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를 당한 기체는
빨간색으로,
에어부산으로 넘겨진 기체는
파란색으로,
에어서울로 넘겨진 기체는
민트색으로 처리한다. 도입 순서대로 기체를 분류한다.
[image]'''AIRBUS A321-131, HL7588'''
[1][image]'''AIRBUS A320-232, HL7762''' -
히로시마 공항 사고기테일넘버
| 기종
| 시리얼넘버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말소일자
|
HL7588[2]
| A321-131[3]
| 771
| 1998년 1월 9일
| 1998년 3월 18일
| 2006년 4월 27일
|
HL7589
| A321-131[4]
| 855
| 1998년 10월 22일
| 1998년 12월 8일
| 2006년 5월 3일
|
HL7590
| A321-231
| 1060
| 1999년 7월 12일
| 1999년 8월 6일
| 2006년 3월 31일
|
HL7549
| A321-231
| 1293
| 2000년 8월 2일
| 2000년 8월 14일
| 2006년 8월 31일
|
HL7594
| A321-131
| 1356
| 2000년 11월 2일
| 2000년 11월 15일
| 2020년 8월 25일
|
HL7711
| A321-231
| 1636
| 2001년 11월 27일
| 2002년 1월 15일
| 2013년 11월 2일
|
HL7712[5]
| A321-231
| 1670
| 2002년 1월 24일
| 2002년 2월 26일 (1차 리스) 2011년 3월 26일 (2차 리스)
| 2009년 5월 9일 (1차 리스) 2014년 3월 31일 (2차 리스)
|
HL7713
| A321-231
| 1734
| 2002년 4월 25일
| 2002년 5월 17일
| 2014년 7월 12일
|
HL7722
| A321-231
| 2041
| 2003년 8월 22일
| 2003년 11월 3일
| 2015년 10월 3일
|
HL7723
| A321-231
| 2045
| 2003년 10월 13일
| 2003년 11월 17일
| 2013년 4월 1일
|
HL7729
| A321-231
| 2110
| 2004년 1월 8일
| 2004년 1월 29일
| 2015년 11월 16일
|
HL7730[특도]
| A321-231
| 2226
| 2004년 4월 20일
| 2004년 5월 14일
| 2016년 4월 19일
|
HL7731
| A321-231
| 2274
| 2004년 6월 1일
| 2004년 6월 25일
| 2016년 12월 5일
|
HL7735
| A321-231
| 2290
| 2004년 8월 30일
| 2004년 9월 17일
| 2016년 4월 1일
|
HL7744
| A320-232
| 2808
| 2006년 5월 30일
| 2006년 6월 23일
| 2014년 11월 7일
|
HL7745
| A320-232
| 2840
| 2006년 6월 29일
| 2006년 7월 25일
| 2014년 12월 30일
|
HL7753
| A320-232
| 2943
| 2006년 10월 19일
| 2006년 11월 13일
| 2012년 11월 1일
|
HL7761
| A321-231
| 1227
| 2000년 5월 9일
| 2007년 8월 2일
| 2012년 3월
|
HL7762[6] 아시아나항공 162편 활주로 이탈 사고 당시 기체
| A320-232
| 3244
| 2007년 8월 30일
| 2007년 10월 12일
| 2015년 4월 14일
|
HL7763[7]
| A321-231
| 3297
| 2007년 10월 30일
| 2007년 11월 13일
| 2017년 6월 1일
|
HL7767
| A321-231
| 802
| 1998년 3월 20일
| 2008년 4월 1일
| 2016년 12월 28일
|
HL7769
| A320-232
| 3437
| 2008년 2월 22일
| 2008년 3월 17일
| 2020년 3월 27일
|
HL7773
| A320-232
| 3496
| 2008년 4월 30일
| 2008년 5월 26일
| 2020년 8월 27일
|
HL7776
| A320-232
| 3641
| 2008년 9월 23일
| 2008년 10월 10일
| 2020년 8월 14일
|
HL7789
| A321-231
| 4112
| 2009년 11월 20일
| 2009년 12월 1일
| 2018년 11월 24일
|
HL7790
| A321-231
| 4142
| 2009년 12월 16일
| 2009년 12월 23일
| 2017년 7월 9일
|
HL8236
| A321-231
| 1174
| 2000년 2월 22일
| 2011년 1월 31일
| 2020년 2월 5일
|
HL8255
| A321-231
| 5035
| 2012년 2월 2일
| 2012년 2월 14일
| 2016년 6월 16일
|
HL8266
| A321-231
| 5350
| 2012년 10월 16일
| 2012년 11월 6일
| 2017년 10월 28일
|
HL8280
| A321-231
| 5767
| 2013년 9월 2일
| 2013년 9월 12일
| 2016년 9월 17일
|
HL8281
| A321-231
| 5774
| 2013년 9월 18일
| 2013년 10월 1일
| 2016년 10월 4일
|
초창기 도입했던
보잉 737의 포지션을 완전히 대체했다. 국내선과 저중수요 국제선 등을 전부 커버한다.
