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에서 출간된
일본의
라이트 노벨. 약칭은 「'''스테프리'''」(すてプリ).
[3] 애니화 이전에는 棄てプリ로 한자를 썼다. 이 약칭은 원작 소설 1권 타이틀이었던 '捨て猫王女の前奏曲(プレリュード)'의 捨(す)て와 プリンセス(<-王女)에서 가져온 것으로, 시리즈명인 스크랩드 프린세스도 여기에서 유래. 일본 라이트노벨은 일단 한 권 내놓아 반응을 보고 시리즈를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 작품도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시리즈명을 정하고 시작한게 아니었다.
본편 13권, 외전 5권 합쳐 전 18권으로 완결되었다. 한국어판은
대원씨아이에서
NT노벨 레이블로 본편 13권까지 완결되었다.
폐기왕녀가 된 소녀 파시피카와 그녀를 여러 자객에게서 지키며 도주하는 여행을 계속하는 카슬 남매의 가족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드래곤즈 윌(ドラゴンズ・ウィル)'이라는 작품으로 데뷔한
사카키 이치로의 첫 시리즈작이자 출세작으로, '드래곤 매거진' 잡지에서 실시된 독자 투표에 의한 연재권 쟁탈전 '용황배' 제 1회
[4] 여기에 참가한 다른 작품으로 아자노 코우헤이의 'D크랙커즈'가 있다.
우승작이기도 하다.
문고 1권 분량의 에피소드를 6회 전후로 게재하는 형식으로 연재되었으며, 홀수권이 새로쓴 글, 짝수권이 연재 문고화라는 형식으로 시리즈가 지속되었다. 그 후, 시리즈가 후반에 들어서자 스토리는 잡지 연재 방식으로 집약되어 2002년 11월호를 기점으로 연재가 종료되었고, 2003년 10월에 문고 최종권이 되는 13권이 발매되면서 시리즈는 막을 내렸다. 또한 본편 외에 짜투리 단편이나 외전격 에피소드를 모은 '서플리먼트' 5권이 발행되었다.
시리즈 개시 초기엔 '
슬레이어즈', '
마술사 오펜'처럼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의 주류인 라이트 판타지 색이 강한 코믹 작품이었으나, 도중에 시리어스한 기색이 강해지고 SF적인 설정이 엿보이도록 바뀌었으며, 시리즈 후반에 이르러서는 사실상 판타지의 탈을 쓴 SF작품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시리즈 누계는 100만부를 넘었으며, 2002년에는 만화화, 2003년에는 애니화가 이루어지는 등 타 미디어 믹스 전개도 이루어졌다.
현재 사카키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오래 연재된 작품이며, 작가 본인도 자신의 대표작으로 인정하는 듯한 코멘트를 남겼다.
2. 줄거리
원래는 라인반 왕국의 공주였지만 마우 젤교의 「성 그렌델 신탁」에서 세계의 맹독을 퍼트릴 것이라 예언되었기에 버려진 폐기왕녀. 그러나 이 버려진 공주는 죽지 않고 어느 부부의 딸로서 살아남아있었다. 그리고 15년 뒤. 폐기왕녀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목숨의 위기를 맞이한 소녀 파시피카 카슬은 언니 라크웰, 오빠 샤논과 함께 도피의 여행을 떠난다. 고난에 가득찬 여행 도중, 카슬 3남매는 '''세계에 맹독을 퍼트리는 폐기왕녀'''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되는데.....
|
사람들에게 표적이 돼버린 여자아이와 그녀를 지키기 위해 함께 다니는 남매라는 구도가 같은 작가의
관희 챠이카와 상당부분 비슷하다. 애니메이션 제작사도 같은
본즈.
3. 등장인물
성우진 정리 바람:
영어판 위키백과4. 미디어 믹스
2002년에 코믹스화되었다. 작화는 야부키 고우(矢吹 豪)가 담당하여 2004년까지 총 3권이 발매되었다. 하지만 큰 반향은 일으키지 못하고
[5] 사실, 원작이 코믹스라면 모를까 그게 아니라면 원작/애니 홍보용으로 연재하다 적당히 완결하는 게 대부분이다.
조기 종결되었다. 한국어로도 정식 번역되었다.
2016년에는
카도카와의 웹코믹 사이트인 '코믹 클리어(コミッククリア)'에서 왕년의 히트작을 만화화하는 'the ORIGIN Project'의 일환으로 다시 코믹스화가 이루어졌다. 작화는 소가베 토시노리(宗我部としのり)가 담당했으며, 2018년까지 총 3권이 발매되었다.
