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1. 개요
2. 500 (서울승합)
3. 500 (좌석) (서울승합) (★)
4. 500-1 (서울승합) (★)
5. 500-2 (서울승합) (★)
6. 501 (서울승합, 삼선버스) (★)
7. 522 (동부운수 → 북부운수)
8. 522 (좌석) (동부운수) (★)
9. 522-1 (동부운수) (★)
10. 522-1 (동부운수 → 북부운수)
11. 522-2 (동부운수 → 동아운수)
12. 540 (동성교통)
13. 541 (현대교통) (★)
14. 541-1 (현대교통 → 서울승합) (★)
15. 542 (현대교통)
16. 543 (현대교통)
17. 543 (좌석) (현대교통) (★)
18. 550 (한남운수)
19. 555 (시영버스 → 중부운수 → 보성운수) (★)
20. 555 (서울버스 → 성동여객 → 우성버스) (★)
21. 555-1 (성동여객) (★)
22. 555-2 (성동여객 → 영동교통 → 송파상운)
23. 560 (서울승합) (★)
24. 560 (범일운수)
25. 563 (서울승합) (★)
26. 565 (서울승합) (★)
27. 566 (서울승합) (★)
28. 567 (서울버스 → 우신운수)
29. 567 (좌석) (서울버스 → 성동여객 → 우성버스 → 우신운수) (★)
30. 567-1 (우신운수) (★)
31. 567-1 (우신운수)
32. 567-1 (좌석) (우신운수) (★)
33. 568 (서울승합 → 우신운수 → 대원교통)
34. 568 (좌석) (서울승합) (★)
35. 568-1 (서울승합) (★)
36. 569 (대흥교통 → 서울승합)
37. 569 (좌석) (대흥교통 → 신장운수) (★)
38. 569-1 (서울승합) (★)
39. 570 (동성교통)
40. 570 (좌석) (동성교통) (★)
41. 570-1 (동성교통 → 삼선버스 → 신장운수) (★)
42. 570-2 (동성교통)
43. 570-3 (동성교통) (★)
44. 571 (서울승합 → 수도교통 → 송파상운)
45. 571 (좌석) (송파상운) (★)
46. 571-1 (수도교통 → 송파상운)
47. 572 (수도교통 → 송파상운) (★)
48. 573 (신장운수) (★)
49. 573 (좌석) (신장운수) (★)
50. 573-1 (신장운수) (★)
51. 573-2 (신장운수) (★)
52. 574 (수도교통 → 신우교통) (★)
53. 575 (서울승합) (★)
54. 587 (세원버스 → 신길운수) (★)
55. 588 (세원버스 → 신길운수)
56. 588 (좌석) (신길운수) (★)
57. 588-1 (신길운수)
58. 588-2 (신길운수)


1. 개요


1973년 어린이 대공원 개장으로 신설되거나 변경된 노선을 이 접수번대에 편성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5월 5일 어린이날과 관련지어 이곳을 지나는 모든 노선에 '5'자를 넣게 했다. 따라서 기존 2자리 노선 앞에 '5'자를 삽입했다.
500 570 572 573
두구간 운행

2. 500 (서울승합)


[image]
[image]
'''1기 노선'''(출처 : MBC 뉴스데스크)
'''2기 노선''' 출처 [1]
운행구간(1기) : 고덕동 - 배재고 - (분리운행)(강동아파트 - 암사동/구천면길 - 암사시장 - 천호구사거리) - 천호대교 - 광장사거리 - 한국화이자 - 구의시장 - 화양리 - 상원 - 한양대 - 왕십리역 - 중앙시장 → 동대문운동장 → 청계7가 → 신당역 → 이하 역순
운행구간(2기) : 상일동역 - 고덕역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생태공원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성내역 - 잠실역 - 신천역 - 종합운동장
1기 노선은 구리(당시 남양주군)로 가던 노선이 그 시초이다. 명일동이 기점이었지만, 고덕동차고지가 생기면서 고덕동으로 연장되었다. 올림픽대교가 개통하면서 올림픽대교 경유로 변경되었지만, 얼마 못 가 환원되었다. 이후 암사동 경로는 500-1번(2기)에 통합되면서 구천면길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통으로 인해 건국대로 단축되었으며, 이후 폐선되었다.
2기 노선은 2003년에 구 도시형 21-2번이 번호만 변경된 것이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3412가 되어 대치동으로 연장되었다가 4417번과 통합했다.

3. 500 (좌석) (서울승합) (★)


도시형(1기 노선)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8년 폐선.

4. 500-1 (서울승합) (★)


운행구간(1기) : 명일동 - 고분다리 - 천호동 - 광장동 - 워커힐 - 아천리 - 교문리 - 인창리 - 동구릉
운행구간(2기) : 고덕동 - 명일동 - 암사동 - 천호동 - 광나루역 - 구의시장 - 어린이대공원 - 상원 - 한양대역 - 왕십리 - 동대문운동장
최종적으로는 1995년말 왕십리로 단축되다 2000년 10월 31일 폐선. 다만, 2004년 대개편 때 이 노선과 제법 유사하게 3211번이라는 노선이 신설되었지만, 얼마 못 가 강변역과 천호역으로 단축된 후 폐선되었다.

5. 500-2 (서울승합) (★)


운행구간(1기) : 동구릉 - 인창리 - 교문사거리 - 돌다리 - 도농리
운행구간(2기) : 고덕동 - 명일동 - 암사시장 - 천호동 - 영파여고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2기 노선 1995년 폐지.

6. 501 (서울승합, 삼선버스) (★)


운행구간(1기) :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고덕주공 1단지 - 배재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영파여고)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대교 - 광진구청 - 광진경찰서 - 구의사거리 - 아차산역
운행구간(2기) : 암사동 선사유적지 - 암사동 - 천호역 - 광나루역 - 아차산역 (어린이대공원)
1995년 11월 16일 신설. 당시 분홍+포도주도색을 적용한 1987년~1988년식 RB520SL차량으로만 다녔던 노선이었다. 수요저조로 유령노선으로 전락했다가 암사동 선사유적지 - 아차산역으로 대폭 변경하기도 했으나 역시 수요저조로 유령노선으로 전락. 1997년 3월 폐선되었다.