초기분은 기령 20년차가 되어가고 있다.
보잉 747만큼 수가 적은 것도 아니고, 2019년부터
A321neo를 인도받을 예정이기에 곧 교체될 예정이다. 사실 상기 기체들도 말이 퇴역이지, 10대 제외하고는 전부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로 옮겨갔다.
현재 A320-200의 퇴역이 진행중에 있다.
[image]'''
BOEING 737-48E, HL7513'''
[image]'''
BOEING 737-58E, HL7250'''
테일넘버
| 기종
| 시리얼넘버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말소일자
|
HL7251
| B737-4Y0
| 23869/1639
| 1988년 11월 15일
| 1988년 12월 5일
| 2003년 12월 15일
|
HL7252
| B737-4Y0
| 23976/1651
| 1988년 12월 6일
| 1988년 12월 21일
| 1996년 5월 23일
|
HL7253
| B737-4Y0
| 23977/1655
| 1988년 12월 13일
| 1989년 1월 5일
| 2004년 2월 17일
|
HL7254
| B737-4Y0
| 23978/1659
| 1988년 12월 22일
| 1989년 1월 12일
| 2004년 2월 26일
|
HL7255
| B737-4Y0
| 23980/1667
| 1988년 12월
| 1989년 1월 28일
| 1997년 3월 15일
|
HL7256
| B737-4Y0
| 24314/1680
| 1989년 2월 13일
| 1989년 2월 28일
| 1997년 3월 26일
|
HL7257
| B737-4Y0
| 24469/1749
| 1989년 7월 10일
| 1989년 7월 25일
| 2004년 7월 8일
|
HL7258
| B737-4Y0
| 24493/1751
| 1989년 7월 14일
| 1989년 7월 28일
| 2004년 7월 16일
|
HL7259
| B737-4Y0
| 24494/1757
| 1989년 7월 26일
| 1989년 8월 9일
| 2004년 4월 7일
|
HL7260
| B737-4Y0
| 24520/1803
| 1989년 12월 21일
| 1990년 1월 16일
| 2005년 1월 26일
|
HL7261
| B737-53A
| 24786/1898
| 1990년 7월 17일
| 1990년 8월 2일
| 1997년 9월 18일
|
HL7262
| B737-53A
| 24787/1900
| 1990년 7월 20일
| 1990년 8월 7일
| 1997년 9월 22일
|
HL7227
| B737-48E
| 25764/2314
| 1992년 6월 12일
| 1992년 7월 2일
| 2004년 7월 6일
|
HL7228
| B737-48E
| 25765/2335
| 1992년 7월 16일
| 1992년 7월 24일
| 2004년 7월 6일
|
HL7229[8]
| B737-5L9
| 24805/1878
| 1990년 6월 14일
| 1992년 11월 27일
| 1993년 7월 26일
|
HL7230
| B737-5L9
| 24778/1816
| 1990년 2월 21일
| 1993년 1월 15일
| 1998년 1월 14일
|
HL7231
| B737-48E
| 25766/2543
| 1993년 10월 15일
| 1994년 1월 10일
| 1998년 3월 1일
|
HL7232
| B737-58E
| 25767/2614
| 1994년 5월 10일
| 1994년 5월 25일
| 2008년 11월 28일
|
HL7235
| B737-4Q8
| 26308/2665
| 1994년 10월 18일
| 1994년 10월 31일
| 2003년 11월 23일
|
HL7233
| B737-58E
| 25768/2724
| 1995년 5월 6일
| 1995년 5월 19일
| 2008년 10월 6일
|
HL7250
| B737-58E
| 25769/2737
| 1995년 6월 29일
| 1995년 7월 6일
| 2008년 10월
|
HL7508
| B737-48E
| 25772/2791
| 1996년 4월 26일
| 1996년 5월 8일
| 2010년 2월 25일
|
HL7509
| B737-48E
| 28198/2806
| 1996년 7월 12일
| 1996년 7월 23일
| 2006년 8월 17일
|
HL7510
| B737-48E
| 25771/2816
| 1996년 9월 9일
| 1996년 9월 20일
| 2009년 3월 27일
|
HL7511
| B737-48E
| 27630/2848
| 1997년 1월 18일
| 1997년 1월 31일
| 2013년 2월 5일
|
HL7512
| B737-48E
| 27632/2857
| 1997년 2월 12일
| 1997년 2월 25일
| 2006년 6월 21일
|
HL7513
| B737-48E
| 25776/2860
| 1997년 2월 20일
| 1997년 3월 17일
| 2013년 2월
|
HL7517
| B737-48E
| 25774/2909
| 1997년 7월 15일
| 1997년 7월 25일
| 2009년 4월 21일
|
HL7518
| B737-48E
| 28053/2954
| 1997년 10월 29일
| 1997년 11월 18일
| 2006년 11월 16일
|
N826AL[9] 리스 계약 상 한국 테일 넘버를 부여 받지 못함 [10] 거의 모두가 알고 있듯이 아시아나항공은 B737-200을 도입한 적이 없다. 그 당시에는 B737-200기는 퇴역 중인 기종이고, 그 당시 아시아나항공은 A320과 A321을 줄차게 도입하는 중이었다. 많은 항공 포털 사이트 등에 표시가 되어 있으나, 이건 당시 이 항공기의 소유주였던 알로하 항공에서 꼼수를 약간 써서 그런 듯 하다.
