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부

 


[image]
鄭文孚 표준영정(제77호/2005.4.26.지정)[1]
'''성명'''
정문부(鄭文孚)
'''본관'''
해주 정씨
'''출생'''
1565년 3월 20일
조선 한성부 남부 명철방 남소동계
(현 서울특별시 중구 쌍림동·장충동1·2가·광희동1·2가·을지로6가)
'''사망'''
1624년 12월 28일
조선 한성부
'''자'''
자허(子虛)
'''호'''
농포(農圃)
'''시호'''
충의(忠毅)
'''가족관계'''
친조부 정언각(鄭彦慤)
아버지 정신(鄭愼)
어머니 강릉 김씨
장남 정대영(鄭大榮)
차남 정대강(鄭大降)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의병장. 현대 사람들에게는 임진왜란 당시 북관대첩을 주도한 의병장 이미지로 기억되는 인물.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허(子虛), 호는 농포(農圃), 시호는 충의(忠義).

2. 생애


1565년(명종 20) 한성부 남부 명철방 남소동계에서 태어났다. 1585년(선조 18) 식년시 생원시 및 진사시 양시에 각각 2등 6위와 2등 15위로 급제하였고#@, 1588년 식년시 문과에 갑과 2위(아원)로 급제하였다#. 정문부는 문과에 급제했지만 관직은 정7품 무관직인 한성부참군으로 시작했는데 이후 1589년 홍문관 수찬을 거쳐 사간원정언 겸 중학교수(中學敎授)를 역임했다. 1590년 사헌부지평으로 지제교를 겸했으며 1591년 함경북도 병마 평사가 되어 북변의 여러 진(鎭)을 순찰하였다. 이 때의 관직은 정6품 무관직인 북평사.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로 피난한 임해군순화군의 잘못으로 인해 국경인, 국세필, 정말수 등은 이들을 오히려 사로잡아 가토 기요마사에게 넘기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함경도에 임관하고 있던 정문부는 이 사실에 격분해 의병을 일으켜[2] 경성회령에 주둔하고 있던 이들 무리를 처단했지만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정면으로 맞붙기에는 병력이 한참 모자랐다.
그러나 열세인 상황 속에서도 오히려 길주성을 포위하고 이후 왜군을 상대로 2차례 승리(석선령 전투, 길주 전투)를 거두면서 왜군이 함경도 지역을 퇴각하게 만드는 북관대첩을 이루게 된다. 이런 전과가 가능했던 것은 정문부의 지휘와 더불어 함경도에 모집한 의병들에 다수의 관군 출신들이 합심해서 가능했던 것이다.
북관대첩의 성과에 비해 정문부는 선무 공신에도 책봉되지 못했고 영흥부사로 승격된 것에 그쳤는데 이는 정문부의 공적을 확인하기 위해 찾아온 순찰사 윤탁연의 반대가 작용했다.
1599년 장례원 판결사와 호조참의를 겸했고 1600년 용양위 부호군이 되었다. 이후에도 예조참판, 장단부사, 안주목사 등이 되는 등 1615년까지 관직 활동을 겸했지만 북인정치 문란을 통탄하며 관직에 나서지 않았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복귀해 전주부윤이 되었고 1624년(인조 2) 부총관에 임명됐으나 병으로 관직을 받지 않았다. 이괄의 난이 발생하고 정문부가 지은 초의제의 시가 이괄의 난에 관련이 있다는 죄목으로 압송되어 옥사했다. 함경도 지방민의 송원으로 사후 신원이 복구되어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에 장군의 묘가 있다. 경기도 기념물 제37호.

3. 여담


  • 단종의 누이인 경혜공주와 혼인하였던 정종은 정문부의 6대조 정충석(鄭忠碩)의 형 정충경(鄭忠敬)의 아들이다.#[3]
  • 정문부의 업적을 기리는 북관대첩비북한 함경남도 성진시에 있다.
  • 정문부의 할아버지는 정언각이라는 자인데[4] 을사사화의 후속편인 정미사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정언각은 양재역 벽서 사건을 빌미로 대윤 세력을 일망타진했는데 그 과정에서 죽거나 쫓겨난 사람들이 을사사화 때보다 많았다. 이 때문에 정언각에 대한 민심은 나빠서 양재역 벽서 사건 자체도 정언각이 조작했다는 의심을 받았고 이후 정언각이 말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죽자 사람들은 '의로운 말(義馬)'이라며 칭찬했을 정도.
  • 문집으로 농포집이 있는데 정문부가 8살 때 지은 시가 남아 있다.

초승달 初月

그 누가 곤산의 옥을 쪼아다(誰斲崑山玉 수착곤산옥 )

직녀의 머리빗을 만들었던가(磨成織女梳 마성직녀소)

견우와 이별한 그날 이후로(牽牛離別後 견우이별후)

시름에 겨워 푸른 하늘에 던져버렸네(愁擲碧空虛 수척벽공허)


[1] 윤여환 교수가 그렸다. 가로 103cm, 세로 173cm / 견본수묵채색 / 의정부시 충덕사 봉안.[2] 다만 박시백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정문부가 북도병마사였는데 튀었다가 한 유생의 집에 숨어있다가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고 나온다. 하지만 감찰사인 유영립이 튀었다가 붙잡혀 왜군에 넘겨진 것과는 달리 본인은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고 하니 어느 쪽이든 인망은 있던 모양이다.[3] 정문부 문과방목·정문부 조부 정언각 문과방목·정문부 5대조 정침 문과방목 등을 통해 고증할 수 있다. 조선 시대 문과방목에는 필히 과거 급제자의 四祖(부·조부·증조부·외조부)를 기록하게끔 되어 있었다.[4] 정언각의 셋째 아들인 정신이 정문부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