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일본 레슬킹덤

 


레슬킹덤 테마곡
1. 개요
2. 여담
3. 역대 이벤트 항목


1. 개요


매년 1월 4일 도쿄돔에서 개최되는 이벤트로, 1년 중 가장 큰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이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각기 다른 이름이었다가 2005년까지는 1998년을 제외하면 레슬링 월드란 명칭이었다. 2007년부터는 레슬킹덤이란 명칭으로 흥행이 개최된다. RPW, ROH, CMLL 등의 해외 단체와 일본 타단체 소속 같이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제휴하는 단체에서 활동하는 프로레슬러들도 참전한다.[1]

2. 여담


  • 2020년 기준, 본 PPV의 메인이벤트에 가장 많이 출전한 선수는 타나하시 히로시다. 레슬킹덤으로 이벤트명이 바뀌기 전까지 포함해서 총 10회의 도쿄돔 메인이벤트를 장식했으며 레슬킹덤 10에서 오카다 카즈치카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승리한 진기록을 가지고 있다.
  • 레슬킹덤 8의 경우, 오카다 카즈치카 vs. 나이토 테츠야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2]와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의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매치[3]의 더블 메인이벤트로 기획되었으나 신일본 프로레슬링 사상 처음으로 팬투표를 통해 실질적 메인이벤트를 가리게 되었고,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의 경기가 메인이벤트로 결정되었다. 당시 선역이던 나이토 테츠야에 대한 관중들의 역반응이 심했기에 결정된 사항이었고 나이토는 악역 전환 이후 이걸 두고두고 깠다.[4] 이후 나이토 테츠야G1 클라이맥스 27을 우승한 이후 레슬킹덤 12에서 다시 한번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메인이벤트로 가지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케니 오메가크리스 제리코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더블 메인이벤트로 부킹되자 이 역시 강한 어조로 비판을 했다. 이에 챔피언십 당사자인 오카다 카즈치카는 자신이 다른 선수들하고 상대할 때는 그러지 않는데, 나이토 테츠야 하고만 맞붙으면 더블 메인이벤트로 부킹이 되는 건 신일본의 부킹 문제가 아니라 나이토 테츠야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일갈 하기도 하였다.
  • 본 이벤트의 개최일은 북미의 PPV와는 다르게 주중이든 주말이든 무조건 1월 4일로 고정되어 있다.[5]
  • 레슬킹덤 14의 경우 레슬킹덤 사상 최초의 2일 PPV로 진행된다. 기존에는 1월 4일에는 레슬킹덤 1월 5일에는 뉴 이어 대쉬 PPV를 코라쿠엔 홀에서 진행하는 방식이지만, 레슬킹덤 13 당일 현장에서 2019년 주요 일정과 2020년 레슬킹덤까지의 일정을 발표하면서 2020년은 1월 4일과 1월 5일 양일 경기로 진행하기로 공식 발표한다. 이에 따라 원래 1월 5일 코라쿠엔 홀에서 진행하는 뉴 이어 대쉬는 1월 6일 오오타구 종합 체육관에서 진행한다.

