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즈가타케의 칠본창
1. 소개
통상적으로는 칠본창(七本槍)이라고 칭한다.
시즈가타케 전투[1] 당시 하시바 히데요시는 자신의 시종이자 경호를 담당하기 위해 가까이 있던 근위시동들에게 공을 세우라고 다 출격 시키는데 이들 히데요시의 부하 7명을 말한다.
그런데 이 '''칠본창 자체가 히데요시가 자기 시동을 띄워주려고 만든 게 아니냐는 설이 현재 대세'''를 이루고 있다. 당시 일본에서는 다케다 24장, 도쿠가와 4천왕, 구로다 24기 등과 같이 몇 명의 장수나 무사를 묶어서 '''대외적으로 선전하는 호칭을 만드는 캐릭터(?) 어필이 아주 흔한 일이었다.'''[2] 무사의 가문 출신이 아니었던 히데요시는 다른 다이묘와는 달리 자신을 섬겨오던 가신(후다이 가신)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대외적 이미지가 더욱 필요했음은 자명하다.[3]
임진왜란 때는 가토 기요마사[4] 를 제외한 이들 칠본창들이 큰 활약은 하지 못했다. 끽해야 '''조선군이 알아서 자멸한''' 용인 전투, 칠천량 해전 정도. 특히 와키자카 야스하루와 가토 요시아키는 이렇다 할 전과를 올리지 못하다가 이순신에게는 전투력 측정기 신세가 되었고 칠본창의 우두머리격인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임진왜란 초기 제5군을 이끌고 가토의 2군이 함경도 쪽으로 진출할 때 후방을 맡아 2군을 지원하는가 하면, 전쟁 와중에 경상도와 충청도 등을 돌아다니며 (전국시대 국내전 관행대로) 약탈, 학살등 온갗 횡포들을 부리다가 경상북도 영천에서 권응수 장군과의 전투에서 패해 영천성을 빼앗겼고 이후 별 다른 큰 소득을 얻지 못하다가, 명나라와 왜와의 강화가 맺어지자 일본으로 돌아가버렸고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다시 조선에 출병했던 가토 기요마사와 가토 요시아키, 와키자카 야스하루와 달리 조선에 다시 출병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충청도 공격에 공을 세웠다는 이유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오와리국의 영주 지위를 받게 되었다.
말년은 대부분 좋지 않았는데 전후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서 싸우는 과정에서 히데요시의 충복들이었던 만큼 일부는 서군에 합류했다 패망했고, 동군으로 합류한 인물들도 단지 미츠나리가 싫어서 미츠나리를 제거할 목적으로 합류한 거라 전후에도 노골적인 친 도요토미 행보를 보인 탓에 숙청[5] 을 당했기 때문이다. 결국 아이러니하게도 칠본창 중 제일 약했던 와키자카 야스하루만 제대로 살아남았는데 사실 와키자카는 원래부터 친 도쿠가와 파벌이었던걸 미츠나리 측에서 무리해서 붙잡고 있던 케이스였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2. 칠본창 명단
근위시동의 우두머리이자 연장자로 히데요시의 조카뻘인 후쿠시마 마사노리에게는 고쿠다카 5천 석, 나머지는 각각 3천 석이 주어졌다. 아무리 큰 무공을 세웠다고 해도 첫 출전치고는 파격적인 논공행상이었다. 히데요시를 오랫동안 섬겼고 이 전투에도 참전한 야마우치 카즈토요가 3천 5백 석에서 3백 석을 더해 3천 8백 석을 받았다.
-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政則)
-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
-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 또는 카토 요시아키라.
- 히라노 나가야스(平野長泰)
- 카타기리 카츠모토(片桐且元)
-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
- 카스야 타케노리(糟屋武則) 또는 카스야 사네오(加須屋真雄)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전국무쌍 시리즈에서는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정식무장이지만 나머지는 클론 무장.
태합입지전 5에선 카스야 사네오를 제외한 7명이 모두 등장한다. 무력쪽에 모두 특화되어있으나 마사노리, 기요마사, 요시아키 정도만 전장에서 쓸 만하고 야스하루는 미묘, '''나머지는 그냥 쿠소''' 수준이다.
한국 사극에서는 불멸의 이순신에서 가토 기요마사, 와키자카 야스하루와 가토 요시아키가 등장한다. '''하지만 작중 취급이 현실은 두 사람이''' '''야라레메카신세'''에 가토 기요마사는 울산성 전투 이후 공기화.
