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버스 목록/폐선
1. 개요
2. 시내버스
2.1. 용인 버스 1
2.2. 용인 버스 1-1
2.3. 용인 버스 2-1
2.4. 용인 버스 2-2
2.5. 용인 버스 10-1 (1기 노선)
2.6. 용인 버스 10-3
2.7. 용인 버스 14-2
2.8. 용인 버스 22 (1기 노선)
2.9. 용인 버스 60
2.10. 용인 버스 65 (1기 노선)
2.11. 용인 버스 66-1
2.12. 용인 버스 66-2
2.13. 용인 버스 66-3
2.14. 용인 버스 67, 67-1
2.15. 용인 버스 69
2.16. 용인 버스 77-1
2.17. 용인 버스 81 (2기 노선)
2.18. 용인 버스 85, 85-1, 85-2 (1기 노선)
2.19. 용인 버스 86
2.20. 용인 버스 87 (1기 노선)
2.21. 용인 버스 87 (2기 노선)
2.22. 용인 버스 94 (1기 노선)
2.23. 용인 버스 96
2.24. 용인 버스 98
2.25. 용인 버스 100
2.26. 용인 버스 119
2.27. 용인 버스 810 (1기 노선)
3. 일반좌석버스
4. 직행좌석버스
4.1. 용인 버스 1001
4.2. 용인 버스 2002
4.3. 용인 버스 2002-1
4.4. 용인 버스 5006
4.5. 용인 버스 5007
4.6. 용인 버스 5100
4.7. 용인 버스 5100-1
4.8. 용인 버스 5800
4.9. 용인 버스 6000
5. 간선급행버스
6. 마을버스
1. 개요
용인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타 운수업체로 이관된 버스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2. 시내버스
2.1. 용인 버스 1
동백에서 신설되는 죽전-동백 간 신도로를 이용 분당 미금역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동사 810번과 통합 후 마을버스로 이관.
2.2. 용인 버스 1-1
2.3. 용인 버스 2-1
2019년 10월 14일 폐선되었다. 해당 문서 참조
2.4. 용인 버스 2-2
2013년 6월 2-1번에 통합되었다.
2.5. 용인 버스 10-1 (1기 노선)
2006년 백성운수으로 넘어간 후 17번으로 변경되었다.
2.6. 용인 버스 10-3
1996년 청강대 개교와 함께 개통했으며 103번과 노선이 분리되었다. 2008년 12월에 66-4번으로 흡수되었다.
2.7. 용인 버스 14-2
용인터미널-모현면사무소(현 모현읍사무소) 왕복 노선이었고, 14번 공영버스의 공차회송 노선이었다. [1]
2010년대(시기 미상)에 20번에 통폐합되었다.
2.8. 용인 버스 22 (1기 노선)
2.9. 용인 버스 60
1990년대 말 대원고속으로 넘어갔다. 경기광주 버스 60 문서 참조.
2.10. 용인 버스 65 (1기 노선)
1995년 대원고속으로 넘어갔다. 경기광주 버스 65 문서 참조.
2.11. 용인 버스 66-1
66-4번에서 장안문에서 갈라져 수원 만석공원을 종점으로 삼았던 노선으로 2009년 10월 66-4번에 통합되었다. #
2.12. 용인 버스 66-2
수원역에서 동백을 오가던 노선으로 2006년 폐선되었다.
2.13. 용인 버스 66-3
66번에서 장안문에서 갈라졌던 노선으로 2009년 10월 66번에 통합되었다.
2.14. 용인 버스 67, 67-1
1990년대 중반에 모란역과 에버랜드를 이어주던, 편도만 2시간에 이르는 길고 아름다운 노선이었다. 신설당시 노선은 모란역 - 분당(야탑역, 시범단지, 양지마을/샛별마을, 미금역) - 수지지구 - 구성 - 신갈 - 용인정신병원 - 삼가동 - 용인시장/구 용인시청(현 처인구청) - 유림동 - 둔전 - 전대리 - 에버랜드.
그러나 성남시 본 시가지 주민들과 분당신도시 지역 주민들은 여기저기 빙빙도는 67번보다 서현역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을 거쳐 에버랜드로 가는 버스를 선호했고, 더불어 외환위기시절 경남여객 또한 구조조정으로 일부 노선 매각[2] 및 노선 단축을 해야만 했다. 그래서 67번의 분당지역 경유를 미금역 종점까지 줄여 반토막 낸 데 이어 과거 분당구간을 넘겨받은 820번이 되려 흥하면서 2000년대 초반 종점을 수지물류센터까지 당기게 됐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에 67번의 지선인 67-1번을 개통하여 종점을 상현동까지 연장하는 대신 구성삼거리(서울우유 공장)-경찰대학-어정-동백-초당곡-멱조현 경유 노선을 굴렸다.