3. 역대 이벤트 항목


'''#'''
'''이벤트 명'''
'''일시'''
'''관중수'''
'''메인이벤트'''
'''1'''
슈퍼 워리어즈 in 도쿄돔
1992년 1월 4일
50,000
초슈 리키 vs. 후지나미 타츠미
'''WWF 월드 마셜 아트 챔피언십'''[6]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7]
'''2'''
판타스틱 스토리 in 도쿄돔
1993년 1월 4일
63,500
텐류 겐이치로 vs. 초슈 리키
'''3'''
배틀필드
1994년 1월 4일
48,000
텐류 겐이치로 vs. 안토니오 이노키
'''4'''
배틀 7
1995년 1월 4일
52,500
하시모토 신야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5'''
레슬링 월드 1996
1996년 1월 4일
54,000
무토 케이지 vs.타카다 노부히코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6'''
레슬링 월드 1997
1997년 1월 4일
62,500
하시모토 신야 vs. 초슈 리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7'''
파이널 파워 홀 in 도쿄돔
1998년 1월 4일
55,000
사사키 켄스케 vs. 무토 케이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8'''
레슬링 월드 1999
1999년 1월 4일
52,500
스캇 노튼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9'''
레슬링 월드 2000
2000년 1월 4일
53,500
텐류 겐이치로 vs. 사사키 켄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0'''
레슬링 월드 2001
2001년 1월 4일
52,000
사사키 켄스케 vs. 카와다 토시아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결승전[8]
'''11'''
레슬링 월드 2002
2002년 1월 4일
52,000
아키야마 준 vs. 나가타 유지
'''GH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2'''
레슬링 월드 2003
2003년 1월 4일
30,000
나가타 유지 vs. 조쉬 베넷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3'''
레슬링 월드 2004
2004년 1월 4일
40,000
나카무라 신스케 vs. 타카야마 요시히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9]
'''N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0]
'''14'''
토우콘 페스티벌: 레슬링 월드 2005
2005년 1월 4일
46,000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U-30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15'''
토우콘 시도우 챕터 1
2006년 1월 4일
31,000
브록 레스너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6'''
레슬킹덤 in 도쿄돔
2007년 1월 4일
18,000
무토 케이지 & 쵸노 마사히로
vs.
텐잔 히로요시 & 코지마 사토시
'''17'''
레슬킹덤 II
2008년 1월 4일
20,000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카무라 신스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8'''
레슬킹덤 III
2009년 1월 4일
27,500
무토 케이지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
레슬킹덤 IV
2010년 1월 4일
41,500
나카무라 신스케 vs. 타카야마 요시히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
레슬킹덤 V
2011년 1월 4일
42,000
코지마 사토시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1'''
레슬킹덤 VI
2012년 1월 4일
43,000
타나하시 히로시 vs. 스즈키 미노루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2'''
레슬킹덤 VII
2013년 1월 4일
29,000
타나하시 히로시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3'''
레슬킹덤 Ⅷ
2014년 1월 4일
35,000
나카무라 신스케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24'''
레슬킹덤 Ⅸ
2015년 1월 4일
36,000
타나하시 히로시 vs. 오카다 카즈치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5'''
레슬킹덤 X
2016년 1월 4일
25,204
오카다 카즈치카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6'''
레슬킹덤 XI
2017년 1월 4일
26,192
오카다 카즈치카 vs. 케니 오메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7'''
레슬킹덤 12
2018년 1월 4일
34,995
오카다 카즈치카 vs. 나이토 테츠야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8'''
레슬킹덤 13
2019년 1월 4일
38,162
케니 오메가 vs. 타나하시 히로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9'''
레슬킹덤 14
2020년 1월 4일
40,008
오카다 카즈치카 vs. 이부시 코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20년 1월 5일
30,063
오카다 카즈치카 vs. 나이토 테츠야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1]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12]
'''30'''
레슬킹덤 15
2021년 1월 4일
12,689
나이토 테츠야 vs. 이부시 코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2021년 1월 5일
7,801
이부시 코타 vs. 제이 화이트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1] 과거 TNA와 제휴 상태일 때는 TNA 소속 선수들이 참전하는 경우도 있었다.[2] 나이토 테츠야가 G1 클라이맥스 23에서 우승함으로써 권리증 획득[3] 챔피언인 나카무라 신스케의 지명[4] 회사에서 대놓고 IWGP 인터콘티넨탈 타이틀 경기를 밀어주면 보나마나 G1 클라이맥스 우승자인 본인이 1선 타이틀 매치도 세미 메인이벤트로 편성된다는 것에 불만을 가질테니 팬들에게 책임을 떠넘겼다는 식으로 나이토 테츠야가 말하곤 한다. G1 클라이맥스 25 예선전에서 G1 클라이맥스 25 우승자가 된 타나하시 히로시를 이겼기 때문에 G1 클라이맥스 우승 권리증을 가지고 있는 타나하시에게 나이토가 도전할 명분이 있있지만, 당시 악역이던 나이토 테츠야는 이에 관심조차 가지지 않은 채 '권리증을 따도 메인이벤트를 못해본 경험자니까 타나하시한테 이겨서 권리증을 뺏어와도 레슬킹덤 메인에 선다는 보장이 없다.', '만약 자신이 이기면 또 팬투표하자'는 식의 발언을 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모회사인 부시로드를 상대로 어그로를 끌었다.[5] 도쿄돔은 연말과 연초에 콘서트 등 예약된 스케쥴이 빼곡하기 때문에 날짜를 정해 대관하지 않는 이상 이벤트를 열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암흑기 때, 빈 좌석이 많은 상황에도 도쿄돔에서 꿋꿋하게 이벤트를 개최해준 유크스(부시로드 이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모회사)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는 팬들이 있다. 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경우에 일부 PPV는 날짜나 시기 등을 고정해놓고 별다른 변동없이 개최한다. 예를 들어 레슬링 돈타쿠의 경우에는 2009년 이후 모든 대회 개최 시기가 일본의 헌법기념일인 5월 3일(2018년부터는 5월 4일까지 양일로 열린다.)이고, 킹 오브 프로레슬링의 경우는 대회를 여는 시기가 매년 10월 둘째 주 월요일인 체육의 날이다.[6] 그레이티스트 18 챔피언십으로 불렸으며 당시 초슈 리키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7] 당시 후지나미 타츠미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8] 공석 상태가 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 경기 다수가 이 날 대회에서 열렸다.[9] 나카무라 신스케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10] 타카야마 요시히로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 이 경기 이후 NWF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통합되었다.[11] 오카다 카즈치카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12] 나이토 테츠야가 보유하고 있던 타이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