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9년/본선

 



1. 개요
2. 본선
2.1. 본선 진출 캐릭터 목록
2.2. 연속 본선진출 캐릭터
2.3.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2.4.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이외 순위권)
2.5. 이전회 애캐토 예선 탈락자 중 첫 본선진출 캐릭터
2.6. 본선 결과
2.6.1. 32강 (12월 12일 ~ 12월 15일)
2.6.2. 17강 (12월 16일 ~ 12월 18일)
2.6.3. 8강 (12월 19일 ~ 12월 22일)
2.6.4. 4강 (12월 23일 ~ 12월 25일)
2.6.5. 3위 결정전, 결승전 (12월 26일 ~ 12월 30일)
2.7. 최종 결과
2.8. 이야깃거리
2.8.1. 32강
2.8.2. 17강
2.8.3. 8강
2.8.4. 4강
2.8.5. 3, 4위전, 결승전


1. 개요



2. 본선


전년도 마찬가지로 32강은 월드컵 조별리그 형식으로, 16강 또한 4인 1조 조별리그로 치뤄지고 8강부터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또한 16강은 32강과 달리 1표만 행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

2.1. 본선 진출 캐릭터 목록


(가나다 순)
(3차 예선 최다 득표 순위)
  • 1위: 사쿠라지마 마이 (405표)
  • 2위: 헤스티아 (359표)
  • 3위: 유우키 아스나 (331표)
  • 4위: 렘 (330표)
  • 5위: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 (308표)
  • 6위: 아즈사가와 카에데 (299표)
  • 7위: 리무루 템페스트, 토오사카 린 (298표)
  • 9위: 이슈타르 (296표)
  • 10위: 마키노하라 쇼코 (291표)
  • 11위: 센코 (287표)
  • 12위: 라프타리아 (283표)
  • 13위: 아쿠아 (265표)
  • 14위: 마토 사쿠라 (257표)
  • 15위: 필로 (255표)
  • 16위: 소류인 아케미 (254표)
  • 17위: 세이버 얼터 (251표)
  • 18위: 슈나 (249표)
  • 19위: 에밀리아 (240표)
  • 20위: 오시노 시노부, 토야마 카스미 (237표)
  • 22위: 유에 (234표)
  • 23위: 쿠로사와 루비 (233표)
  • 24위: 토키사키 쿠루미 (232표)
  • 25위: 마슈 키리에라이트 (229표)
  • 26위: 길가메시, 나카노 미쿠 (223표)
  • 28위: 사토 카즈마 (221표)
  • 29위: 벨 크라넬 (208표)
  • 30위: 미나토 유키나 (207표)
  • 31위: 라이네스 엘멜로이 아치조르테 (202표)
  • 32위: 히메라기 유키나 (189표)

2.2. 연속 본선진출 캐릭터


  • 세이버: 6회 (13, 14, 15, 17, 18, 19)
  • 오시노 시노부: 6회 (13, 14, 15, 16, 17, 19)
  • 유우키 아스나: 5회 (13, 14, 17, 18, 19)
  • 헤스티아: 3회 (15, 17, 19)
  • 렘: 2회 (16, 19)
  • 에밀리아: 2회 (16, 19)
  • 마토 사쿠라: 3회 (17, 18, 19)
  • 쿠로사와 루비: 2회 (17, 19)
  • 리무루 템페스트: 2회 (18, 19)
  • 사쿠라지마 마이: 2회 (18, 19)
  • 아즈사가와 카에데: 2회 (18, 19)
  • 슈나: 2회 (18, 19)
  •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 2회 (18, 19)

2.3.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 유우키 아스나 (1회 애캐토 10위, 2회 애캐토 6위, 5회 애캐토 6위, 6회 애캐토 7위)
  • 오시노 시노부 (1회 애캐토 8위, 3회 애캐토 4위, 4회 애캐토 준우승, 5회 애캐토 8위)
  • 토오사카 린 (2회 애캐토 준우승, 3회 애캐토 7위, 5회 애캐토 7위)
  • 렘 (4회 애캐토 우승)
  • 에밀리아 (4회 애캐토 3위)
  • 쿠로사와 루비 (5회 애캐토 5위)
  • 사쿠라지마 마이 (6회 애캐토 3위)
  •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 (6회 애캐토 4위)