7. 522 (동부운수 → 북부운수)


[image]
위 차량은 전기버스로 대차되었다가 전기버스의 잔고장 문제로 2017년에 다시 저상으로 대차되어 02번에서 운행중.출처
운행구간 : 회기역 - 동부시장 - 면목동 - 중곡동 - 어린이대공원후문 - 광진구청 - 구의역 - 강변역
222번 시영버스가 전신이다.
1973년에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은 500번대를 부여하라는 정책에 따라 번호가 522번으로 바뀌었다.
예전에는 구의동차고지[2]를 출발해 면목동, 청량리, 종암동, 국민대, 홍은동, 마포까지 운행하였다.
1995년 쯤에 구의동차고지를 장지동으로 옮기면서[3] 522번(청량리 - 장지동)과 522-2번(청량리 - 마포)으로 노선이 분할되었다.
영동교통이 최종 부도처리되면서 구 137-1번을 대체하기 위해 522번이 적색(기존 노선)/청색(가락동 및 잠실 경유)으로 분할되었다. 2004년 개편 후에도 일부 차량에는 운전석 위에 있는 거울에 '522번(강변역)'이라고 빨간색으로 써진 스티커가 붙어 있는 등 흔적이 남아 있었다. 지금은 2004년 개편 이전부터 존재했던 차량들은 모두 사라지면서 흔적도 같이 소멸.
이후 청색 노선이 522-1번으로 아예 분리된다.
동부운수 시절에는 별 문제 없이 522번/522-1번 모두 장지동에서 출발해 면목동, 청량리까지 운행했으나, 2000년에 동부운수가 부도로 없어지면서 문제가 생겼다. 인근 업체인 서울버스/진화운수가 아니라 면목동 쪽에 있는 북부운수가 인수했는데, 동부운수의 장지동 차고지가 압류되면서 북부운수가 이를 인수하지 못해 할 수 없이 면목동 북부운수 차고지를 사실상의 기점으로 삼아 운행하게 되어 다소 운행 패턴이 꼬이게 된 것.
여튼 이러한 상태로 운행하다가 회기역 - 강변역으로 노선이 대폭 단축되었고,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폐선되었다.

8. 522 (좌석) (동부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522번이 분리되기 전에 폐선.

9. 522-1 (동부운수) (★)


운행구간 : 동서울터미널(강변역) - 어린이대공원후문 - 중곡동 - 면목동 - 상봉동 - 중화동동부시장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종암동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혜화동(회차)
이후 혜화동에서 상봉동으로 단축된 후 1990년대에 폐선되었다.

10. 522-1 (동부운수 → 북부운수)


[image]
사진 속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2233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522번(청색)이 아예 분리되면서 번호가 522-1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3215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2311 문서를 참조.

11. 522-2 (동부운수 → 동아운수)


[image]
출처 [4]
동부운수가 차고지를 장지동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기존 522번에서 청량리 - 마포 구간을 분리하여 신설한 노선으로, 동부운수 부도 후 동아운수가 인수하였다. 대개편 때 폐선되었고(사실상 서울 버스 110이 대체 중), 이 때 운행하던 차량들은대부분 5711번으로 갔다가 5711번이 170번과 통합되어 153번에서 운행하다가 BC211M으로 대차되었다..

12. 540 (동성교통)


[image]
구 45번 출신 2002년식 BS106 좌석형 차량. 개편 후에 전 차량이 중문 부분까지 입석형 시트로 개조되었고, 모두 2010년에 대차되었다.[5]출처
운행구간 : 성남(상대원) - 구종점 - 종합시장 - 신흥주공아파트 - 세곡동 - 수서역 - 양재역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남산3호터널 - 신세계 - 시청 - 광화문
2003년 4월말에 좌석 45번이 형간전환된 것이다. 대개편 때 강남역 회차로 변경되어 4420번이 되었지만 후에는 삼성역으로 단축되었다. 하지만 2007년 1월 20일에 폐선. 이후 대체노선으로 성남시 면허 442번이 신설되었으나 환승할인 불가, 잦은 노선 변경, 긴 배차간격을 보이며 파행운영을 하였고, 결국 2010년 11월 8일에 폐선.
이후 서울 버스 408(구. 9009 → 9411)번마저 폐선되면서 수정구, 중원구 구시가지(도촌동 제외)에서 서울 도심으로 한번에 가는 노선은 없어졌다. 성남 구시가지가 서울 시내버스 개편 최대의 희생양 중 하나가 되고 만 것. 대체노선은 그냥 지하철 타면 되는데 잠실역 막장환승이 문제.

13. 541 (현대교통) (★)


운행구간 : 홍은동 - 명지대 - 연희동 - 연세대 - 신촌기차역(하행)/명물거리(상행) - 이대 - 아현동 - 서대문 - 종로2가 - 청계천로 - 동대문운동장 - 왕십리 - 마장동 - 신답역 - 답십리 - 군자동 - 중곡동 - 면목동
1990년대 중반에 폐선.

14. 541-1 (현대교통 → 서울승합) (★)


운행구간 : 홍은동 - 명지대 - 연희동 - 연세대 - 신촌기차역(하행)/명물거리(상행) - 이대 - 아현동 - 서대문 - 종로2가 - 청계천로 - 동대문운동장 - 왕십리 - 마장동 - 신답역 - 답십리 - 군자동 - 천호동 - 길동 - 명일동 - 고덕주공2단지 - 고덕동
1980년대 후반 폐선

15. 542 (현대교통)


[image]
[image]
운행구간 : 홍연2교차고지 - 남가좌동 - 명지대학교 - 가좌역 - 신촌오거리 - 광화문 - 청계천 - 동대문운동장 - 한양대학교 - 상원 - 한국화장품(현.세종사이버대학교)/어린이대공원 - 중곡동종점
543번과 나란히 남가좌동 - 중곡동 간을 운행했으나, 543번이 2001년 국립의료원으로 단축되면서 543번이 운행하던 어린이대공원과 542번의 한국화장품으로 분리운행했다.
개편 직후 해체되었으며 현재는 큰 줄기상 7611(서대문구), 163(청계천), 2012, 2016(동대문역사문화공원-한양대학교-중곡동)이 어느 정도 대체하나, 사실상 4~5개 노선으로 쪼개져서 매우 복잡하게 바뀌었다.
현재도 중곡동에 남아있는 중곡동종점 부지[6]와 정류장 등의 명칭은 모두 이 노선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곡동에 10년 이상 거주한 주민들은 아직도 "종점"이라고 하면 이 곳을 떠올리곤 한다. 위치상으로는 대원여고 바로 건너편.
과거 버스 갤러리에서 신 542번 떡밥이 활성화되던 시기에 옛 542번과 관련된 글이 올라왔는데(#)에 김유식이 직접 댓글을 달기도 했다.

