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711
1. 노선 정보
2. 개요
도원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9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 변동없이 번호가 1711번으로 변경되었고, 도원교통에서 단독 운행하게 되었다.[3]
- 2004년 8월 9일 자하문길 왕복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5월 19일 공덕역 - 대흥역 - 마포세무서 - 광흥창역 - 합정역 → 홀트아동복지회 → 새서울의원 → 망원정입구 → 성산초교 → 합정역(8번출구) → 합정역(7번 출구) → 이후 역순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06년 4월 13일 다시 공덕역으로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N62번 신설로 1대가 감차되었고, 2016년 11월 28일에는 1대가 유상감차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5대, 저상버스 19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저상버스 중 12대는 전기버스이며, 일렉시티가 8대, 하이거 하이퍼스 장축형 4대가 운행 중이다. 2018년 11월 15일 수도권 최초로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3대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
- 1권역에서 출발하여 7권역에서 회차하는 유일한 지선버스 노선이다.
- 주 수요처는 국민대학교, 2000년대 초까지 오랫동안 터전으로 삼았던 평창동, 세검정, 청운동 등 종로구에서 나오며 대부분 세종문화회관, 시청, 서울역에서 다 내리고 또 도심에서 타 용문동에서 많이 내린다. 물론 공덕역 수요도 많다. 해당 지역들에서 가장 자주 오고 가장 인지도가 높은 노선이라 많이 이용하지만, 정작 성북구는 곁다리로 지나가는 식이라 수요도 없고 인지도도 낮다. 차고지 인근에서도 대부분 171번을 탄다.
- 가스 충전은 1213번[4] 과 함께 대진여객 차고지에서 한다. 이 때 차고지 내 하차 승객이 있으면 171번 출발점에서 하차시킨 후 이동하며, 차고지 들어오기 전에 승객이 다 내리면 차고지를 거치지 않고 곧장 대진여객 차고지 방향으로 빠진다. 이는 야간에 성원여객 차고로 입고되는 차량들도 마찬가지다.
- 위의 배차간격에서 보다시피 배차간격은 촘촘한 편으로, 몇 차례 인가대수가 줄어들었어도 지금도 차가 굉장히 자주 오는 편이다. 자하문로 완주하는 노선들 중에서 제일 배차가 좋아 빗자루질하는 노선이다.
[image]
- 전기버스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차고지 출발부터 배차간격이 와장창 깨져 들쭉날쭉해지는 모습을 보였는데, 운행사원의 언급에 의하면 전기버스 충전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매회 운행 끝날 때마다 틈틈이 충전을 해야 하는데, 차고지 내 충전설비는 최대 4대까지만 동시 충전이 가능해서 충전하다가 출발 시간도 못 맞추는 상황인듯. 오죽하면 운행사원도 대당 운행횟수 등 운행계통을 빨리 조정해 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할 정도이다. 이에 대해 문의해본 결과, 당장 운행계통 변경은 어렵더라도 시에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여 필요 시 운행계통을 변경하겠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현재는 양호한 상태이며 전기버스와 가스차가 반반이다 보니 전기차 가스차 순으로 번갈아 오는 듯 하다.
- 현대 브랜드 컬렉션을 통해 이 노선의 모형화가 이루어졌으며, 가격은 22,000원이다.#
4.1. 타 노선과 비교
- 1020번과는 국민대학교에서 경복궁역까지는 노선이 겹치지만, 1020번은 부암동주민센터와 자하문고개를 경유하는 반면[6] , 이 노선은 자하문터널을 통과하기 때문에 도심으로 가는 데 있어서 비교적 빠른 편이다. 단, 출근시간에는 터널이 정체가 심해 1020번이 더 빠르다.
- 7016번과는 상명대학교부터 용산경찰서까지 비슷하다. 공덕역에서 다시 만난다. 자하문로 완주는 공통점이다. 다만, 강변북로를 경유하여 공덕역으로 가는 7016번과는 달리 용문시장을 경유하여 가기 때문에 공덕역에 더 빨리 도착하며, 7018번과는 상명대학교부터 광화문역까지 비슷하다. 7018번 역시 자하문로 완주가 공통점이다.
- 도심으로 가는데 있어서는 171번보단 이쪽이 더 나은 편이며 정릉동 본사 노선 중에선 아웃 성북에 근접한 노선이다. 정릉에서 경복궁역 갈때는 이 노선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성북구 정류장은 청덕초교, 국민대학교만 있고, 마포구 정류장도 공덕역, 도화동현대아파트뿐이다. 따라서 0권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아웃 1권역/아웃 7권역 노선이다. 단, 광화문에서 공덕역을 갈 때는 용산구로 돌아서 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7]
4.2. 일평균 승차인원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 서울역, 남영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공덕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A] , 공덕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효창공원앞역[A] , 공덕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공덕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공항철도 직통열차)
[1] 토요일 / 공휴일 18대 운행[2] 예비차는 1213번과 공동사용한다. 관련 공문[3] 135번을 도원교통이 받아온 것과는 반대급부로 도원교통은 상암동 영업소 소속인 824번(상암동 - 홍대입구)을 유성운수로 넘기게 되는데 이 노선이 7716번(1기). 그러나 2004년 말에 7016번 증차를 위해서 폐지된다.[4] 경성여객 차량은 중랑차고지에서 넣는다. 도원교통 차량은 중랑공영차고지, 정릉 둘다 넣긴 하나, 중랑차고지에서 주로 넣는다.[5] 해당 차량의 멤버는 정형돈.[6] 부암동주민센터와 자하문고개는 7022번과 7212번도 경유한다.[7] 광화문-공덕은 수도권 전철 5호선, 260번, 600번, 160번, 1002번이 빠르다. 특히 600번과 1002번은 시청역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시청역 하차후 환승해야 이롭다.[8] 단 이 노선들의 경우 반대 방향인 서울역에서 공덕역 방면은 환승센터를 안 거치고 서울역서부로 빠져버리는 단점이 존재한다. 반면 1711번은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A] A B 중앙하이츠빌라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