2.4. 이전회 애캐토 본선진출 캐릭터(TOP 10 이외 순위권)


  • 토키사키 쿠루미 (2회 애캐토 16강)
  • 마토 사쿠라 (5회 애캐토 16강, 6회 애캐토 32강)
  • 세이버 (5회 애캐토 16강, 6회 애캐토 16강)
  • 리무루 템페스트 (6회 애캐토 32강)
  • 아즈사가와 카에데 (6회 애캐토 16강)
  • 슈나 (6회 애캐토 32강)

2.5. 이전회 애캐토 예선 탈락자 중 첫 본선진출 캐릭터


  • 벨 크라넬 (3회 애캐토 3차 예선, 5회 애캐토 1차 예선)
  • 히메라기 유키나 (5회 애캐토 3차 예선)
  • 마키노하라 쇼코 (6회 애캐토 1차 예선)

2.6. 본선 결과



2.6.1. 32강 (12월 12일 ~ 12월 15일)


굵은 글씨는 16강 진출 캐릭터.

2.6.2. 17강 (12월 16일 ~ 12월 18일)


굵은 글씨는 8강 진출 캐릭터.

2.6.3. 8강 (12월 19일 ~ 12월 22일)


굵은 글씨는 4강 진출 캐릭터.

2.6.4. 4강 (12월 23일 ~ 12월 25일)


굵은 글씨는결승 진출 캐릭터.

2.6.5. 3위 결정전, 결승전 (12월 26일 ~ 12월 30일)


굵은 글씨는 우승 캐릭터.