16. 543 (현대교통)


[image]
[image]
'''단축 이전의 모습'''(출처 : 투캅스3(영화))[7]
'''단축 이후의 모습''' 출처
출처
운행구간 : 홍은동 - 명지대 - 남가좌동 - 모래내시장 - 연세대 - 사직단 - 경복궁 - 안국동 - 원남동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을지로6가 → 국립의료원 → 종로5가 → 이화동 → 이후 역순
(홍은2동-명지대-남가좌동-모래내-연대앞-이대부고-사직단-경복궁-안국동-창덕궁-이화동-종로5가-방산시장-신당동-)
과거엔 542번과 함께 중곡동까지 갔으나 2000년경 '왕십리 - 한양대 - 화양동 - 어린이대공원 - 중곡삼거리 - 중곡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2년 6월에 '안국동 - 창덕궁 - 이화동 - 종로5가 - 방산시장 - 신당동 - 왕십리' 구간이 '원남동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을지로6가 → 국립의료원 → 종로5가 → 이화동'으로 단축, 변경되었다.
하지만 개편 때 542번은 증발해버리고 543번마저도 남대문시장으로 단축되어 7020번이 되었다가 2004년 10월 수색/성산로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 708번이 되었다.
그러다가 2011년 8월 기존 운행대수(10대) 그대로 기점이 수색으로 연장되면서 문제가 시작됐는데 배차 관리가 너무 어려워 결국 2012년 종점을 이대부고로 단축한 채 7716번이 됐다.
그러나 이렇게 하고 나니 그나마 있던 수요도 다 떨어져 나가 결국 2013년 9월 26일에 폐선되었다.

17. 543 (좌석) (현대교통)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7년 폐선되었다.


18. 550 (한남운수)


[image]
[8]출처
운행구간 : 시흥3동주차장 - 시흥동20M도로(시내 방향은 백산초등학교 경유, 시흥3동 방향은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대명시장, 시흥사거리 경유) - 구로전화국 - 신대방역 - 관악롯데백화점 - 남부순환로(적)/은천길(청) - 봉원중학교 앞 삼거리 - 숭실대 - 상도터널 - 용산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을지로입구 - 종로2가
원래는 삼화교통에서 운행하던 50번 좌석버스였으나, 삼화고속이 서울시 시내버스 사업을 철수하면서 1990년대 후반에 한남운수로 양도된다. 한남운수의 기존 좌석노선이었던 51번과 52번이 차례로 형간전환한 데 이어서 이 노선도 2000년에 형간전환되었다. 이 때 50번은 북부운수에서 이미 운행 중인 노선이었기 때문에, 550번으로 변경.
금천폭포공원 근처 종교시설물 자리에 차고지가 있어서 금천폭포공원까지만 운행했었으나, 차고지를 매각하면서 시흥3동주차장으로 이전하였고 노선 또한 연장하게 된다.[9]
이후 은천길을 경유하던 기존 노선을 분리하여 2원화 운행하였다. 후에 한남운수 측에서 적색을 폐선하고, 청색으로 통합하려고 했으나 부결에 그쳤고, 대신 적색을 운행하는 차량 수를 줄여 청색으로 추가 투입하였다.
개편 후 적색은 서울 버스 501,[10] 청색은 성현동 - 석수역으로 단축된 5526번이 되었으나, 이후 5612번과 6618번에 통합되어 서울 버스 6516이 되었다.

19. 555 (시영버스 → 중부운수 → 보성운수) (★)


운행구간 (1기) : 목동 - 문래동 - 영등포시장 - 당산동 - 합정동 - 신촌 - 아현동 - 서소문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을지로 - 동대문운동장 - 신당동 - 제기동 - 청량리 - 중랑교 - 면목동
운행구간 (2기) : 구로동 - 신도림 - 영등포역 - 여의도 - 공덕동 - 아현동 - 서소문 → 서울역 → 염천교 →서소문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255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55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우성버스 555번과는 전혀 무관한 노선이다. 이후 1976년경 보성운수에 노선 운영권과 차량을 매각하였으며 동시에 구로동 기점, 서울역 회차로 대폭 재편하였다. 얼마 못 가 120번에 통폐합 후 폐지되었다. 보성운수/세풍운수에서 운행중인 서울 74사 9600호 단위 ~ 9700호 단위가 이때 유입된 차적들이다.[11]

20. 555 (서울버스 → 성동여객 → 우성버스) (★)


운행구간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면목동 - 중곡동 - 어린이대공원 - 화양리 - 상원 - 한양대 - 왕십리 - 상왕십리 - 신당동 - 약수동 - 한남동 - 신사동 - 논현역 - 반포역 - 고속터미널 - 구반포 - 신반포 - 이수교 - 이수역 - 사당역 - 사당동
본래 서울버스 출신 노선으로,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67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67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1979년 성동여객으로 매각하였다. 매각 직후 666번을 거쳐 이후 555번으로 번호만 변경하였다. 1999년 우성버스 폐업과 함께 폐선

21. 555-1 (성동여객) (★)


운행구간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면목동 - 중곡동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역 - 노룬산시장 - 경기고교 - 삼성역 - 잠실운동장
본래 서울버스 출신 노선으로, 567-1번으로 운행하였다. 1979년 서울버스로부터 인수 하였으며, 인수 직후 666-1번을 거쳐 이후 555-1번으로 번호만 변경하였다. 1980년대 종합운동장 - 노룬산시장 단축 후 1991년 5월 1일 폐지. 원래는 잠실운동장 - 천호동 - 길동사거리 - 마천동까지 운행했으나 1980년대 후반에 잠실운동장 - 마천동 구간을 555-2번으로 분리해 수도교통에 매각했다. 그래서 다소 뜬금없어 보였던 555-2번이 강동/송파 일대를 운행했던 것.

22. 555-2 (성동여객 → 영동교통 → 송파상운)


[image]
사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3315번에서 2018년식 NEW BS110으로 운행중이다.출처 광고는 영화 효자동 이발사.
운행구간 : 마천동 - 서하남입구 - 강동역 - 천호역 - 잠실역 - 강남역
과거 성동여객이 555번(망우동 - 사당역)과 555-1번(망우동 - 화양동 - 잠실운동장 - 마천동)을 운행했는데, 555-1번의 잠실운동장 - 마천동 구간을 1991년 4월 30일에 555-2번으로 분리하여 송파상운이 운행하게 되었다. 이 때 송파상운 차고지가 기존 555-1번의 회차지에서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노선을 살짝 연장한 셈이 되었다.
이후 555번과 555-1번은 우성버스(구 성동여객)의 부도로 없어졌지만, 555-2번은 서하남입구 ~ 천호동 ~ 잠실간의 구간수요[12]가 나름 있었으며, 서하남입구 일대에서는 사실상 독점 운행 노선이었던지라 그럭저럭 잘 돌아갔다. 그런데 '''신의 한 수'''를 두게 되었으니, 1997년 12월에 테헤란로를 거쳐 강남역까지 연장된 것. 연장 전까지만 해도 연두색 무냉방 BS105L을 운행하다가 연장 당일 '''로얄시티 냉방형 신차'''[13]로 전부 대차했을 정도로 회사측이 거는 기대는 컸고, '''예감은 적중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테헤란로를 관통하여 잠실에서 강남역을 제대로 이어주는 노선이 없었던데다, 천호동과 풍납동 일대의 수요까지 겹치면서 송파상운 최대의 밥줄 노선이 되었고, 마침내 강남역 기준 새벽 1시로 막차시간까지 연장되었다. 강남역 기준 새벽 1시에 운행하는 심야 막차의 경우 돈통이 꽉 찼다고.
하지만 2004년 버스 개편 당시 서울시에서는 ''''잠실역에서 360번으로 환승하면 된다''''면서 555-2번을 571번에 통폐합하여 마천동 - 강변역간 3214번으로 운행하되 방이역 대신 서하남입구를 경유하도록 한 것.
이건 서울시의 개편 당시 논란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사례인데, 555-2번의 핵심 구간이었던 풍납동 - 강남역 구간을 사실상 공중분해시켜서 환승을 강요한 것부터가 애초에 답이 없지만 '''가장 큰 문제는 심야 수요였다.''' 360번이 강남역에서 잠실까지는 와도, '''천호동 일대로는 가지 않기 때문.''' 당연히 심야 노선 이용객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개편 후 약 한달 정도 지난 뒤에야 심야시간에 한해[14] 3214번 3대를 차출하여 555-2번과 동일한 노선을 운행하도록 조치했다가, 2005년 6월 20일에 대원여객에서 341번이 개통되어 길동사거리 - 강남역 구간이 복원되면서 3214번의 555-2번 심야 대체 운행은 중단되었다. 그리고 3214번 서하남입구 경유 노선 역시 3316번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


