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반

 



[image]
아르메니아 민족의 영산, 아라라트 산을 배경으로 한 예레반.
[image]
예레반의 심장부인 공화국 광장(Հանրապետության հրապարակ). 소련 시절에는 레닌 광장으로 불리었다. 왼쪽 건물은 역사박물관과 국립미술관이 입주한 박물관이고, 오른쪽 건물은 아르메니아 정부제1청사.[1]
아르메니아어:Երևան
영어:Yerevan
러시아어:Ереван
1. 개요
2. 역사
3. 예레반 지하철
4. 관광
5. 여담


1. 개요


아르메니아의 수도이다. 1918년 수도가 되었고, 아르메니아 역사상 열세번째 수도라고 한다. 인구는 약 110만 명으로 아르메니아 인구의 1/3 가까이가 거주한다.
평균적으로 해발 1,000m의 고지대에 해당한다. 아르메니아를 유럽 국가로 본다면 유럽에서 두 번째로 높은 고도에 있는 수도이다.[2] 기후는 대륙성 스텝 기후이다. 기온만 놓고 보면 서울보다 여름에 약간 덥고 겨울에 약간 추운 정도다. 단 강수량은 연간 318mm 정도로 건조하며, 서울과 정반대로 지중해성 기후에 가까운 강수패턴을 보이므로 여름은 체감적으로 시원하고 겨울에 비나 눈이 자주 내린다.
위 사진과 같이, 날씨가 좋으면 민족의 영산 아라라트 산이 보인다. 이 산은 현재 터키 땅이 되었다. 그래서 여길 성지로 받아들이는 아르메니아로서는 두고두고 아쉽게 생각하지만, 사진처럼 예레반과 이 산은 무척 가깝기 때문에 터키에게 이갈면서도 아르메니아가 함부로 나오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시다시피 아라라트 산에서 터키군이 포탄만 날려도 예레반은 불바다가 된다.[3] 그래서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과 전쟁당시 아제르바이잔의 강력한 우방인 터키군을 두려워했고 현재까지도 러시아와 긴밀한 우호를 맺으며 러시아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시내 교통으로는 버스, 무궤도전차, 지하철이 있다. 과거에는 노면전차도 운행되었으나 2003년 폐선되었다.

2. 역사


기원전 782년에 우라르투 왕국의 6대 왕인 아르기슈티 1세의 명으로 쐐기문자로 기록된 비문에 근거해 이 무렵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때의 도시는 에레부니(Erebuni)라는 유적으로 남아있고, 이후 페르시아의 지배와 이슬람 제국의 지배를 거쳐 이란과 오스만 제국이 번갈아가며 차지하면서 현재의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예레반의 어원은 터키어로 큰 (Erivan, İrəvan)이란 뜻으로 18세기 말엽까지만 해도 아제르바이잔인, 페르시아인이 인구의 절대다수를 구성하던 도시였다. 17세기 유럽에서 온 여행자들의 기록들 보면 예레반의 인구는 거의 다 무슬림이라는걸 알 수 있다. 하지만 1827년 10월 6일 러시아 제국의 이반 파스케비치가 예레반을 점령하고, 이후 페르시아와의 튀르크멘차이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예레반은 러시아에게 넘어가게 되었다.
1827년 점령당시 예레반은 소도시 규모로 2400여호에 대략 12000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 중 일부가 점령후 러시아의 박해로 인해 이란과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으며, 1829년 4월에 실시된 인구조사에서 예레반에 거주하는 아제르바이잔인(당시에는 타타르라고 부름)의 숫자는 1807호 7331명이었고, 아르메니아인은 567호 2379명이었다. 러시아는 예레반을 중동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군사중심지로 만들고자 했고 자국내에 들어와있던 아르메니아인들을 집중적으로 이주시키는 반면, 아제르바이잔 인구를 다른 지역으로 쫓아내었다. 그리하여 1880년에 실시된 인구조사에서는 총 2880호, 12449명의 인구중 6,293명이 아제르바이잔인, 5,975명이 아르메니아인으로 거의 1:1 비율이 되었다.
그리고 1905-1906년 사이에 러시아의 혼란을 틈탄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들의 선동으로 예레반을 포함한 바쿠, 엘리자벳폴(갠재), 트빌리시에서 반무슬림 폭동과 대학살이 벌어지면서 예레반에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 인구가 크게 줄었다. 여기에 아르메니아 대학살로 오스만 제국 국경과 인접한 예레반 일대에 아르메니아인 대략 35만명이 정착하고, 1917년 11월 볼셰비키 혁명으로 예레반과 아르메니아 지역의 러시아군이 철수하자 아제르바이잔인, 터키인, 쿠르드인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다. 지금은 터키령이지만 1차 세계대전 당시 러시아군이 점령하던 에르주룸과 카르스, 그리고 지금의 아르메니아령인 예레반과 잔게주르 지방에서 특히 학살규모카 컸고 이렇게 해서 예레반을 포함한 현대 아르메니아 전체에서 아제르바이잔 인구가 전멸하게 되었다. [4] 또한 중세시기에 세워진 페르시아, 아제르바이잔의 궁전과 모스크들은 러시아 제국 지배기와 소련시대를 거치면서 거의 파괴되어 흔적조차 보기 힘든 상황이다.