4.2. 애니메이션
'''스크랩드 프린세스''' スクラップド・プリンセス
|
|
- 작품 정보 ▼
'''원작'''
| 사카키 이치로
| '''원작 일러스트'''
| 아즈마 유키노부(安曇雪伸)
| '''감독'''
| 마스이 소이치
| '''시리즈 구성'''
| 요시다 레이코
| '''캐릭터 디자인'''
| 코모리 타카히로(小森高博)
| '''총 작화감독'''
| 코모리 타카히로 쿠도 유카(工藤裕加)
| '''미술 디자인'''
| 타케우치 시호(竹内志保)
| '''디자인 웍스'''
| 진구지 카즈(神宮寺 一)
| '''미술 감독'''
| 히시누마 요시노리(菱沼由典)
| '''색채 설계'''
| 이와사와 레이코(岩沢れい子)
| '''촬영 감독'''
| 미야하라 요헤이(宮原洋平)
| '''음향 감독'''
| 키쿠타 히로미(菊田浩巳)
| '''음악'''
| 나나세 히카루
| '''애니메이션 제작'''
| 본즈
| '''제작'''
| 스테프리 제작위원회
| '''방영 기간'''
| 2003. 04. 08. ~ 2003. 10. 07.
| '''방송국'''
| [image] WOWOW / (화) 18:00 [image] 애니플러스[9]
| '''편당 방영 시간'''
| 24분
| '''화수'''
| 24화
| '''국내 심의 등급'''
| 12세 이상 시청가
| '''관련 사이트'''
|
|
}}} |
2003년 4월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전 24화. 제작사는 본즈.
한국에는 라이트 노벨보다 이 애니메이션 쪽이 먼저 알려져 있다.
잡지 연재 완결 후 방영된 것도 있어 원작에 비해 코미디색이 꽤 옅어지긴 했지만, 스토리는 대체로 원작에 충실하며 큰 일탈이나 파탄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편이다.
작화면에서 본즈치고는 좀 퀄리티가 낮다는 평이 있는데,
[6] 본즈 특유의 액션씬이나 각종 연출들이 부실하다.
이는 스크랩드 프린세스 제작 당시 본즈의 주요 인력들이
울프스 레인과
강철의 연금술사 쪽으로 집중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본즈치고는'이다. 다른 동시대 애니메이션들과 비교해보면 충분히 좋은 퀄리티. 세월이 흐른 지금은 캐릭터 복장이 다소 촌스러워 보일 수도 있지만,
[7]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특유의 어깨뽕이라던가, 노출이 적은 복장. 이는 1990년대에 일본 판타지물에 유행하엿던 디자인이다. 이 당시 때는 여성 캐릭터들의 노출보다는 디자인 자체에 중점을 줬던 시기이다.
본즈답게 안정적인 퀄리티를 자랑한다.
[image][image][image]특히
나카무라 유타카가 대부분의 원화를 담당한 공중 전투씬은 12년이 지난 지금 내놓아도 전혀 꿀릴 게 없을 정도. 전체적인 구도나 느낌이 본즈의 전작인
라제폰의 전투씬과 비슷한 느낌인데,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두 작품 다 본즈 B스튜디오 제작이다.
[8] 정확히는 본즈 대표 애니메이터 나카무라 유타카의 영향이 더 크다.
거기다 애니메이션화가 빨리 진행되어서 그런지 소설판과 다소 다른 내용과 엔딩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스러운 급 전개 때문에 결말이 아쉽다는 소리도 많이 들었지만, 수작이라는 평가가 대부분. 특히 오리지널 캐릭터인 휴레 에피소드는 굉장히 감동적이다. 한때 애니플러스가 애니메이션 판권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매각한 상태.
- ED - 우에노 요코(上野洋子) & 이토 마스미. 대지의 La-li-la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捨て猫王女の前奏曲 바리데기 고양이 공주의 전주곡
| 요시다 레이코
| 마스이 소이치
| 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 이시이 유미코 (石井祐美子) 키시모토 세이지 (岸本誠司)
| 日: 2003.04.08. 韓:
|
제2화
| 半熟騎士の行進曲 미숙한 기사의 행진곡
| 마스이 소이치
| 아와이 시게노리 (粟井重紀)
| 시바 미나코 (芝 美奈子)
| 日: 2003.04.15. 韓:
|
제3화
| 赦されざる者の騒動歌 용서받지 못한 자들의 소동가
| 요시다 레이코
| 와타나베 카케루 (渡辺カケル)
| 세키타 오사무 (関田 修)
| 나카모토 나오코 (中本尚子)
| 日: 2003.04.22. 韓:
|
제4화
| 出会いと別れの協奏曲 만남과 이별의 협주곡
| 요코야마 아키토시
| 미야하라 슈지 (宮原秀二)