| B737-282A
| 23051/1002
| 1983년 12월 9일
| 1998년 7월 19일
| 1998년 11월 10일
|
HL7591
| B737-4Q8
| 26291/2513
| 1993년 7월 27일
| 1999년 8월 14일
| 2005년 9월 1일
|
HL7592
| B737-4Q8
| 26320/2563
| 1993년 12월 14일
| 2000년 1월 17일
| 2010년 3월 15일
|
HL7527[11]
| B737-4Q8
| 26299/2602
| 1994년 4월 6일
| 2000년 4월 22일
| 2010년 4월 21일
|
HL7593
| B737-43Q
| 28492/2837
| 1996년 12월 6일
| 2000년 5월 4일
| 2005년 5월 9일
|
아시아나항공 극초창기에 굴리기 시작한 기재로, 주로 국내선, 단거리 국제선 등에서 굴렀다. 전량
보잉 737 클래식이다. 현재는 모두 퇴역했으며, 일부는
에어부산으로 송출되었다가 전부 퇴역했다.
아무래도 리스를 애용하는
아시아나항공이다 보니, 리스한 비행기가 참 많다. 중고 리스도 많고... 이 때문에 오래된 기재를 처분해도
대한항공과는 다르게 재정에 도움이 많이 안 된다는 게 함정. 그나마
아시아나항공이 직접 구매한 비행기는 1990년대 중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중에는 기체를 리스업체에 판 후 계약해서 계속 쓰는 뭔가 마법사 같은 운용도 보인다.
현재는 대체 기종인
A320을 절찬리에 쓰고 있고,
아시아나항공이 거의
에어버스빠로 전향했기 때문에 앞으로
보잉 737의 후속 바리에이션(
보잉 737 NG/
보잉 737 MAX)을 도입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에서 엔진 결함으로
보잉 737이 착륙 중 추락하자
CFM56 엔진이 장착된
보잉 737들이 비행금지를 당해 당시 꼬꼬마 항공사였던
아시아나항공은 반강제로 영업정지를 당했다.(...)
안습[12] 여담으로 양대 국적사가 주문한 A321neo에 달리는 엔진 역시 서로 다르다. 아시아나항공은 CFM LEAP이고, 대한항공은 PW1100G를 선택했다. 참고로 LEAP 엔진은 보잉 737 MAX에도 달리는 엔진이다.
[image]'''BOEING 747-48EF, HL7604''' - 2011년
제주도 근해에서 추락한 기체이다.
테일넘버
| 기종
| 시리얼넘버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말소일자
|
HL7414
| B747-48EM(BDSF)
| 25452/892
| 1991년 12월 5일
| 1992년 1월 7일
| 2017년 5월 7일
|
HL7416[13] 콴타스로 VH-OEB로 넘어갔고, 2019년 퇴역하였다. IMF 덕에 낮은 가격에 매물로 나와서, 콴타스가 시드니 올림픽의 수요에 대비하고 새로 들여올 400ER의 CF6 엔진의 성능을 점검할 겸 말레이시아 항공 B747-4H6 2대와 함께 인수되었다. 풀옵 콴타스 출고분과 달리 GPWS와 같은 기계장비 등이 빠져있어 더 가벼웠다. 그 덕에 Ugly Sister라고 불리었다.