2.7. 최종 결과




2.8. 이야깃거리



2.8.1. 32강


1~3차 예선 최다 득표자 사쿠라지마 마이는 헤스티아,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602표)에 이은 577표로 전체 3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마이가 이번엔 렘, 토오사카 린, 아쿠아와 한조에 배치되는 죽음의 조에 걸렸고 헤스티아와 앨리스가 상대적으로 널널한 조에 배치되었기에 가능한 결과. 마이가 그 렘까지 여유롭게 제치고 죽음의 조를 1위로 통과했기에 여전히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다.
  • 이번 32강은 작년 이상으로 죽음의 조가 많았다. S급 전력이 한꺼번에 포진된 3, 4조와 비슷한 A급 전력이 포진된 2, 6, 8조가 누가 올라갈지 감히 잡히지않았고 실제로 재작년 결승전을 방불케할 정도로 표차가 고작 몇십표로 갈릴 정도로 치열했던 것. 특히 2조는 얼마나 치열했다면 한조에 3명이 진출하는 전대미문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그래서 16강은 D조가 5인 1조로 편성되었다.
  • 타입문 진영(사건부, 페그오, 헤븐즈 필)은 예선까지 승승장구하다가 본선 32강에서 최대 피해자인 아이돌 진영 다음으로 손실을 입었다. 헤븐즈 필의 세이버 얼터만 필로를 제치고 헤스티아에 이어 1조 2위로 16강 진출했으며 6조에서 유력한 16강 진출 후보였던 이슈타르는 마키노하라 쇼코와 미쿠에 막혔고 8조의 마슈 키리에라이트와 2조 라이네스 엘멜로이 아치조르테도 경쟁자들에 밀려 조 최하위로 퇴장했다.
  • 남캐들은 4명 가운데 무려 3명이 16강에 진출했다. 7조의 리무루 템페스트는 무난히 1위로 진출했으며 2조의 벨 크라넬은 소류인 아케미와 행운의 공동 2위로 첫 본선에 16강까지 가는 쾌거를 달성했다. 키리토가 3차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마츠오카 요시츠구의 새로운 별로 급부상. 5조의 사토 카즈마도 유력 2위 후보인 라프타리아를 제치고 다크니스와 동일 성우인 앨리스와 함께 진출하는 이변을 그려냈다. 하지만 길가메시는 센코의 벽을 넘지못해 아쉽게 혼자 탈락했다.
  • 센코, 소류인 아케미 등 동화공방 표 일상물 캐릭터들의 선전이 돋보였다. 이 둘은 모두 16강에 진출하였고 재작년 도마 우마루에 이어 동화공방 출신으로서 또한번 TOP 10까지 노려본다.
  • 반대로 아이돌 진영은 이번 애캐토 최대 피해자로 남았다. 그나마 타입문은 세이버 얼터라도 16강에 올려보냈으나 이쪽은 단 한명도 16강 진출자가 없었다. 안그래도 재작년보다 더 약해진 러브라이브 선샤인은 올해 마지막 출전에서 요우와 리코가 3차 예선에 탈락하고 재작년 5위 루비만 간신히 본선에 들었지만 길가메시에게까지 밀리면서 조 최하위로 탈락, 눈물을 흘리며 쓸쓸히 이번 선샤인의 마지막 애캐토를 마감했다. 뱅 드림의 본선 진출자 2명인 카스미와 유키나의 경우는, 유키나는 애당초 아스나, 에밀리아, 사쿠라와 한 조라 가망이 없었고 카스미는 그나마 진출의 가능성이 있었지만 토키사키 쿠루미에게 밀려 둘 다 3위로 탈락, 올해는 2014년부터 줄곧 TOP 10에 들었던 아이돌 진영이 32강에서 모두 살아남지못하고 전멸하는 배드 엔딩으로 끝났다.
  • 토키사키 쿠루미는 데어라의 에이스답게 다시한번 16강에 진출했다. 5년전에는 32강[1]에서 야토가미 토카와의 팀킬로 16강에 진출했지만 우승자 사쿠라 치요에게 막혀 떨어진 적이 있었다. 이번 32강에는 마슈 키리에라이트, 토야마 카스미와 한조에 배치되어 어려운 경쟁이 예상되었으나 데어라가 아무리 작붕으로 욕먹어도 쿠루미의 팬덤은 여전히 굳건함을 확인시켰다.
  • 청춘돼지는 본선에 올라온 3명 모두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해 최강 진영의 면모를 굳혔다. 이제 본선 구도는 최강 우승 후보 사쿠라지마 마이 vs 소아온(앨리스, 아스나) vs 이노링(헤스티아, 렘) 3파전으로 굳혀졌다. 비록 렘이 마이에게 밀려 조 2위로 통과했지만 1대1 토너먼트가 변수.[2]

