - 노량진 - 국립현충원 - 고속터미널 → 법조단지/교대역 → 서초역/강남성모병원 → 고속터미널 (이하 역순)
212번의 지선으로, 1989년 8월 14일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도 현재와 유사하게 신월동 - 법조단지 간을 운행하였다. 하지만 대개편때 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10. 21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image]
신우교통 운행 당시.
[image]
흥안운수 운행 당시.
출처
운행구간 : 도봉동 - 수락산역 - 노원역 - 동1로 - 중화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현대코아) - 경동시장
시초는 113번 입석+좌석버스로 도봉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때 시영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이후 1974년에 운수업체가 변경되어, 당시에는 도봉동 - 동1로 - 왕산로 - 용두사거리 - 동대문 → 청계4가 → 종로4가 → 이하 역순의 경로로 운행하였다. 1983년에 동대문으로, 1990년대 초반에 경동시장으로 단축된 이후로는 대개편 때까지 큰 변화 없이 운행했다. 운행댓수는 28대였으며 배차간격은 5분이었다. 특이점이 있다면 2003년에 10-1, 117번에서 다니던 가스차를 이 노선에 몰아주었는데 이는 가스충전이 편리했기 때문.
2004년 대개편 때에는 도봉동 구간을 남겨 1145번으로 바꾸고[2] 한성여객으로 넘겼으나 노원교차고지에서 철수하려던 146번과 통페합되어 2005년 여름에 폐선되었다. 동시에 146번이 노원교에서 7단지영업소기점 - 도봉동 - 노원교 - 동일로 구간이 연장되었다.
11. 222 (시영버스) (★)
운행구간 : 광장동 - 면목동 - 청량리 - 종암동 - 정릉 - 홍은동 -신촌
1970년대 초반 동부운수에 불하되어 1973년 5월 5일 522번으로 변경되었다.
12. 222 (도원교통)
운행구간 (1기) : 정릉 (국민대) - 길음동 - 삼선교 - 종로 - 중앙시네마 - 한남동 - 신사동 - 압구정 미성아파트 - 압구정역/압구정 현대백화점 - 언주로 - 개포주공1단지 - 일원동 - 수서동 - 수서역
[image]
[image]
[3]
운행구간 (2기) : 정릉 (국민대) - 길음동 - 삼선교 - 종로 - 중앙시네마 - 한남동 - 신사동 - 압구정 미성아파트 - 압구정역/압구정 현대백화점 - 언주로 - 개포주공1단지
198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원래 동사가 운행하던 도시형 2번 버스의 좌석형 버전이였다. 그러나 당시 좌석 2번 및 도시형 22번 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222번을 달았다. 즉, 시영버스 출신 노선이 아니다. 이후 남산운수 폐업으로 779번이 폐선되면서 2번과 같은 마포 방향 노선이 아닌 강남 방향 노선으로 바꿨다. 1997년 10월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하면서 수서역 회차에서 개포주공1단지 회차로 단축하였다.
2004년 개편 이전까지 12-3번과 함께 남산1호터널을 관통하던 몇 안되는 도시형 일반버스 노선이었다. 그나마도 둘 다 강남역을 가지 않았고, 이는 1005-1번이 성공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남산순환로(소월로)를 거쳐 강남역을 가던 83-1번이 있기는 했지만, 지하철은 커녕 서울 면허 버스로도 4대문 안 지역과 강남을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없어 경기도 좌석버스로 이동해야 했던 이상한 상황은 개편 이후로 470,741번이 생기며 많이 개선된다.
공식적으로 개편 때 폐선되었으나, 사실상 두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강남 구간은 서울 버스 405번(현재 노선과는 전혀 무관한 개포동 - 서울역 간 노선, 도선여객에서 운행.)이 강남 - 중앙극장을 대체해주었는데 222번의 주 수요구간과 비껴나가는 구간을 선정하는 바람에 신통치 않은 결과가 나와 2005년 4월 폐선되었고, 또한 강북으로는 당사에서 1011번이 정릉 - 광화문 간을 대체해 주었는데, 역시 2005년에 폐선되었다. 언주로 구간은 141번이 대체 중이다.
13. 225 (흥안운수)
[image]
[4]출처
운행구간 : 상계4동차고지 - 상계역 - 노원역 - 백병원 - 상명고 - 대진여고 - 노원경찰서 - 하계역 - 서울산업대 - 안마을 - 태릉입구역
235번이 폐선되면서 2002년 9월 30일부로 신설된 노선이었다. 신설당시의 인가댓수는 7대, 배차간격은 15~20분. 하지만, 제대로 된 홍보가 없었던지라 태릉입구 - 노원역 구간은 38-1번에게 완전히 밀려버렸고, 결국 차량 2대가 60~9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유령노선으로 전락하고 만다.