| B747-48E
| 25778/983
| 1993년 6월 9일
| 1993년 6월 24일
| 1998년 5월 29일
|
HL7418[14] 1999년 -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임차기. 동시에 대한항공의 HL7402(747-4B5, 퇴역)도 같이 임차되어 번갈아 사용되었다.
| B747-48E
| 25780/1035
| 1994년 6월 23일
| 1994년 09월 22일
| 2020년 4월 6일[15]
|
HL7422
| B747-48EF
| 28367/1096
| 1996년 12월 12일
| 1996년 12월 18일
| 2006년 12월 2일
|
[16] 1997년 말 인도 예정이었으나 IMF 크리로 취소. 결국 1998년 2월 마라나로 옮겨졌고 1999년 9월 에어 나미비아로 매각 인도되었다. 현재는 두바이 왕실 소유 BBJ로 개조된 상태로 활동 중이다.
| B747-48EM
| 28551/1131
| 1997년 10월 7일
| -
| -
|
HL7426
| B747-48EF
| 27603/1210
| 1999년 4월 2일
| 1999년 4월 14일
| 2009년 4월 13일
|
HL7604[17] 아시아나항공 991편 화물기 추락 사고 당시 기체
| B747-48EF
| 29907/1370
| 2006년 2월 15일
| 2006년 2월 22일
| 2011년 7월 28일
|
본격적으로 아시아나의 장거리 국제선을 뚫은 기종. 한때는 아시아나의 플래그쉽 모델이었으나 현재는 A380에 넘겨주었다.
여객기들 가운데 HL7420번대는 IMF 당시 출고를 기다리던 항공기들이 일부 있다. 당시가 IMF 때라 대한항공도 사정은 비슷해서, 당시 롤아웃된 대다수 항공기의 인수대금조차 지불하지 못하다가 1998년 12월 30일에 임차 형식으로 간신히 인수했다. 지금은 퇴역한 대한항공의 HL7402가 그 당시 묶였던 기체다. 대다수가
모하비 공항에 방치되어 있다가 출고되었다고 하며, 이 중 HL7424(747-48EM)는
BCC 및 한국식 HL 등록번호까지 부여받고 출고만을 기다리다 아시아나가 주문을 취소해서
에어 나미비아로 매각되었다. 해당 항공기는 이후 아부다비 왕실과 모로코 정부에 매각되었다가 현재는 또 두바이 왕실에 매각되어 A6-DAW라는 등록번호를 달고 있다.
2016년 현재 기재 대부분의 퇴역 시기가 임박하였고, 일부는 당장 퇴역해야 할 기령인데도 아직까지 일선에서 뛰는 건 만성적인 기재 부족에서 기인한 마법사식 기재 운용과 포지션 대체 문제 등이 그 이유라 할 수 있겠다. 본래 이 기종들을 대체하기 위해
747-8F를 구매하려 하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주문이 취소되었고, 해당 주문 취소분들은 현재
에어브리지카고가 구매하였다. 레지는 VQ-BFU, VQ-BFE.
2019년 9월 이전까지 B744를 2대 운항했으나, HL7418이 퇴역하여 1대만 남았다. HL7428은 2023년쯤에 퇴역하고 화물기는 개조는 추후에 결정 할 듯 싶다.
[image]'''BOEING 767-38E/ER, HL7595'''
[18] 현재 이 기체는 콘도르 항공 의 D-ABUS - -로 절찬리에 운행하고 있다.
테일넘버
| 기종
| 시리얼넘버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말소일자
|
HL7263
| B767-38E
| 24797/328
| 1990년 8월 30일
| 1990년 9월 27일
| 2005년 5월 2일
|
HL7264[19] 아시아나항공 833편 기체 파손 사고 당시 기체
| B767-38E
| 24798/331
| 1990년 9월 21일
| 1990년 10월 5일
| 2003년 9월 25일
|
HL7247[20] 2019년 1월 31일 제주발 김포행 노선을 끝으로 퇴역했고 동년 2월 9일에 인천으로 이동되었으며 이후 기체 기령이 너무 오래돼서 해체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련 뉴스.