23. 560 (서울승합) (★)


운행구간 : 길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되었다.

24. 560 (범일운수)


운행구간 : 시흥동 - 은행나무사거리 - 독산사거리 - 구로전화국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까치고개 - 예술의전당 - 서초역 - 고속터미널
[image]
2001년 7월에 56번 좌석버스가 도시형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560번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413번으로 변경되었다.

25. 563 (서울승합) (★)


운행구간 : 암사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되었다.

26. 565 (서울승합) (★)


운행구간 :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되었다.

27. 566 (서울승합) (★)


운행구간 : 상일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되었다.

28. 567 (서울버스 → 우신운수)


{{{#!html
<iframe width="420" height="315" src="//www.youtube.com/embed/Im9yIjoIfw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mage] [15]
[image] [16]
[image] [17]
운행구간 : 사당동 - 이수역 - 이수교 - 반포본동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신사역 - 도산대로 - 영동대교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정문) - 군자역 - 면목동길 - 면목오거리 - 상봉터미널 - 신내동
용마산길 경우노선(팻말을 별도로 표시해둠) : 용마사거리 - 중곡역 - 용마산역 - 중화중학교 삼거리 - 상봉터미널 이하 본선과 동일, 배차는 본선 대비 4 : 1 정도 이후 폐선
본래는 567-2번이었으나 1979년 우신운수가 인수한 직후 567번으로 번호만 변경하였다. 서울 버스 4212 참조. 현재는 신내동에서 중곡3동으로 단축되었다.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는 567번 좌석노선도 있었는데, 이것은 아래 567-1번 항목 참조.

29. 567 (좌석) (서울버스 → 성동여객 → 우성버스 → 우신운수) (★)


운행구간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면목동 -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역 - 화양리 - 영동대교 - 압구정역 - 신사역 - 잠원동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 - 이수교 - 이수역 - 사당역
1981년 신설. 1999년 우성버스 폐업으로 인하여 사당동에 본사를 둔 우신운수측에서 노선운영권만 인수, 기존 567-1번에서 절반가량을 차출하여 재운행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기존 567번 종점을 망우리에서 신내동(신내8,9단지아파트)으로 연장해서 운행하였고 2001년 1월 13일에 도시형 567-1번으로 형간전환하여 운행을 개시하였다. 이후 항목은 567-1번 참고.

30. 567-1 (우신운수) (★)


운행구간 : 망원동 - 망원1동사무소 - 성산초교 - 합정역 - 양화대교 - 양평동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대방역 - 노량진 - 한강대교 - 용산역 - 이촌동 - ''서빙고역(망원동 방면 한정)'' - 동작대교 - 이수교차로 - 이수역 - 사당역(회차)
1984년 12월 17일 7번 (당시는 7-1번)에서 분리된 노선으로, 아래 567-1번이 있기 전에 존재했던 노선이라고 한다. 무려 한강을 '''3번''' 건너는 노선.

31. 567-1 (우신운수)


[image]
위 차량은 2007년식 NSAC → 2016년식 NSAC 저상으로 대차되어 4212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성동여객 567번의 좌석 노선이었으나 우성버스 부도 후 운행 중단되는 흑역사를 겪었다가 우신운수가 노선운영권만 인수하여 종점인 망우리에서 신내동(신내8,9단지아파트)로 연장운행하였고 고급좌석으로 운행하다가 2001년 1월 13일에 도시형 567-1번으로 형간전환. 567번이 신사동에서부터 영동대교까지 직진으로 운행하는데 반해 567-1번은 압구정동을 경유하다가 청담사거리에서 567번과 합류하여 한강을 건넜다가 다시 중곡동 이후 부터는 현 서울 버스 2230과 노선이 똑같았다.
그러나 2004년 대개편 때 서울시가 폭발하여 지선버스 4418번으로 변경, 리베라호텔 ~ 신내동 구간을 단축 하고 리베라호텔 ~ 대치동 구간을 연장하였으며 이후 2007년 6월 12일자로 풍납동 영업소 소속 3312번과 통합 후 서울 버스 4318이라는 초 굴곡/초 장거리 노선으로 재편하게 된다.(동시에 삼성동 ~ 대치동 은마아파트 회차구간이 날라가게되었다.) 중랑구 일대에서는 대체노선으로 2217번이 있었으나, 이것도 얼마 못 가 폐지. 다행히 중랑구 일대에서 압구정을 잇는 구간은 2006년에 240번이 개통되면서 사실상 이 쪽이 567-1번의 직계 후신이다.

32. 567-1 (좌석) (우신운수) (★)


운행구간 :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 - 신/구반포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영동사거리 - 신사역 - 영동대교 - 화양리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 - 군자역 - 면목동 - 상봉터미널 - 망우리
1981년 신설. 567번의 좌석형 노선이었다. 2000년 12월 폐지. 이후 이 노선앞으로 인가되어있던 96년식 BH115H, 97~99년식 BH116 고급좌석 차량들이 전부 우신버스로 매각되었다.