이렇게 폐선되는 듯 했지만, 대개편을 맞아 태릉입구역에서 석계역까지 연장되면서 1134번이 되었다. 하지만 상계4동 - 노원역 구간이 잘린데다가 1132번과 1141번에 비해 배차가 턱없이 길었고[5] , 운수업체도 별다른 의욕을 보이지 않아 하계역 - 석계역 구간이 잘렸고[6] 결국 2005년 5월 10일부로 폐선. 운행 차량 3대는 1142번에 증차된다.
14. 228 (시영버스) (★)
화곡동과 용두동, 구 동마장터미널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2번 좌석버스였다.
15. 229 (시영버스) (★)
[image]
개화동과 영등포구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2번 입석버스였다.
16. 230 (김포교통)
[image]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654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인천(불로동) - 여우재고개 -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 - 사우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검문소 - 김포공항 - 송정역
130번(청색)이 단축되면서 번호가 230번으로 변경되었다. 당초 계획은 노선분리없이 불로동하고 전혀 상관없는 장기동 출발 노선으로 잡혀있었다. 대개편 때 방화동으로 연장되면서, 서울 버스 6641이 되었다.
17. 233 (시영버스) (★)
구평동(現 종로구 평창동)과 공무원아파트(현 이촌역 한가람아파트)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1번 좌석버스였다.
18. 234 (시영버스) (★)
운행구간 : 불암동 - 삼육대학교 - 태릉선수촌 - 화랑대 - 석계역 - 월곡역 - 길음역 - 정릉 - 국민대학교 - 평창동 - 상명대정문
19. 235 (시영버스 → 신우교통 → 흥안운수) (★)
운행 구간 : 상계4동 - 공릉구길/동1로 - 먹골역 - 중화동 - 청량리 - 동부시립병원 - 상왕십리역 - 무학여고 - 언주로 - 테헤란로 - 잠실종합운동장
본래 상계동(당고개)에서 동대문까지 운행했던 것을 가락시장까지 연장했다가 종합운동장으로 단축했다. 흥안운수에 인수된 후에는 수요가 잘 안나온다는 이유로 파행운행을 일삼았고, 결국 2002년 8월에 폐선되었다. 이 노선을 없애고서 225번을 신설했는데 그 225번은 235번을 능가하는 막장노선이었다.
20. 235 (좌석) (신우교통) (★)
1990년 9월 신설, 도시형과 달리 가락시장까지 계속 운행하다가 유령노선으로 전락, 1999년 4월 공식 폐지되었다.
21. 235-1 (신우교통 → 흥안운수)
[image]
2001년 6월의 모습. 광고는 영화 진주만(2001)이며 벤 애플렉, 조쉬 하트넷, 케이트 베킨세일 주연.
[image]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131번에서 201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운행중.출처
운행구간 : 상계4동 - 상계역 - 중계역 - 백병원 - 도봉면허시험장 - 수락산역 - 노원교 - 도봉역 - 방학2동사무소(당시 명칭) - 쌍문역 - 신창동 - 수유역 - 삼양동
1980년대에 신설되었으며, 당시엔 신우교통 소속이었다. 원래는 방학역을 지나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송천동사무소, 삼양시장 순으로 경유했다.
2001년에 신우교통이 흥안운수에 합병되면서 흥안운수 소속이 되었다. 그리고 동년 12월부터 한성버스의 경영난으로 인해 20번, 20-2번이 파행운행 상태가 되자 20번이 다니던 '도봉전화국 - 신창시장 - 태영데시앙아파트'[7] 구간과 20-2번이 다니던 '방학2동사무소 - 원약국 - 거성파스텔학마을아파트' 구간을 추가로 다니게 되었다. 당시 댓수는 22대였으며 5~8분 간격이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도봉역 이남 구간이 단축되면서 도봉산역에서 회차하게 되었고 1139번이 되었다. 이후 2005년 1월에 안방학동 구간이 연장, 환원된다. 삼양동까지 가는 구간은 2005년에 조정된 1128번이 대체하고 있다.
22. 235-2 (신우교통) (★)
운행구간 : 상계4동 - 상계역 - 중계주공4~6단지 - 중계시영3단지 - 노원경찰서 - 경기공고 - 서울산업대 - 안마을 - 묵동구길 - 중화동 - 동부시장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용두동사거리 - 상왕십리역 - 왕십리역 - 삼표레미콘, 경마장(현 서울숲) - 성수대교 - 도산공원 - 관세청 - YMCA - 선릉역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3단지 - 잠실역 - 송파 - 가락시장(회차)
1993년 8월 10일 중계아파트단지 수요를 위해 235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 117-1번과 마찬가지로 응봉동 단축 후 폐선되었다.