| 마츠시마 아키라
| 日: 2003.05.06. 韓:
|
제5화
| 吟遊詩人の子守歌 음유시인의 자장가
| 츠치야 미치히로 (土屋理敬)
| 사카모토 고 (坂本 郷)
| 소노다 마사히로 (園田雅裕)
| 사노 히데토시 (佐野英敏)
| 日: 2003.05.13. 韓:
|
제6화
| 騎士たる者たちの迷走歌 기사된 자들의 미주가
| 마스이 소이치
| 야마모토 히데요 (山本秀世)
| 시바 미나코
| 日: 2003.05.20. 韓:
|
제7화
| 捨て犬少女の円舞曲 버려진 개 소녀의 원주곡
| 야마토야 아카츠키
| 무토 유지 (ムトウユージ)
| 아와이 시게노리
| 아와이 시게노리 사토 오사무 (佐藤 修) 시바 미나코 노타케 히로유키 (野武洋行) 마에사와 히로미 (前澤弘美)
| 日: 2003.05.27. 韓:
|
제8화
| 絆と祈りの夜想曲 유대와 기도의 야상곡
| 요코야마 아키토시
| 이토가 신타로 (いとがしんたろー)
| 스기후지 사유리 (杉藤さゆり) 나카모토 나오코
| 日: 2003.06.03. 韓:
|
제9화
| 異端者たちに捧ぐ鎮魂歌 이단자들에게 바치는 진혼곡
| 나다 유타카 (名田 寛)
| 사카모토 고
| 소노다 마사히로
| 日: 2003.06.10. 韓:
|
제10화
| 偽王女の小夜曲 거짓 왕녀의 세레나데
| 모리오카 히로시 (守岡 博)
| 하시모토 마사카즈
| 고토 준지
| 日: 2003.06.17. 韓:
|
제11화
| 獣姫の狂詩曲 짐승 공주의 광시곡
| 츠치야 미치히로
| 마스이 소이치
| 누마타 세이야
| 모리마에 카즈야 (森前和也)
| 日: 2003.06.24. 韓:
|
제12화
| 二人の姫の戦闘歌 두 명의 공주의 전투가
| 야마모토 히데요
| 시바 미나코
| 日: 2003.07.01. 韓:
|
제13화
| 遥かなる追想曲 아득한 추상곡
| 야마토야 아카츠키
| 와타나베 스미오 (渡辺純央)
| 나카자와 유이치 (中澤勇一) 나카모토 나오코 핫토리 마스미 (ハットリマスミ)
| 日: 2003.07.08. 韓:
|
제14화
| 失われた五重奏 잃어버린 5중주
| 요시다 레이코
| 사사키 신사쿠
| 아와이 시게노리
| 아와이 시게노리 에모리 마리코 (江森真理子) 카와스지 유타카 (川筋 豊) 시바 미나코 핫토리 마스미
| 日: 2003.07.15. 韓:
|
제15화
| 力と謀略の歌劇 힘과 모략의 가극
| 츠치야 미치히로
| 요코야마 아키토시
| 미야지 마사유키
| 나카다 에이지 하마나카 무아 (濱中夢亜) 무라이 타카시 (村井孝司) 모리마에 카즈야 와타나베 준코 (渡辺純子)
| 日: 2003.07.22. 韓:
|
제16화
| 川のほとりの二重唱 강변에서의 이중창
| 요시다 레이코
| 마스이 소이치
| 야스카와 마사루 (安川 勝)
| 쿠라시마 아유미 (倉島亜由美) 코다이라 요시유키 (小平佳幸)
| 日: 2003.07.29. 韓:
|
제17화
| つかの間の世俗歌 짧은 순간의 세속가
| 야마토야 아카츠키
| 미야지 마사유키
| 하시모토 마사카즈
| 고토 준지
| 日: 2003.08.05. 韓:
|
제18화
| 路地裏の哀歌 뒷골목의 애가
| 나다 유타카
| 마스이 소이치
| 야마모토 히데요
| 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 日: 2003.08.19. 韓:
|
제19화
| 母の嘆きの無言歌 어머니의 슬픈 무언가
| 요시다 레이코
| 사사키 신사쿠
| 소노다 마사히로
| 에모리 마리코 시바 미나코 핫토리 마스미
| 日: 2003.08.26. 韓:
|
제20화
| 聖なる崩壊の序曲 성스러운 붕괴의 서곡
| 츠치야 미치히로
| 마스이 소이치
| 사토 이쿠로 (佐藤育郎)
| 와타나베 스미오
| 日: 2003.09.02. 韓:
|
제21화
| 孤独な神の受難曲 고독한 신의 수난곡
| 야마토야 아카츠키
| 아와이 시게노리
| 나카자와 유이치 나카모토 나오코 핫토리 마스미 마츠모토 요시히로 (松本好弘)
| 日: 2003.09.09. 韓:
|
제22화
| 時を超えた輪舞曲 시간을 넘은 윤무곡
| 요시다 레이코
| 하시모토 마사카즈
| 고토 준지
| 日: 2003.09.16. 韓:
|
제23화
| 限りあるものの聖譚曲 유한한 자들의 성당곡
| 나다 유타카
| 소노다 마사히로
| 오카 타츠야 (岡 辰也) 노타케 히로유키 마츠모토 요시히로
| 日: 2003.09.30. 韓:
|
제24화
| 守りし者たちの交響曲 가디언들의 교향곡
| 츠치야 미치히로
| 마스이 소이치
| 코모리 타카히로 (小森高博) 타케우치 시호 (竹内志保)
| 日: 2003.10.07. 韓:
|
5. 기타
- 원래 아내가 만드는 동인지에 실으려고 써 준 '프린세스는 시집갈 때!'가 근원이 된 작품. 이 작품도 HJ 문고로 나중에 발매가 되었다.
유명한
루머지만 관계 없다.
여길 참고해 보면 그 이유가 분명히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