2.8.2. 17강


  • 죽음의 조가 많았던 32강과 다르게 17강은 팀킬이 많았다. 특정 진영의 독식을 막기위한 용도였고 B조에 앨리스와 아스나, C조에 마이와 쇼코가 한조에 배치되었다. 그 결과 아스나는 이번에도 앨리스와의 히로인 경쟁에서 패하여 16강 탈락, 2013년 1회 대회에 이어 10위로 대회를 마감했다.[3] B조 2위는 에밀리아.[4] 한편 C조에서는 쇼코가 의외로 최하위로 탈락하면서 팀킬의 희생양이 되었다.[5]
  • 17강에 올라온 남캐 3명 모두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나마 A조 3위 리무루 템페스트가 9, 10위에 들 정도의 표수를 쌓았으나, 분야가 많은 이번에는 10위까지 집계 자체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쉽게 등수에 들지 못했다. 애초에 17강이라 D조에 1명 더 많게 배치됐기 때문에 단순한 표수 비교로는 리무루가 10위 안에 확실히 들었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6]
  • 에밀리아와 렘은 3년만에 다시 8강에 복귀했지만 둘 다 우승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 각각 8강 상대가 헤스티아와 사쿠라지마 마이고 렘의 경우는 16강에서 아즈사가와 카에데에게 1위 자리를 빼앗겼기때문에 타케우치P나 카후우 치노같은 기적을 바랄수밖에없다. 만약 에밀리아와 렘이 4강에 오르면 3년전처럼 둘이 다시 맞붙는다. 3년전에는 렘이 압도적인 스코어로 에밀리아를 제치고 결승에서 키스샷(오시노 시노부)를 꺾고 우승했지만 콰르텟에서는 에밀리아가 전체적으로 비중과 화력이 높고 2020년에 방영할 2기도 렘의 비중이 거의 없거나 마찬가지로 에밀리아가 유리하다.
  • 토키사키 쿠루미는 5년전 16강에 머물렀으나 올해는 8강까지 진출하는 작품과 별개로 두터운 캐릭터 팬덤의 저력을 재확인시켰다. 8강은 아즈사가와 카에데와 맞붙는데 해볼만한 대진으로 잘하면 4강까지 노려볼 수 있을듯.
  • 2015, 2017 대회 모두 16강에 머물렀던 헤스티아도 8강에 진출했다.
  • 청춘 돼지는 팀킬로 마키노하라 쇼코가 탈락한 것외에 2명 모두 각조 1위로 무난히 8강 진출했다. 32강에서는 죽음의 조 편성으로 헤스티아에게 전체 득표 1위를 넘겨줬지만 17강에서 다시 차원 다른 화력을 선보였는데 다른 8강 진출자는 176표의 쿠루미를 제외하고 모두 200표대 초반이고[7] 그나마 앨리스는 281표지만 마이 혼자만 394표를 휩쓸었다. 쇼코와의 팀킬에도 한쪽이 일방적으로 희생된 결과. 이때문에 마이의 우승이 벌써부터 점쳐지고 있으며 극장판이 출전하지 않는 주제가 상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상(캐릭터, 커플, 작품)까지 휩쓸 가능성이 무엇보다 더 크다.

2.8.3. 8강


  • 16강에서 남캐 3명이 모두 탈락하면서(그나마 리무루가 9위) 8강은 여캐들로만 채워졌다. 작년에는 키리토가 8강에 진출했지만 그마저도 상대가 카토 메구미라 바로 탈락.
  • 이세계 콰르텟 대표 2명인 에밀리아와 렘은 결국 8강에서 고배를 마셨다. 에밀리아는 헤스티아에게 44표차로 석패하면서 3년전에 이어 다시한번 이노링 캐릭터를 만나 탈락하였다.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렘은 10분짜리 단편에서의 너무나 적은 비중이라는 한계를 끝내 극복 못하고 무참히 털리면서 8강 진출자 중 가장 낮은 득표를 기록, 8위로 마감했다. 뿐만 아니라 케미 투표 8강에서도 스바루 & 렘 커플이 사쿠타 & 마이 커플에게 대패하면서 청춘 돼지 무쌍의 최대 피해자로 남았다. 렘이 32강에서도 마이와 한조가 되었고 마이에 밀려 힘들게 2위로 진출했는데 16강에서도 마이보다 한 수 아래로 평가받는 카에데에게도 밀려 2위 진출한 것만으로도 한계가 뚜렸했고 결국 순수 화력 싸움인 1:1 토너먼트에서 예상보다 너무 비참하게 무너졌다. 3년전 리제로 1기에서는 렘이 우승, 에밀리아가 3위였는데 이번엔 에밀리아가 5위, 렘이 8위로 두 캐릭터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참고로 1차 예선에서도 에밀리아(2위)가 렘(3위)보다 앞섰다.(1차 예선 1위 메구밍은 3차 예선에서 광탈.)
  • 또 다른 이변의 주인공이었던 토키사키 쿠루미는 이번에 8강까지 진출하여 개인 커리어를 갱신했지만 청춘 돼지 2인자인 아즈사가와 카에데의 벽을 넘지못하고 아쉽게 탈락해 최종 6위로 대회를 마감지었다. 그러나 우승은 바라지 않았고 TOP10에 든 것만으로도 만족할 성과를 거두고 멋지게 퇴장했다.
  • 2015, 2017 대회에서 모두 16강에 그친 헤스티아가 이번엔 4강까지 진출하여 원조 이노링의 자존심을 지켰다. 물론 4강은 상대가 유력한 우승 후보 마이라 한계겠지만 당초 목표는 우승이 아니라 3위안에 들어 VOD 무료 개방 혜택을 받는 것이다.
  • 청춘 돼지는 8강에 올라온 2명 모두 4강에 진출하면서 작년 사에카노 못지 않은 한풀이 무쌍을 계속 벌이고 있다. 캐릭터상, 커플상, 작품상 3관왕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고 캐릭터 부분에서 마이는 무난히 결승에 오르겠지만 카에데는 또 다른 결승 유력 후보 앨리스를 만났으므로 팀킬 결승이 나올 가능성은 적은 상태다.
  • 이 경기로, 종합 캐릭터 인기 투표 계열에서 마이을 상대로 전적이 4:0이 되며, 역대 모토에서 렘에 대한 대표적인 카운터가 되었다.[8]
  • 1조부터 4조까지 진출자는 전원 왼쪽에 있는 캐릭터다.