23. 239 (시영버스 → 삼흥운수) (★)
운행구간 : 성남시 금광동 - 신구전문대 - 단대5거리 - 제일시장 - 성남시청 - 경원대 - 대유공전(현. 동서울대학) - 복정동 - 세곡동 - 헌인릉 - 말죽거리 - 강남역 - 영동4거리 - 신사역 - 한남동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동대문운동장 - 을지5가 - 신당동 - 상왕십리 - 왕십리 - 마장동 - 청량리 - 휘경동
강남개발 이전 경부고속도로 운행. 휘경동 - 을지5가 단축 후 1985년 폐선
24. 239-1 (삼흥운수 → 대성운수)
[image]
[8]
[image]
[9]출처
운행했던 정류장은 (2004년 기준)
성남시기점~금광2동사무소~병원앞~단대쇼핑앞~구 종점(단대오거리역)~성남우체국~종합시장~성남시청~중앙시장~제일시장(태평역)->성남중부경찰서->수진리고개~경원대~복정파출소~동서울대학~복정동<-복정역<-광일자동차학원앞~세곡사거리~은곡마을~헌인릉~샘마을~탑성마을~서초조형예술원(내곡동사무소)~양재동농협하나로~KOTRA~양재꽃시장(양재2동사무소)~양재시민의숲(언남고교입구,교육개발원입구)~주유소앞/횃불선교센터입구~양재역(서초구청)~영동중학교(야구회관)~역삼동우성아파트~지하철2호선강남역~제일생명(성업공사)~반포서울교회(제일생명앞사거리)~논현역(영동사거리)~신사역사거리→신사동사거리(414번회차지점)→신사동고개→언북중학교→늘봄공원→난타강남전용극장(구.키네마극장)→갤러리아백화점→한양파출소→압구정역(현대아파트)→광림교회→신사중학교→신사역사거리→이후 역순
2004년 기준으로 일 운행 대수는 42대, 배차간격은 3~5분이었다. 대개편 때는 4422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8년 10월에 간선버스로 승격과 동시에 강남대로 경유로 바뀌였다. 서울 버스 440 참조.
25. 240 (삼흥운수 → 대성운수 → 서울승합) (★)
운행구간 : 명일동 - 고분다리 - 천호동구4거리 - 천호동 - 영파여고 - 성내역(명일동 방면) - 석촌호수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동 - 장지동 - 복정동 - 대유공전[10] - 경원대[11] - 태평동 - 성남시청 - 제일시장 - 단대5거리 - 신구전문대 - 성남시 금광동
1998년 12월 폐지.
26. 243 (시영버스) (★)
상계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4번 입석+좌석버스였다.
27. 255 (시영버스) (★)
목동에서 어린이대공원을 경유하여 망우리를 잇는 노선이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55번(우성버스 555번과는 무관한 노선.)이 되었다. 1974년 10월 28일 중부운수에 불하되었다.
28. 270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천호동 - 을지로5가를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 노선의 지선은 광주대단지의 유일한 버스였으나 단 6대만으로 운행했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0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0번 항목을 참조.
29. 271 (시영버스 → 수도교통) (★)
거여동과 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5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1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1번 항목을 참조.
30. 272 (시영버스 → 수도교통) (★)
송파와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8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2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2번 항목을 참조.
31. 273 (시영버스 → 신장운수) (★)
[image]
하남(신장)과 을지로5가를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09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3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3번 항목을 참조.
32. 274 (시영버스 → 신장운수) (★)
하일동(현 강일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0번 입석버스였다.
1973년 5월 5일 어린이 대공원 경유 노선이 500번대로 변경되면서, 574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에서 574번 항목을 참조.
33. 275 (시영버스 → 삼흥운수) (★)
수진리(현 수진동)과 천호동을 잇는 노선이었다. 1970년 대개편 이전에는 116번 입석버스였다.
34. 277 (시영버스)
[image]
헌릉로(당시 대곡로)가 개통하면서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광주대단지 - 을지로5가'
1981년에 대성운수가 인수함에 따라 성남시-동대문운동장을 운행하는 739번 좌석버스로 재편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0번대 문서를 참조.
현 407번의 전신이다.
35. 288 (시영버스 → 동성교통 → 신진운수 → 진화운수)
[image]
출처
동성교통에서 운행했던 시절. 이 사진은 1970년대경 사진으로 추정되며 그 당시까지는 강남 지역이 발전하기 이전 시절이라 지금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image]
진화운수로 형간전환후 운행했던 시절.