33. 568 (서울승합 → 우신운수 → 대원교통)


[image]
운행구간(1기) : 고덕동 - 명일동 - 십자성마을 - 길동사거리 - 천호사거리 - 영파여고 - 올림픽회관 - 성내역 - 잠실대교 - 자양아파트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화양사거리 - 송정동 - 동2로 - 면목전화국 - 서울우유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 - 경동시장(회차)
[image]
출처[18]
운행구간(2기) : 구리(수택동) - 한양대병원 - 망우리고개 - 상봉동 - 면목동 - 중곡동 - 대공원 - 구의동 - 강변역
본래 서울승합 출신 노선으로,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68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68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명일동을 출발하여 천호동을 거쳐 청량리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었다. 이후 차고지가 고덕동으로 옮겨가면서 자연히 노선도 연장.
이후 우신운수로 이관된 뒤 풍납동 단축, 동대문 연장,(왕산로, 청계천로 경유), 신설동 단축(안암동, 제기동 경유)을 거쳤지만, 결국 적은 수요로 인한 적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되어 2003년 8월 1일부로 운휴에 들어가게 되었다. 우신버스 공지사항
이후 노선을 대원교통으로 팔아 넘긴 후 노선이 망우1동(현 중랑공영차고지 인근) - 강변역으로 대폭 변경되었다. 즉, 우신운수까지의 노선과 대원교통에서 운행한 노선은 번호만 같을 뿐, 전혀 다른 노선이라고 볼 수 있겠다.
개편 직전에 구리 수택동으로 연장되었고, 개편 후 2232번으로 존속되었고 대원여객으로 넘어갔으나, 수요 부족[19]으로 2005년 7월 18일에 폐지되었다. 다만 이 버스가 사라진 이후 지금까지도 중랑구 - 강변역을 한번에 잇는 버스는 없는 상태로 이 568번이 중랑 - 강변역 구간의 마지막 노선인 셈이었다.
그나마 구 568의 입지는 2312번이 이어받았다. 1기 568의 구간인 명일동 - 면목2동 구간은 예전의 굴곡이 아닌 구리암사대교와 용마터널을 통과하여 다니고 있고, 2기 568의 구간인 상봉역 - 신내역 구간은 봉우재로(면목6거리) 구간 미경유와 송곡여고 미경유를 빼면 거의 비슷하게 다니기 때문.

34. 568 (좌석) (서울승합) (★)


도시형(1기 노선)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8년 5월 폐지되었다.

35. 568-1 (서울승합) (★)


운행구간 : 고덕동 - 명일동 - 길동 - 천호역 - 영파여고 - 동서울터미널 - 광진구청 - 어린이대공원 - 화양리 - 면목동 - 서울우유 - 중랑교 - 청량리
1991년 폐선.

36. 569 (대흥교통 → 서울승합)


[image]
[image]
[image]
맨 위에 두 차량은 모두 말소되었고, 맨 아래 차량은 2007년식 NSAC 저상→2018년식 NSAC F/L 개선형 저상으로 대차되어 3413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명일역 - 강동아파트 - 선사사거리 - 암사역 - 천호역 - 영파여고 - 성내역 - 잠실역 - 잠실3단지 - 종합운동장
대흥교통에서 운행하던 '오금동 - 청계5가' 노선이 전신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과거 강동구에 지하철이 없었을 시기엔 더더욱 명일동과 암사동 주민들의 발이 되었던 노선이다. 배차간격이 3분 내외였을 정도로 꽤 자주 다니는 황금 노선이었다. 차고지는 현재 명일역 앞에 있는 GS수퍼마켓 부지였는데, 원래는 569번 외에도 933번 좌석버스와과 568번 도시형버스 차량들도 주박했지만 두 노선 모두 사라지면서 혼자 명일동차고지에서 출발했다.
2001년 경에는 상일동 지역 통학생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한다는 이유로 일부 차량을 상일동역 앞 서울승합 본사 차고지로 옮겨서 운행하다가 수익성이 너무 안 나서 도로 환원한 적도 있다. 이 때 서울승합에서는 상일동과 명일동을 잇는 959번 좌석버스를 탈 때 따로 말하면 도시형버스 학생요금만 받기도 했다.
그러다가 2003년 명일동 차고지[20]와 고덕동 본사 차고지[21]를 매각하고 강동공영차고지로 입주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는 몰라도 569번은 연장되지 않아 2004년 7월 버스개편 때까지 옛 명일동차고지 앞 길가에서 출발했다.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삼성역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3411 문서를 참조.

37. 569 (좌석) (대흥교통 → 신장운수) (★)


운행구간 : 명일동 - 고덕동 - 암사동 - 천호역 - 잠실대교 - 광진구청 - 어린이대공원 - 청계천로 - 청계5가
1985년 신장운수로 매각 후 폐선.

38. 569-1 (서울승합) (★)


운행구간 : 명일동 - 고덕동 - 암사동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올림픽대교 - 강변역 - 동서울터미널
1995년 11월 폐선.

39. 570 (동성교통)


[image]

위 차량은 구 540번 출신 좌석형이었으며, 3423번으로 이동했다가 2010년 말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었고, 2015년에 이 노선으로 복귀했다. 이후 2019년 12월에 일렉시티로 다시 대차.
[image]
위 차량은 2011년 말에 저상버스로 대차된 다음 2017년에 3012번으로 이동하였다. 출처
운행구간 : 성남(상대원) - 대원사거리 - 구종점 - 구.성남시청 - 태평동 - 경원대 - 복정역 - 문정역 - 가락시장 - 석촌역 - 잠실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후문) - 장한평역 - 답십리역 - 용두역 - 신설동로터리(회차)
  • 1968년 말, 경성궤도가 폐지되면서 대체 노선으로 개통한 270번 시영버스(천호동 - 종로5가)가 시초다. 온갖 길을 경유하는 수많은 지선들이 있었으며 중간 구간이 달라도 모두 270번을 붙이고 다녔다고 한다. 이 중 성동교 경유 노선은 나중에 570-2번이 된다. 정확히는 570-2번이 경성궤도를 물려받은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 1970년 11월 경에 '종로5가 - 동대문운동장' 구간이 연장되었고, 운행댓수도 64대까지 늘어났다.
  • 1969년부터 광주대단지가 형성되면서 64대 중 단 3대만 '천호동 - 광주대단지' 구간을 연장해서 운행하였는데, 이후 6대로 증차했으나, 주민들의 불편은 상상을 초월했기 때문에 결국 1971년 8월에 광주대단지사건이 일어나게 되었다.
  • 1971년 9월 헌릉로의 개통으로 영등포행 노선(현 452번)이 분리되었다.
  • 1972년 6월, 잠실대교 개통으로 천호동 미경유 및 잠실대교 경유로 변경되었고, 이때 민영화되어 서울시에서 대진운수로 양도되었다. 이 때 대진운수 측에서는 계열사를 세워 운행했는데 이 회사가 바로 동성교통이다.
  • 1973년 10월,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평화촌(현 헬리오시티)에서 출발하는 노선 운행을 시작하였다.
  • 1974년 8월, 노선이 '성남시 - 잠실교 - 화양동 - 행당동 - 신당동 - 쌍림동(퇴계로5가) - 종로5가 - 동대문 - 을지로6가 - 신당동'으로 변경되었다. (회차구간을 퇴계로5가 경유로 변경)
  • 1976년 7월, 군자교 경유와 성동교 경유(한양대 경유)로 분리되었다. 한양대 경유 노선은 570-2번을 배정받게 된다.
  • 1980년, 동일 경로를 운행하는 좌석버스 570번이 신설되었다. 이 노선은 1997년 폐선.
  • 1991년 5월, 신설동으로 단축되어 현재 노선이 되었다.
  • 1992년 12월 14일, 심야좌석버스인 906번(분당-을지로5가)이 분리되었다. 이 노선은 개편 후, 9403번 광역버스로 배정되었다.
  • 2004년 개편 때 동대문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303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303 문서를 참조. 현재는 다시 신설동으로 단축되었다.