1990년대 말에는 대원고속에서 뜬금없이 번호는 같은데 운행구간 일부가 다른 67번을 신설한적이 있다. 에버랜드까지 가지는 않고 경희대학교가 종점. 1대로 운행하다 2000년에 폐선.
67번은 노선 개설 때부터 원체 배차간격이 3~40분, 심하면 한 시간에 한 대도 보기 힘든 버스인지라 수지-용인시내-에버랜드 수요를 뽑아낼 수 없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지지역 주민이 용인을 가려면 차라리 신갈로 나가 용인으로 들어가는 버스를 타는게 더 나을 정도였다. 통학수요를 생각해서 잘만 굴리면 흥할 노선인데, 경남여객이 IMF 크리에서 회복한 이후에도 이쪽 노선은 증차할 생각이 없었던 것. 2000년대 초반에 신설된 지선 노선인 67-1번도 역시 67번과 다를바가 없었다. 67-1번은 신갈을 안 거치고 어정-동백을 지나 용인시내로 들어가 나름 경쟁력은 있었으나 문제는 수지-용인시내의 수요는 출퇴근 시간 외에는 큰 기대를 하기 힘든 노선이라는 것.
이후 2000년대 후반에 67번이 폐선되었고, 지선인 67-1번이 67번의 역할을 대신했지만 68번과 거의 똑같을 정도로 어찌보면 거의 방치하다 시피 노선을 운영했다.
결국 67번 폐선과 67-1번 수익 부진 때문에 68번과 시간만 나눠서 다닐 뿐 거의 동일 노선 취급을 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마침 삼막곡-마성리 도로가 개통되면서 수지 및 기흥구 북부 지역 주민이 신갈이나 동백을 안 거쳐도 바로 포곡읍으로 가는 길이 생기자 기존 67-1번 노선을 손을 봐서 670번을 새로 개통하게 됐다.
2.15. 용인 버스 69
2011년 3월 690번에 통합되었다.
2.16. 용인 버스 77-1
[image]
이 차량은 현재 77번에서 운행 중이다.
상현동의 상현동성당에서 구성역을 지나 연원마을까지 잇던 노선으로 이 노선의 보조 노선이었다. 2013년 7월 5일부로 개통되었다가 소리소문 없이 폐선. 감차분은 위 노선을 증차하는데 쓰인 것으로 보인다.
상현동에 들어오던 같은 번호의 노선과는 무관하다.
이후 상현역이 개업하면서 99번으로 노선일부가 부활하게 되었다.
2.17. 용인 버스 81 (2기 노선)
- 1기 때(개설~2013년도까지)는 터미널방면은 용인시청을 경유했었다.
- 위 노선은 2기이며, 2013년도부터 2019년 12월 1일까지 운행했었다. 현재는 74번이 대체운행하며, 현재 81번은 지선이었던 81-1번이 양지면사무소를 지나 양지체육공원까지 연장해 운행하는 형태다.
2.18. 용인 버스 85, 85-1, 85-2 (1기 노선)
2013년 4월 27일 89번으로 통합되었다.
그 후 시기 미상으로 85번만 노선 그대로에, 전대.에버랜드역 경유만 추가해서 부활했다.
2.19. 용인 버스 86
2014년 2월 폐선되었다. "용인터미널-동부동사무소-신평마을-송문2리-송문1리회관-송문3리회관"으로 운행했었다.
현재, 신평리-송문2리 구간은 970번이, 송문리1리회관-송문3리회관 구간은 97번이 대체 운행 중이다.
2.20. 용인 버스 87 (1기 노선)
2013년 4월 27일 90번에 통합되었다.
2.21. 용인 버스 87 (2기 노선)
2013년 4월 27일 20-1번에서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2013년 6월 89번에 통합되었다.
2.22. 용인 버스 94 (1기 노선)
용인터미널과 백암을 오가는 노선이었으며, 2013년 1월에 10-4번으로 흡수되었다.
2.23. 용인 버스 96
용인터미널 - 정수리. 2013년 4월 27일 95번에 통합되었다.
2.24. 용인 버스 98
2013년 4월 27일에 82번으로 통합되었다.