3. 예레반 지하철


[image]
1호선 예리타사르다칸 역
예레반 지하철은 1개 노선 10개 역(13.4km 길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소련 스타일 지하철이다. 첫 구간은 1981년 개통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연장은 1996년에 있었다.
예레반 지하철에 얽힌 비화가 있다. 소련에서는 인구 100만 이상 되는 도시에 지하철을 짓고, 그 이하 도시에서는 노면전차를 확장하는 정책을 취했는데, 1970년대말 예레반의 인구는 100만을 갓 돌파한 시점이었다. 당시 아르메니아 SSR의 제1서기 카렌 데미르치얀[5]레오니트 브레즈네프를 설득하기를, "승객들도 우리가 예상한 것보다 많을 것이고, 게다가 해외 거주 아르메니아계들도 조국에 돌아올테니 2000년이면 예레반이 150만이 아니라 200만 인구가 됩니다. 그러니 지하철 좀 지어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라고 했다고 한다. 그런 설득이 먹혔는지 예레반 지하철이 건설되었고, 1999년 12월부터 데미르치얀의 이름이 지하철 명칭에 붙게 되었다. 참고로 예레반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106만 명이다.
2호선과 3호선을 건설할 구상은 있으나 아직 이렇다 할 계획은 나오지 않고 있다.
예레반 외 캅카스 지역에서는 조지아트빌리시아제르바이잔바쿠가 지하철이 개통되어 있는 도시들이다.

4. 관광


  • 예레반 캐스케이드 (Կասկադ)
[image]
언덕 위에 555개의 계단을 만들고 그 앞에 조각 공원을 세워 놓았다. 계단 안에는 미술관이 있다.
  •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추모공원(치체르나카베르드) (Հայոց ցեղասպանության զոհերի հուշահամալիր, Ծիծեռնակաբերդ)
[image]
  • 마테나다란 (Մատենադարան)
[image]
예레반 캐스케이드 근처에 있는 박물관이자 고문서관으로, 정식 명칭은 '메스로프 마슈토츠 고문서 협회'이다. 메스로프 마슈토츠는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든 사람으로, 정문에 그의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 계몽자 그레고리오 성당 (Սուրբ Գրիգոր Լուսավորիչ մայր եկեղեցի)
[image]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 가장 큰 성당으로, 예레반 대성당이라고도 한다. 역사는 의외로 오래되지 않았는데,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지 1700주년이 되는 2001년에 완공되었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초대 수장이자 아르메니아수호성인인 계몽자 그레고리오의 성유물이 모셔져 있다.
  • 어머니 아르메니아 동상 (Մայր Հայաստան)
[image]
본래 이오시프 스탈린의 동상이 있던 자리였으나 니키타 흐루쇼프 집권 후 스탈린 격하 운동이 일어나면서 스탈린 동상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세운 동상이다.
매년 5월 9일(승리의 날)이 되면 소련군 소속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아르메니아인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렬이 이어진다.
그 외에 에치미아진, 즈바르트노츠, 게그하드, 가르니, 코르비랍 등의 유적지가 인근에 있어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다.
한국과의 직항편은 없으며, 두바이, 모스크바, , 바르샤바, 텔아비브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에서 마슈르카(봉고차)를 타고 가는 방법도 있다. 약 3~4시간 가량 소요되는데 산길이 많고 도로 포장 상태도 좋지 않아 멀미 하기에 딱 좋다(...) 물론 돈을 좀 더 쓰고 편안하고 평범하게 항공편을 이용해서, 조지아 항공이나 에어컴퍼니 아르메니아편으로 30분 전후면 빠르게 도착할 수도 있다.

5. 여담


도시의 야경이 조지아의 트빌리시와 상당히 비교되는데, 트빌리시는 꽤 밝은 편이지만 예레반은 그렇게 밝은 편은 아니다. 도심 거리의 조명 빼고는 불이 들어온 집이 많이 없어서 낭만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실상은 아르메니아 경제가 엉망이라는 점도 크지만 조지아에게도 경제적으로 추월당한지 오래이며, 경제적 침체와 같이 코로나 여파로 관광업도 박살난 아르메니아이기에 2020년 아제르바이잔과 전쟁에서 패했다....더더욱 예레반은 어둡게 변한다고 자조할 정도.
예레반에서 러시아 센터가 문을 열었다.#(러시아어)

[1] 정부제2청사도 공화국 광장에 있다.[2] 첫번째는 서유럽의 소국 안도라의 수도 안도라라베야.[3] 예레반 중심가에서 터키 국경까지는 대략 21km 정도 거리이다. 서울시청에서 일산 정도 거리와 비슷하니, 예레반이 얼마나 안보적으로 불안한 입지에 있는지 알만하다. [4] 일련의 사건들을 추모하고자 아제르바이잔에서는 1998년 3월에 아제르바이잔 대학살의 날로 선포해 추모하고 있다. 다만 보는 관점에 따라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의 미러링이라고 할 수 있다.[5] 1974년부터 14년간 아르메니아 제1서기였다. 1999년 10월 국회의장 재직 당시 의사당 총격사건으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