40. 570 (좌석) (동성교통) (★)


[image]
해당 차량은 세 번 대차되어 9403번에서 운행중이다. 보람증권은 모기업인 보람은행이 하나은행에 넘어가며 하나투자증권이 되었다가 대한투자신탁까지 먹어서 하나대투증권이었다가 이후 명칭을 바꿔서 하나금융투자가 되었다.
[image]
1980년에 신설된 노선으로, 기존 570번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되었다. 1997년에 폐선.

41. 570-1 (동성교통 → 삼선버스 → 신장운수) (★)


운행구간 (1-1기) : 성남 (상대원) - 대원사거리 - 구종점 - 성남시청 (現 수정보건소) - 태평동 - 경원대 - 복정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석촌동 - 잠실역 - 구의동
운행구간 (1-2기) : 성남 (상대원) - 대원사거리 - 구종점 - 성남시청 (現 수정보건소) - 태평동 - 경원대 - 복정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석촌동 - 잠실역 - 성내역 - 영파여고 - 천호동 - 구천면길 - 명일동
운행구간 (2기)(부정확함) : 덕보교오거리 - 신장시장 - 덕풍파출소 - 황산 - 가나안농군학교 - 하일동 - 고덕동 -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동 - 영파여고 - 성내역 - 잠실역 - 석촌동 - 가락시장
1976년에 신설된 노선으로, 초창기에는 570번의 단축형 노선으로 신설, 이후 1984년 2월 12일 상대원과 명일동을 오가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87년 삼선버스에 노선이 매각되었고, 1989년 9월 16일자로 신장운수에 완전히 매각되면서, 구.성남 ~ 가락시장구간이 단축되고 명일동 ~ 하남시 신장 구간이 연장된 형태로 가락시장 - 하남 신장 노선으로 완전히 새롭게 탈바꿈하였다.
이후 1991년 5월 1일에 폐선.

42. 570-2 (동성교통)


[image]
2007년식 BS106→2018년식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출처[22]
운행구간 : 성남(상대원) - 대원사거리 - 성남운동장 - 구.성남시청 - 경원대학교 - 송파대로 - 잠실역 - 어린이대공원역 - 상원 - 한양대역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1976년 7월, 570번(현 303번)이 군자교 경유(어린이대공원 경유)와 성동교 경유(한양대 경유)로 분리된 것이 시초이다.
1982년 570-2번이라는 번호를 배정받았다.
2004년 개편 이후로도 번호만 바뀌었을 뿐 큰 노선 변경은 없었다가 2010년에 종점이 상왕십리역으로 단축되었고 2020년에는 광진구 구간이 일부 변경되었다. 서울 버스 302 참조.

43. 570-3 (동성교통) (★)


성남(상대원) - 대원사거리 - 구종점 - 구.성남시청 - 태평동 - 경원대 - 복정역 - 문정역 - 가락시장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구의사거리 - 강변역
1988년, 동서울터미널 개장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었다. 1997년 폐선.
참고로 2002년 경기교통의 부도로 인해 이 번호가 부활할 뻔했다. 동성교통에서 70번을 대체 운행하다가 아예 서울시청에 정식 인가를 내달라고 요청했는데 이미 서울에는 70번 도시형 버스가 운행중이었기 때문에 570-3번으로 인가를 내주려 했던 것. 임시운행 당시 570, 570-2에서 투입된 기사들이 서로 운행 안 하겠다고 기피하였다고 한다. 그러다 성남시의 정규인가 부여 반대로 인해 대원버스로 넘어갔다.

44. 571 (서울승합 → 수도교통 → 송파상운)


[image]
[23]출처
원래는 시영버스 노선으로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271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71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사당역으로 노선 대폭 변경. 이후 강변역으로 대폭 단축되었다. 서울 버스 3214 항목 참조.

45. 571 (좌석) (송파상운) (★)


운행구간 : 마천동 - 거여동 - 오금동 - 방이동 - 올림픽선수촌아파트 - 둔촌동 - 길동 - 천호동 - 영파여고 - 성내역 - 잠실 - 잠실주공아파트 - 종합운동장 - 삼성역, 무역센터 - 봉은사 - AID아파트 - 강남구청 - 논현동 - 영동사거리 - 반포주공3단지 - 고속터미널 - 반포본동 - 이수교차로 - 이수역 - 사당역(회차)
1997년에 폐선.

46. 571-1 (수도교통 → 송파상운)


[image]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3315번 NEW BS110으로 운행중이다.[24]출처
운행구간 : 마천동 - 거여동 - 오금동 - 가락시장 - 송파 - 석촌호수 - 잠실역 - 잠실주공아파트 - 종합운동장 - 삼성역, 무역센터
과거엔 강남구청, 고속터미널을 경유해 총신대입구역까지 운행했다.
1980년대 중후반에 삼성역으로 단축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3415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잠실역으로 단축되어서 현재는 3317번으로 운행중.
준공영제가 도입되기 전에는 65번과 무지막지한 경쟁을 벌였다. 실제로 가락극동아파트에서 강남경찰서까지는 완전 겹쳤었다.[25] 다만 이 때는 개롱역사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기다리는 65번에 비해 유리했다. 때문에 571-1번 버스는 유유히 직진 신호 받아 먼저 가락극동아파트 정류장에 먼저 도착하고 그걸 본 65번 버스 기사가 승객을 또 뺏겼다고 분통을 터트리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이후 문정로데오거리, 송파대로 구간에서 승객을 더 받기 위해 서로 과속을 일삼으며 경쟁했다.


47. 572 (수도교통 → 송파상운) (★)


운행구간 : 마천동 - 거여동 - 오금동 - 효죽동입구 - 둔촌아파트앞 - 길동사거리 - 천호동 - 한국화이자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 - 화양리 - 한양대 - 왕십리 - 상왕십리 - 신당동 - 동대문운동장
원래는 시영버스 노선으로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272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72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1988년에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가 일어났던 그 노선이다. 사고원인은 노후화된 타이어의 무분별한 재활용으로 드러났고 이 사고로 인해 사명 변경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노선 자체는 1992년에 폐선.