2.25. 용인 버스 100
용인 버스 100 문서를 참조.
2.26. 용인 버스 119
용인 버스 119 문서 참고.
2020년 7월 1일 부로 5번 마을버스와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2.27. 용인 버스 810 (1기 노선)
1997년 11월경, 경일여객이 신설한 백암-강남대-미금역-모란역을 잇던 장거리 노선으로, 2004년경 적자로 인해 폐선되어 2006년 현재의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3. 일반좌석버스
3.1. 용인 버스 550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하던 노선으로 1997년 12월에 폐선되었다.
3.2. 용인 버스 600
[image]
직행좌석버스 6000번과 거의 같은 정류장에서 정차를 하는 바람에 폐선되었다.
3.3. 용인 버스 670 (1기 노선)
4. 직행좌석버스
4.1. 용인 버스 1001
경기교통에서 인수한 노선으로 2008년 8월 대원버스로 넘어갔다. 성남 버스 101 문서 참조.
4.2. 용인 버스 2002
경기교통에서 인수한 노선으로 2008년 8월 대원버스로 넘어갔다. 성남 버스 1251 문서 참조.
4.3. 용인 버스 2002-1
[image]
위 차량은 유니버스로 대차되어 5001-1번에서 운행 중이다.
경기교통에서 인수한 노선으로 2008년 8월 대원버스로 넘어갔다. 성남 버스 1241 문서 참조.
4.4. 용인 버스 5006
2010년 5월 KD운송그룹으로 넘어갔다. 경기광주 버스 5006 문서 참조.
4.5. 용인 버스 5007
2010년 5월 KD운송그룹으로 넘어갔다. 경기광주 버스 5007 문서 참조.
4.6. 용인 버스 5100
2002년 10월 용남고속으로 넘어갔다. 수원 버스 5100 문서 참고.
4.7. 용인 버스 5100-1
2002년 10월 용남고속으로 넘어간 다음, 2005년 2월에 3001번으로 통합된 이후 2011년 6월 3일에 폐선되었다.
4.8. 용인 버스 5800
[image]
2012년 6월 8일 노선번호가 5700번으로 변경되었다.
4.9. 용인 버스 6000
운행구간: 에버랜드 - 둔전 - 명지대 - 용인시청 - 강남대 - 신갈오거리 - 영통입구 - 아주대 - 팔달문 - 장안문 - 화서문 - 수원역
수원역에서 에버랜드를 잇던 광역버스 노선이었으나, 66번과의 심각한 노선중복, 광역버스임에도 불구하고 에버랜드까지 시내버스와 소요시간 차이가 전혀 없는 등의 문제점으로 2009년에 폐지되었다.
실제로도 이용객의 대부분은 주말에 에버랜드를 가는 수요 + 인근 대학 통학수요로 겨우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었으나, 수원역~에버랜드 간 논스톱 셔틀이 신설되면서 에버랜드 수요마저 사라져 폐선.
5. 간선급행버스
5.1. 용인 버스 8211
명지대-용인터미널-유림동.방축-강남역을 오가던 간선급행버스 였다.
애매한 정류장 선정, 애매한 배차간격, 무엇보다 시외버스 서울경부-용인의 인기에 밀려 2010년 5월 21일 5002번에 통합되었다.
5.2. 용인 버스 8231
명지대-초당역-동백소방서(現골드프라자)-동백이마트-신갈-강남역을 오고가던 간선급행버스.
정류장 통합문제로 2010년 5월 21일 5003번에 통합되었다.
6. 마을버스
6.1. 용인 버스 14-2
용인 버스 14-2 문서 참조.
6.2. 용인 버스 15-1
용인 버스 15-2 문서 참조.
당시 노선은 '신봉동.광교산입구 - 서봉마을 - 신봉센트레빌6차 - 동일하이빌3~4단지 - 진성플라자 - 현대빌리지 - 신일초교 - 신봉사거리 - 이마트수지점 - 정평중 - 수지구청역 - 수지이스트파크 - 죽전역3번출구.신세계경기점' 이었다.
6.3. 용인 버스 45A
용인 마을버스 45 문서 참조.
6.4. 용인 버스 45B
용인 마을버스 45 문서 참조.
6.5. 용인 버스 52
골드CC - 영통역 노선으로 용인교통에서 운행하다 폐선되었다.
6.6. 용인 버스 810-3
초당역 - 동백벤쳐벨리를 잇는 통근형 버스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