운행구간 : 수서역 - 일원역 - 수서경찰서 - 개포동 - 도곡역 - 강남세브란스병원 - 남부터미널 - 방배역 - 흑석동 - 용산 - 서울역 - 신세계본점(남대문시장)
노선의 시초는 106번 입석+좌석버스로, 원지동/옛골과 서울시청을 잇는 노선이었다. 서울시에 편입된 지 얼마 안된 강남(영동) 지역을 지나는 최초의 시내버스였다.
1970년 대개편을 거치면서 시영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이 때 288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의 노선권이 1972년 6월 20일에 동성교통으로 넘어갔고, 이후 1988년에 신진운수에 노선이 매각되었다.
1997년 흑석동에 위치하였던 중대부고가 도곡동으로 이전하면서 62-1번과 통학 수요를 나누어 먹으며 잠시 황금기를 맞이하기도 했으나 그것도 잠시 1998년 졸업과 함께 통학 승객이 감소하게 되었고 2000년 4월경에 사업면허 반납과 함께 진화운수가 인수하였다.
노선투자 소홀로 인해 2000년 9월 용산역으로 단축되었다.
2001년 5월에 흑석동 효사정 앞으로 단축되었다.
이후 2004년 대개편 때 공중분해되어 도선여객에서 대체용으로 4511번을 신설하였으나, 이 노선마저 2005년 9월에 폐선되었다.
강남에서 도심으로 갈 때 동호대교를 거치지 않고, 교통량이 많은 강남과 한강대교로 돌아서 간다는 이유로 언론에 실리기도 했다. 동아일보, 1999.10.11., 29p
방배동에서 흑석동 방면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였는데 폐선 이후 지금까지도 방배동(정확히는 방배로 구간)에서 흑석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 없다. 흑석동이나 환승 후 노량진 방면으로 갈 승객들에게 있어 꽤나 불편한 부분
36. 288-1 (신진운수 → 삼선버스) (★)
운행구간 : 양재동 - 양재역 - 숙명여고 - 은마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송파구청
신진운수 시절 양재동 동산마을 - 양재역 - 숙명여고 - 은마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방이동 - 가락시장 노선으로 운행. 양재역 - 우면동 지선 노선도 운행. 이후 814번으로 변경
1996년 폐선.
양재역에서 잠실역 구간은 4319번이 계승하고 있다.
37. 289 (시영버스 → 신촌교통 → 성진상운 → 관악교통) (★)
운행노선 : 서울대 - 신림동 - 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신사역 - 한남동 - 약수역 - 장충체육관 - 동대문운동장
서울대 - 신사역으로 노선이 단축되었고 1995년 11월 15일 신사역에서 고속터미널 구간 단축 후 1998년 7월 1일 289-1번과 통합 형식으로 폐선.
38. 289-1 (관악교통)
[image]
전면 모습.
[image]
후면 모습. 위 두 차량 모두 서울특별시 가스차량 의무정책에 따라 2010년에 대차되었으며, 위 차량은 현재 N61번에서, 아래 차량은 643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서울 버스 5412 참조. 2008년 폐선. 현재는 서울 버스 643과 서울 버스 6515로 갈라졌다.
1997년까지는 역삼동까지 운행하였으나, 289-2번과 통합한 후 289-2번의 노선을 따르게 되었다.
39. 289-2 (관악교통)(★)
운행구간(1기) : 미림여고 - 서울대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사당역 - 이수역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서초동진흥아파트 - 강남역
운행구간(2기) : 시흥2동 - 낙성대역
1997년에 289-1번과 통합되었다.
이후 2000년대 초반 시흥2동 - 낙성대역 간 노선으로 부활했으나,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1] 사진 속 차량은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603번에서 다니고 있다. 해당 문서 참조.[2] 당시 교통계획에 의하면 동일로 구간은 105, 146번에 몰빵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선버스가 된 215번은 끽해야 개편 이전에는 38-1번 밖에 없었던 노원길에 1154번과 같이 추가로 투입된다.[3] 1664호는 두 차례 교체되어 1711번 전기버스로 운행 중이다.[4] 사진 속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139번에서 운행중이다.[5] 그 1141번도 20~30분 간격이었지만 1134번은 더 심각했다.[6] 결과적으로 보면 상계7단지 - 백병원 - 대진고 - 노원경찰서 - 하계역이라는 기형적인 노선으로 다니게 되는데, 차라리 걸어가는 것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7] 이 구간은 2021년 현재 1127이 다니고 있다.[8] 1996년식 BS106L→2005년식 BS106L→2004년식 BS106 NGV(서울교통네트웍 중고)→2013년식 NSAC 저상으로 대차되어 그대로 운행 중.[9] 2005년식 BS106L→2010년식 NSAC 저상으로 대차 후 333번에서 운행 중.[10] 현재의 동서울대학교[11] 현재의 가천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