48. 573 (신장운수) (★)


[image]
동대문까지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출처 : MBC 뉴스데스크)
운행구간 : 하남공영차고지 - 덕보교오거리 - (청색)(신장사거리 - 하남전화국 - 덕풍2동 - 덕풍파출소)(적색)(덕풍아파트단지) - 방아다리 - 공영시 - 황산 - 길동사거리 - 천호동 - 한국화이자 - 강변역
신장운수의 간판 노선이었다. 원래는 시영버스 노선으로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273번으로 부여받았으나,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73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원래는 덕보교오거리를 기점으로 화이자, 구의시장, 대공원후문, 천호대로를 거쳐 동대문까지 운행하다가, 5호선이 개통하면서 강변역으로 단축되었다. 신장시장 경유는 478번으로 번호 변경했다가 다시 573번 청색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공영차고지로 연장.
난폭운전 때문에 사고를 쳐서 지상파 9시 뉴스에까지 나오고 5호선과 KD운송그룹 등 다른 버스업체와의 견제, 그리고 대원고속 112-1번이 형간전환하면서 몰락의 길을 걷다가, 회사가 망하면서 같이 폐선되었다.


49. 573 (좌석) (신장운수) (★)


[image]
[image]
운행구간 : 하남공영차고지 - 하남초등학교 - 신안.부영.한국A - 하남시청 - 장지마을 - 라인아파트 - 방아다리 - 공영시 - 황산 - 길동사거리 - 천호동 - 어린이대공원(후문) - 용마초교 - 군자교 - 장안평 - 신답역 - 동대문구청 - 동대문 → 청계5가 → 종로5가 → 종로6가 → 동대문 → 이하 역순
심야좌석 913번이 신설되면서 같이 신설된 좌석노선. 일반 도시형 노선과 달리 성광학교를 출발해 하남시를 한바퀴 뺑 돌았고, 종로5가까지 운행하였다. 도시형 573번과 같이 분리운행하였으며, 도시형이 112-1번에 밀렸다면 이 노선은 1007번에게 밀렸다. 마찬가지로 성광학교 - 천현공원 구간 대신 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지만, 업체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50. 573-1 (신장운수) (★)


운행구간 : 하일동입구 - 오거리 - 구종점 - 하남초등학교 - 가나안농군학교 - 황산 - 주몽재활원 - 한영중고교 - 명일여고 - 명일동 - 성덕여상 - 구천면길 - 고분다리 - 천호사거리 - 천호동 - 영파여고 - 풍납동극동아파트 - 강동세무서 - 강변역
원래는 천호대교를 건너 한국화이자, 동부경찰서, 구의사거리, 화양리, 상원, 한양대, 왕십리역, 중앙시장을 거쳐 동대문운동장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동서울터미널이 생기면서 추가적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강변역까지 단축해서 운행하다가 번호가 479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자잘한 변경을 거치다가 폐선.

51. 573-2 (신장운수) (★)


[image]
운행구간 : 동부주유소(덕보교오거리) - 신장사거리 - 하남전화국 - 덕풍2동 - 덕풍파출소 - 방아다리 - 공영사 - 황산 - 주몽재활원 - 한영중고교 - 명일여고 - 명일동 - 성덕여상 - 구천면길 - 고분다리 - 천호사거리 - 천호동 - 영파여고 - 풍납동극동아파트 - 성내역(하남 방면) - 석촌호수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동
1990년대 중후반에 폐선되었다. 이 녀석은 30-1번에게 밀렸다.(...)

52. 574 (수도교통 → 신우교통) (★)


[image]
운행구간 : 마천동 - 오금동 - 올림픽공원 - 둔촌동/효죽동입구 - 보훈병원 - 길동사거리 - 천호동 - 어린이대공원(후문) - 군자교 - 장한평 - 신답역 - 마장동 - 제기동 - 신설동 - 동대문
1970년 서울시내버스 대개편때 274번으로 변경, 1973년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 500번대 번호부여정책에 따라 57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1988년경 수도교통으로부터 인수한 노선이다. 1993년 폐선.
흥안운수에 남아 있는 74사 49XX대 차량 면허가 이 때의 흔적이다.

53. 575 (서울승합) (★)


운행구간 :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동 - 건대입구역 - 화양리 - 한양대역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계4가
1979년에 폐선

54. 587 (세원버스 → 신길운수) (★)


운행구간 : 신월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동 - 염창동 - 인공폭포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시청앞 - 청계천로 - 어린이대공원 - 천호동
날짜 미상 폐선.

55. 588 (세원버스 → 신길운수)


[image]
잠실역까지 가던 시절의 모습.
[image]
2004년 개편 직전 중구청으로 단축되어 운행했던 BS106L을 재현한 사진.(위 사진은 자료 부족으로 인해 합성으로 재현된 모습이다.) 위 하이파워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현재 606번에 있다. [26]
운행구간 : 신월동 - 화곡역 - 강서구청(적)/현대주유소(청) - 등촌동 - 염창동 - 인공폭포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대흥역 - 공덕오거리 - 만리동 - 회현역 - 명동입구 - 중구청
'''588 시대의 시초'''
신길운수의 역사와 함께 하는 유서 깊은 노선. 세원버스가 1971년에 창립한 뒤에, 운행하던 버스. 88번을 부여받았다. 서울역에서 서울어린이대공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였는데, 1973년에 기점을 신길동으로 옮기면서 '신길동 - 서울역' 구간이 연장되면서, 신길동~어린이대공원을 운행하는 노선이 된다. 회사 이름도 그에 맞춰서 현재 사명인 신길운수로 바뀌었다. 신길동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은 이 회사가 유일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번호도 588번이 되었다.
이 버스가 청량리를 지나가지 않음에도 588이 된 이유는 서울어린이대공원을 경유했기 때문인데, 서울어린이대공원을 경유하는 버스는 5로 정해짐에 따라, 5+88이 되어, 588이 된 것. 아마도 5월 5일이 어린이날이여서 그런 거 같지만.
다시 기점이 영등포구 신길동에서 현재의 차고지인 양천구 신월1동으로 옮기게 됨에 따라, 연장하게 되는데, 마침 송파구 개발까지 겹쳐서, 신월 1동~송파구 풍납동까지 운행하는 괴물 노선이 되어버린 때도 있었다. (1970년대 말~1980년대 초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 '''한강 다리를 두 번 건너는 노선인 셈.''' 이때의 노선은 신월1동~화곡동~까치산로(구 까치산길)~등촌동~신길동~한강다리~서울역~동대문운동장~어린이대공원~한강다리~풍납동이였다(...) 너무 길다 보니, 배차가 길어져서, 동대문운동장까지 단축된다. 동대문운동장을 중심으로 한 바퀴 돌아나갔었다. 여기서 회차 문제가 겹치면서, '''스카라극장'''[27]으로 단축 된다.
한 때 적청제를 시행한 적이 있었다. 화곡동 구간(하이웨이주유소 - 강서구청 - 화곡사거리 - 현대주유소(신도로 경유 - 적)/하이웨이주유소 - 등서초교 - 화곡시장 - 현대주유소(구도로 경유 - 청))과 청계천로 정차 정류장이 달랐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604번으로 바뀌면서, 현재도 운행 중. 번호가 바뀐지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아직도 588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면 상당히 유명했던 노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8]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604 문서를 참조.