2.8.4. 4강


  • 사쿠라지마 마이는 캐릭터 부문뿐만 아니라 커플에서도 8강 렘에서 4강 헤스티아까지 완파하면서 이노링 킬러로 자리매김했다.
  • 작년에 3, 4위전에서 맞붙었던 마이와 앨리스가 이번엔 결승에서 맞붙게되었다. 사실 작년에 사에카노만 아니었다면 이 둘이 결승에서 만났을 것이다.

2.8.5. 3, 4위전, 결승전


  • 마이는 애캐토까지 석권하며, 단 16개월만에 모에 토너먼트 V6을 달성했다. 고로 올해 V10의 을 끝까지 몰아붙이며, 19년 우승좌를 양분하게 되었다. 또한 로얄로더 우승 징크스를 타파한 첫 주인공이자, 두 번째 극장판 우승의 주인공으로 남게 되었다.[9]
  • 카야농은 연기한 캐릭터들 중 2013년, 2018년, 2019년 3명이 준우승을 기록하며 애캐토의 새로운 성우 콩라인으로 떠올랐다.
[1] 당시는 32강부터 토너먼트제였다.[2] 2017년 대회의 렘과 같은 성우카후우 치노가 마이마냥 결승 진출전까지 최다 득표를 획득한 칸나 카무이를 꺾은 것처럼 우승할 가능성도 남아있었지만 8강에서 마이에게 참패했다.[3] 사실 이번엔 캐릭터 TOP 10 공식 집계를 하지 않아 아스나가 TOP 10에 들었다고 단정지을 수가 없다.[4] 32강 3조에서 아스나와 한조였는데 그때 아스나에게 밀려 2위로 16강 진출했지만 이번엔 팀킬의 희생양이 된 아스나를 제치고 8강에 올라갔다.[5] 쇼코는 같은 조의 남캐인 벨에게조차 밀렸으며, 조 전체 기준으로 쇼코가 받은 표는 뒤에서 세 번째로 매우 처참한 표수다. 게다가 아케미의 경우에는 D조가 5명 배정이라 표수가 더 분산된 결과이기에 사실상 뒤에서 두 번째다. 그에 비해 마이는 조 전체 기준 압도적인 1위다. 아무래도 기존에 쇼코를 찍어주던 사람들 대다수가 마이에게로 몰린 모양.[6] 또한 이번 애캐토는 유일하게 캐릭터 TOP 10 공식 집계를 아예 하지 않았다![7] D조가 5명이라 표가 다른 조보다 더 분산됐다는 걸 감안해도 마찬가지.[8] 반면, 바이올렛과는 질긴 악연으로, 해외 대회 상대 전적 1:3으로 크게 고전하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렘은 마이에게 숱한 좌절을 안겨 준 바이올렛을 상대로 상대 전적 3:1의 우위라는 것. 캐릭터 랭킹에서도 바이올렛이 5위, 마이가 7위다. 참고로 1위는 크레토스.[9] 그러나 마이는 국사모 우승을 인간 상성에게 뺏기고, 사쿠타와 출전한 커플 부문에서 뱅드림 사요 - 히나 듀오에게 우승좌를 내주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