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2300
[image]
2011년 4월 당시. 위 차량은 1000번으로 넘어갔다가 마니교통으로 넘어갔다.
[image]
노선도.
1. 노선 정보
2. 개요
삼화고속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이다.
3. 역사
- 2006년 12월 2일에 신설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2006년 12월 18일부터 중앙병원(현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에도 정차하게 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2008년 5월 9일부터 을지로2가와 염천교에도 정차하기 시작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2008년 6월 5일에 염천교 정류장이 폐쇄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서울시의 요청으로 2010년 11월 22일부터 영등포경찰서와 영등포시장 대신 문래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인천 방향으로 갈 때는 문학IC의 위치 때문에 좌회전을 할 수 없어 문학IC로 내려오고 나서 학익동 신동아아파트에서 정차한 뒤, 그 자리에서 유턴을 하는 기형적인 선형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엄연히 교통법 위반에 해당되는 내용이었으나 얼마 동안은 별 말이 나오지 않다가, 2011년 5월 경 인천남부경찰서(현 인천미추홀경찰서)에서 개선명령을 내렸다. 그리하여 유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이 있었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선택한 것은 신동아아파트 단지 내부 도로 경유로 변경한 것이었고 인천시에서 그렇게 노선 변경을 내렸는데...
- 삼화고속은 인천시와 경찰서의 명령을 거부했다.[1] 삼화에서는 신동아단지 경유를 따르지 않고 문학사거리에서 우회전한 뒤 골목길로 들어가 문학구길(소성로)로 들어간 뒤 영남아파트 정류장을 서는 것으로 바꾼 것. 사실 신동아3차 정류장에서 순수한 동네 수요 뿐만 아니라 주안/신기촌 방향 환승객들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환승 불편이 커지게 되었다.
- 2011년 10월 23일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이후, 삼화고속은 적자노선 4개(1301번, 1601번, 2300번, 9902번)에 대해 폐선신청을 냈다. 인천시에서는 이 폐지노선을 포함해서 삼화고속 일부 노선에 대해 타 업체에 재분배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인천시 민원에 따르면 2300번 운행을 희망하고자 하는 회사가 있기는 하지만, 적자폭을 이유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다. 관련 게시물 한편 삼화고속에서 2300번 폐선신청 당시 서울 구간을 영등포 - 마포 - 종로에서 신촌 - 서울역으로 변경신청하여 신청이 수리된 뒤 폐선되었기 때문에, 2300번이 운행을 재개할 경우 양화대교 - 신촌로를 경유하게 된다고 알려졌으나(관련 기사) 새 운행회사를 찾지 못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4. 특징
- 인가상으로는 20~30분 간격이지만 실제로는 평시 40~50분 간격으로 운행할 때가 많았으며, 이마저도 공휴일에 차가 막히면 답이 없던 노선이었다.
- 종로 행 노선들 중 유일하게 1X00-2X00의 인천 구간이 달랐던 노선이다. 즉 1100번 - 2100번//1400번 - 2400번//1500번 - 2500번끼리는 인천 구간 정류소가 동일했지만, 이 노선은 1300번이나 1301번과는 완전히 구간이 달랐다.
- 고속도로를 2번 이용하는 노선이었다. 즉, 고속도로 - 일반도로 - 고속도로 이런 식으로 운행했다.
- 부천 경유노선이 다 그렇듯이 이 노선도 부천 수요가 가장 많았다. 개통 당시 인하대학교를 경유해 통학 수요를 노렸던 듯 하나 정작 인하대생들은 잘 타지 않았다. 부천까지 가기에는 너무 비쌌고[2] 서울까지 가기에는 소요시간이 너무 많이 걸렸기 때문이다. 그나마 2500번처럼 일부 서울시내 수요나(문래~서울시내 간/명동~영등포 간) 1호선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서 일부러 앉아가려 하는 수요가 있어 이걸로 연명할 수 있었다.
- 제2경인고속도로나 당시 7호선이 한창 공사 중이었던 부천시 구간, 항상 교통량이 많은 종로나 영등포 등 교통정체 구간이 많았다. 이로 인하여 광역버스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신속성에서 밀렸다. 실제로 인천에서 여의도로 가려고 탔는데 가는 데에만 1시간 반이 걸려서 늦을 뻔 한 적이 있다는 사례가 있다. 교통체증이 심한 날에는 이 노선 한 번 뛰는데 왕복 5시간은 잡아먹었다고...
- 2000번대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천연가스버스가 있었다.
- 폐선 이후 시간이 흘러서 2300을 대체하는 몇몇 노선이 있는데, 인하대 부근에서 부천시 및 서울 도심 구간은 1601번이, 청학동에서는 2017년 7월부터 1300번이 대신 하고 있다. 영등포 및 여의도 구간은 다른 버스 노선이 대체하지 않고 1호선 전철과 9호선으로 환승하는 방법으로 대체되었다.
- 이 노선 때문에 삼화고속이 강하게 반대해서 서울시 승인을 받아놓은 소신여객 직행좌석버스 700번이 이 노선을 타격입을 것을 우려해서 현 루트 하에서 광화문 연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났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에 존재했던 철도역만 기재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 종각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영등포구청역, 충정로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구청역, 영등포시장역,마포역, 공덕역, 애오개역, 충정로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