56. 588 (좌석) (신길운수) (★)


상기 노선과 번호만 같은 좌석형 노선이였다. 도시형과 거의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고, 약간의 급행 개념도 있었는데, 서울역 고가차도를 경유했다. 수요 부족으로 1997년에 폐선. 대우 BS105 스틸바디, BS106 하이파워 하부냉방 차량을 주로 운행하였다.

57. 588-1 (신길운수)


[image]
해당 차량은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전 말소되었다.
운행 구간 : 부천상동 - 송내역 - 법원앞 - 넘말 - 그린타운 - 미리내마을 - 신 시청앞 - 중흥중학교 - 약대동 - 도당동 - 베르내천 - 원종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동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신촌로터리
원래는 신월동에서 화신앞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1993년경 부천 상동으로 연장과 동시에 연세대 - 화신앞(신촌R 회차)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4년 개편 때 6711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2007년 2월초 고강로 경유가 오정대로(현 봉오대로) 경유로 바뀌었다. 2008년 10월 말 광역버스 9600번과 통합, 전환돼 간선버스 607번이 됐다. 이후는 서울 버스 673 참조.

58. 588-2 (신길운수)


운행 구간 : 상동시점 - 복사골문화센터 - 부천여고 - 부천역 - 원미구청(현 원미어울마당앞) - 부천종합운동장 - 원종동 - 고강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동 - 마포구청 - 연대앞 - 경복궁역 - 종로1가
1987년 5월에 신설되었으며 초창기에는 원종동이 종점이었으나,[29]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에 현재의 상1동으로 연장되었다. 2004년 서울 버스 개편 당시 '''606'''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어 오늘에 이른다. 서울 버스 606 참조.
'''이전 문서로
(400번대)
'''
'''다음 문서로
(600번대)
'''


[1] 원래는 서울특별시에서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정할 때 후보에 있던 도색이었다. 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는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못한 도색이며, 오히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나, 일부 농어촌 지역(예 : 신지여객)에서 사용하였으며, 춘천 대동,대한운수에서도 이 도색을 쓴적이 있다. 거창고속 76번에서 이 도색을 마지막까지 적용했으며, 이후 제주여객, 삼화여객이 유사한 도색을 쓰는 정도로 남아있다가, 2017년 8월에 전멸됐다. 여담으로, 사진의 차량은 3212번으로 이동했고, 2011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2] 현 아차산휴먼시아 앞[3] 현 송파파인타운[4]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53번에서 운행중이다.[5] 사진 차량은 303번에서 운행하다 대차되었고, 그 후 3425번을 거쳐 현재는 302번에서 운행 중.[6] 현재는 광진 02, 03, 04번 마을버스 업체인 구의교통의 차고지로 사용되고 있다.[7] 현재는 세 번 대차되어 7612번 E-화이버드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8] 2009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어 5522B번에 있다.[9] 50번 좌석버스 시절에는 박미삼거리에 차고지가 있었다. 2021년 기준 차고지 자리에 네파 대리점이 들어서 있다.[10] 다만 차량 외부 안내문에는 신설노선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11] 9684, 9689, 9692, 9714, 9743호[12] 천호동 ~ 잠실 구간은 21번212번과 겹쳤으나 서울 지하철 8호선 연장구간 개통 전이라 워낙 수요가 많다보니 적절한 분산이 있었다.[13] 정확히는 시제품이었다. 정식 출시는 1998년 4월.[14] 마천동 기점 기준 22:30/23:00/23:30 이었고 강남 교보타워(구.제일생명)에서 막차시간 01:00[15] 위 차량은 2007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고, 2017년 2월에 4318번으로 이동 후 2018년에 개선형 일반으로 대차되었다.[16] 해당 차량은 2011년에 BS110CN로 대차되어 그대로 운행 중이다.[17] 해당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현재 2014년식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으로 운행 중이다.[18] 이 차량은 대개편 과정에서 메트로버스로 차출되었고, 차량의 면허(74사 9148)는 2006년에 BS110CN으로 교체되었다가 2015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으로 다시 대차됐으며 현재 273번에 있고, 기존 차량은 대원여객에서 다른 차번으로 다니다가 2010년에 폐차되었다.[19] 구리시 구간의 경우 굳이 이 노선을 이용할 필요없을 정도로 강변역으로 가는 노선들이 꽤 있었으며, 이건 서울 중랑구로 가는 것 자체가 거기선 비효율적이었기 때문. 덕분에 서울 중랑-광진구 주민으로선 오히려 손해를 봤다.[20] 이 때 구의원과 일부 주민들은 공원으로 만들자고 건의했으나, 구청장이 임의로 매각하면서 비난을 받기도 했다.[21] 이후 오랫동안 사설 주차장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고덕센트럴푸르지오가 건설 중이다.[22] 옆에 살짝 보이는 버스는 現 시외버스 3300이다.[23] 2006년식 BS090→2016년식 NEW BS090으로 대차 후 3317번에서 운행중이다.[24] 면허 번호가 6186으로 보이지만 6166이다.[25] 지금도 65번의 후신인 3217번과 571-1번의 후신인 3317번의 가락극동아파트~잠실역롯데월드 구간이 겹친다. 다만 이제는 준공영제 시행으로 경쟁이 무의미해졌기 때문에 옛날처럼 문정로데오거리, 송파대로에서 승객을 한명이라도 더 태우기 위한 무시무시한 레이싱을 펼치지는 않는다.[26] 영업용 하이파워와 신형 E클래스(W213)가 도로에 공존할 수 없기 때문. 하이파워는 W211 후기형까지 도로에서 같이 다녔다. 그리고 LF쏘나타가 보인다. 하이파워는 NF쏘나타와 같이 있을 수 있었다. 포터 Ⅱ도 보이지만 포터 Ⅱ는 2004년부터 나왔다.. [27] 이 스카라극장도 역사와 전통이 있다. 동부운수 67번(문정동~스카라), 한남운수 95번(신림동~스카라), 선진운수 153번(갈현동~스카라), 신길운수 588번(신월1동~스카라) 등 온갖 서울 버스가 스카라극장으로 향하는 버스를 볼 수 있었는데, 797번, 631번, 1003번, 328번 등등 많은 버스들이 종점으로 삼았던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버금가는 랜드마크였다. 아직도 '''스카라종점'''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스카라극장은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예정이였는데, 소유주가 무단으로 철거해버리는 바람에 2005년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만다.[28] 아직도 동네 주민들 사이에선 588 종점이라고 해도 다 알아들을 정도다.[29] 원종동과 고강동 사이에 서림아파트(옛 정류소명 테니스장)라는 정류장이 있는데, 이 근처에 주차장으로 쓰이는 공터가 있다. 이 공터가 바로 옛 588-2번 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