그나마 징비록에서 가토 기요마사가 주역 인물 중 하나로,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조연급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 가토 요시아키가 지나가는 말로 언급됨으로써 등장하였다. 물론 가토 기요마사는 잔혹한 개그캐릭터가 되었고,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역시나 야라레메카신세다.
일본 사극에서는 가토 기요마사와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히데요시와 세키가하라가 나오면 반드시 등장한다. 아무래도 말년이 그런지라 주인공이 되긴 힘들고, 주인공이 누구냐에 따라 비중이 달라진다. 다른 칠본창은 듣보잡. 카타기리 카츠모토는 예외로 오사카 전투에서 도요토미, 도쿠가와 사이의 중재를 맡아서 오사카 전투의 비중이 커질수록 그의 비중도 커진다.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의 경우 히데요리의 측근으로 가토, 후쿠시마보다 비중이 훨씬 높았다. 하지만 역사대로 도요토미측에서 버림받고 이에야스에게 협조했고, 히데요리가 죽은 후 따라 죽는다.
드라마 사나다마루에서는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등장하며 가타키리 가츠모토와 히라노 나가야스 또한 비중은 높지 않지만 쭉 등장한다. 히라노 나가야스는 히데요시의 경호와 오사카의 치안을 맡는 역할로, 가타키리 가츠모토는 외교관의 역할로 등장한다. 히라노야 그냥 가볍게 출연하는 느낌이지만 가타키리는 계속 등장한다. 물론 무게감은 가토, 후쿠시마와 비교할 수 없다. 도쿠가와 삼대와 달리 무게감도 없고 능력도 없지만 도요토미에 대한 충성심은 같다.
인풍전대 허리케인저의 적 세력인 우주인군 쟈칸쟈의 간부진들의 직위이자 칭호인 ~의 창의 모티브가 되었다. 아마 국내 기준으로 볼 때 나름 생소한 칠본창을 모티브로 한 대중매체중에선 제일 유명하지 않을까 싶다.
그나마 예외적인 경우를 꼽자면 라이트노벨 경계선상의 호라이즌에서는 기존의 칠본창 멤버에서 타케나카 한베에[6] , 이시다 미츠나리, 하치스카 고로쿠를 더한 하시바 히데요시의 사병부대인 십본창이라는 이름으로 전원 출연. 아무래도 세키가하라가 최종 무대로 예정되어 있다보니 후쿠시마 마사노리와 가토 기요마사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카타기리 카츠모토가 저 둘과 함께 묶여서 비중을 챙기는 중이다. 그 외 나머지 멤버들도 나름대로 얼굴을 비추는 편.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에서는 본문의 모티브가 되어 아시나라는 가상의 국가의 칠본창이 존재한다. 게임 내에서는 야마우치 시키부 토시카츠, 오니와 슈메 마사츠구 2명을 만날 수 있으며, 모두 플레이어들을 한 두 방에 삭제시킬 정도로 강력한 중간보스로 유명하다. 칠본창은 지금의 아시나가 세워지는 데 큰 공로를 세웠으나 지금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4. 그 외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칠본창으로 묶인 멤버들 이야기를 듣고는 '''"와키자카 따위랑 동급 취급이라니!"'''이라고 불쾌해 했다. 뒤에서 그런 것도 아니고 앞에서 대놓고 그랬다고 한다. 한국에서 필요 이상으로 유명한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당대 일본에서 어떤 대접을 받았는지 잘 보여주는 부분.
[1] 1582년 오다 노부나가 사망 후의 후계자 다툼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와 시바타 가츠이에 간에 벌어진 전투. 이 싸움은 히데요시의 승리로 끝나, 그가 명실공히 노부나가의 후계자로 올라서는 계기가 된다.[2] 일본만 그런 건 아니고 전근대 동아시아 문화가 다 그렇듯 중국에서부터 시작 됐다. 삼국지의 사마팔달이라든가 죽림칠현, 여말선초의 두문동 72현 전설 같은 것이 예시[3] 그러나 이런 이미지들의 다수는 에도시대 이후에 창작된 경우가 적지 않기에 이것이 당대의 창작이라 확신할 수는 없다.[4] 그나마도 의병장인 정문부와 곽재우에게 크게 패했고, 임진왜란 육군 마지막 전투인 울산성 전투에서는 울산성을 방어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조명연합군의 울산성 고립 전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다.[5] 물론 워낙 한가락 하던 인물들이라 당사자들에게 직접 숙청이 가해지진 않았고, 칠본창 본인들의 사후에 그들의 후손들에게 알음알음 보복성 압력이 가해져서 차츰 몰락했다.[6] 쿠로다 칸베에도 이중습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