| B767-38E
| 25757/523
| 1993년 11월 2일
| 1994년 1월 31일
| 2019년 11월 13일
|
HL7248
| B767-38E
| 25758/582
| 1995년 6월 7일
| 1995년 7월 12일
| 2021년 1월 29일
|
HL7266
| B767-38E/ER
| 25347/399
| 1991년 10월 21일
| 1991년 11월 7일
| 1998년 12월 18일
|
HL7267
| B767-38E/ER
| 25404/411
| 1992년 1월 9일
| 1992년 1월 24일
| 1998년 9월 19일
|
HL7268
| B767-38E/ER
| 25132/417
| 1992년 2월 10일
| 1992년 2월 24일
| 1998년 5월 21일
|
HL7269
| B767-3Y0/ER
| 26206/487
| 1993년 3월 26일
| 1993년 5월 3일
| 1998년 3월 5일
|
HL7286
| B767-3Y0/ER
| 26207/503
| 1993년 6월 23일
| 1993년 7월 21일
| 1998년 3월 19일
|
HL7249
| B767-31B/ER
| 26265/570
| 1995년 3월 7일
| 1995년 3월 17일
| 2002년 4월 10일
|
HL7505
| B767-324/ER
| 27394/572
| 1995년 3월 21일
| 1995년 11월 10일
| 1998년 4월 21일
|
HL7595
| B767-38E/ER
| 30840/829
| 2001년 2월 27일
| 2001년 3월 23일
| 2005년 1월 31일
|
HL7200
| B767-328/ER
| 27212/531
| 1994년 2월 7일
| 2001년 5월 2일
| 2006년 1월 27일
|
아시아나가 보잉 747을 도입하기 전까지 돈을 벌어오던 기재이다. 현재는 중단거리 국제선 등에 투입중.
아시아나의 초기 성장시기에 대부분 리스로 들어온 기체들이다.
[21] 지금도 아시아나는 직접 돈 주고 기재를 사는 일은 드물고, 리스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신기재를 들여오는 일이 다반사이다.
위 리스트에서
IMF 사태가 있었던 1998년 기체들이 다량 빠져나간 이유가 아시아나의 파산에 대비해 타 항공사매각 리스업체가 발을 빼려 한 것이었다는 말이 있다.
노후화로 인해 A330, A350에 자리를 물려주고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늦어도 2020년대 중반에는 전 기재 퇴역 예정... 이였으나 2021년 현재도 김포 - 제주 구간을 다니고 있다(...)
[image]'''BOEING 777-28E/ER, HL7500'''
[image]'''BOEING 777-28E/ER, HL7742'''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사고 기종.
테일넘버
| 기종
| 시리얼넘버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말소일자
|
HL7596
| B777-28E/ER
| 28681/396
| 2001년 1월 29일
| 2001년 2월 14일
| 2017년 11월 10일
|
HL7597
| 28686/359
| 2001년 8월 20일
| 2001년 8월 30일
| 2018년 1월 31일
|
HL7500
| 28685/400
| 2002년 4월 18일
| 2002년 4월 29일
| 2015년 9월 18일
|
HL7742[22]
| 29171/553
| 2006년 2월 25일
| 2006년 3월 7일
| 2013년 7월 6일
|
중장거리를 커버한다. 마법사식 운용의 주 희생양이지만 현재로서 딱히 대체할 비행기는 마땅찮고
[23] 그나마 지금 비슷한 노선을 분담 중인 보잉 747-400의 경우 기령이 대부분 20년을 넘었기 때문에 교체가 시급하다. 일단 747은 여객용으로는 2대 남았고 그 중 한대는 아시아나에, 나머지 한 대는 대한항공에 남아있으며 후자는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로 임차되어있다. 777을 1대1로 대차할 수 있는 포지션으로 A350이 몇 대 들어와있지만 현역으로 다니는 777들을 모조리 대차하기엔 아직 댓수가 모자라고, 취항지는 많아서 완전 대체는 어려울 수도 있긴 하다.
, 굴리는 비행기 중 그나마 비슷한 체급이
A330 정도밖에 없어서
[24] A330neo가 출시되면 모를까, 지금의 A330은 보잉 777에 상당히 뒤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게다가 아시아나항공에는 항속거리가 짧은 300형밖에 없다. 그렇지만 A330neo 역시 효율성이 좋은 편은 아니라서 아시아나항공이 선택하지 않았다. 항속거리도 A330neo는 많이 나아지지 않은 데 비해, A350은 항속거리가 꽤 나온다. 엔진을 트렌트만 써서 그렇지...
계속 구르고 있다. 사실
A330은 정확히 말하자면
보잉 767과 더 비슷한 체급이긴 하지만...
대체 계획은 없지만, 도입된
A350이 어느 정도 스케줄을 분담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좀 여유가 생길 듯. 보유한 9기의 실내를
A350 사양에 준하게 개량하여 더 운영할 예정이었지만 일부 기재는 구형 좌석에 좌석수만 추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런던 등 노선에
A350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A350이 777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25] 실제 에어버스도 777 견제용으로 A350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