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역

 


'''충정로''''''(경기대입구)''''''역'''
[image] [image]
하남풍산·마천 방면
서대문
0.7 km →

'''다국어 표기'''
영어
Chungjeongno
(Kyonggi Univ.)
한자
忠正路
(京畿大入口)
중국어
忠正路
(京畿大学)
일본어
忠正路(チュンジョンノ
(京畿大入口)(キョンギデイック
'''주소'''
2호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지하 17 (충정로3가)
5호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지하 28-1 (충정로3가)
'''운영 기관'''
2호선

5호선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2호선)
지하 5층 (5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2호선, 5호선)
忠正路(京畿大入口)驛 / Chungjeongno(Kyonggi University)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역 주변 정보
7. 기타

[clearfix]

1.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43번.[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지하 17 (충정로3가)[2] 소재.
  • 수도권 전철 5호선 531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지하 28-1 (충정로3가)[3] 소재.

2. 역 정보


[image]
역 안내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와 중구 중림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 2호선 충정로역은 처음부터 충정로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역했는데 주소지는 충정로3가가 맞지만 충정로가 아니라 서소문로 지하에 위치해 있다. 사실 이마저도 엄밀히 말하면 중구 중림동과 반반씩 걸쳐 있다.[4] 이 구간에서 서소문로서대문구중구의 경계선 역할을 하기 때문. 5호선 충정로역은 충정로 지하에 있다.
충정로의 충정은 구한말대신으로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자결한 민영환시호인 충정공(忠正公)에서 따온 이름이다.[5] 일제강점기 당시의 이름은 죽첨정(竹添町, 다케조에마치)으로, 초대 주조선 일본 공사이면서 갑신정변[6]에도 가담했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해방 이후 개칭된 이름이 바로 충정로. 시청역과 더불어 역번호상의 기종점이다. 복정역처럼 두 역이 모두 섬식 승강장이다.

3. 막장환승


[image]
[7]
5호선에서 2호선으로 갈아탈 때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지하 5층''' 승강장에서 '''지하 2층으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올라간다. 깊이가 상당히 깊으므로 혼잡하지 않으면 에스컬레이터나 계단보다는 오히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2. 잠실역의 환승통로과 맞먹는 길이의 환승통로를 건넌다. 심지어 2호선 방면은 오르막이다. 5호선으로 갈아탈 때는 내리막길이라서 그나마 쉽다.[8]
3. 지하 2층에서 지하 3층 승강장으로 내려간다.
이 역에서의 2호선 환승은 동선이 불편하니 5호선 → 2호선으로 환승을 편하게 하려면 가급적 을지로4가역이나 왕십리역을 이용하자. 그 외에 영등포구청역도 있으나, 2호선 내선과의 환승 여건은 좋지 못한 편이다. 2호선 내선과의 환승통로가 없어서 외선으로 건너가서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한다.[9]
같은 지하 2층이어도 5호선과 2호선은 높이가 다르다. 직접 충정로역 출구로 가 보면 알겠지만, 5호선 충정로역과 2호선 충정로역은 지대 차이가 은근히 심하다.
충정로삼거리에서 5호선 충정로역 방면으로 내리막길이 꽤 급하게 이어지지만, 2호선 충정로역 방면으로는 오히려 오르막이다. 2호선 충정로역과 5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종근당 건물 및 연결 통로가 있는데, 2호선 출구 쪽으로 나가면 지하 1층이지만, 5호선 출구 쪽으로 나가면 거의 지상이다.
종합운동장역이 이 역의 형태를 완벽하게 물려받을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환승시 오르락내리락하는 구조 외에는 충정로역보다 환승 거리가 '''훨씬 짧다.''' 경사진 커브길로 악명높은 환승통로는 다행히 종합운동장역에 없다.

4. 일평균 이용객


충정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2호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6,959명
18,945명
20,601명
22,038명
23,035명
22,611명
22,949명
23,649명
23,113명
23,740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4,434명
24,273명
25,783명
25,724명
24,826명
23,821명
24,318명
23,755명
23,131명
22,651명
2020년
'''16,639명'''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8,738명
7,763명
7,394명
7,073명
7,582명
7,675명
7,845명
7,917명
7,751명
7,944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8,173명
8,310명
9,205명
10,382명
10,096명
9,690명
9,445명
9,197명
9,021명
9,035명
2020년
'''7,343명'''
두 노선을 합치면 하루 평균 '''31,686'''명이 이용하는 역이다. 북으로는 경의선, 남으로는 아현동고개가 있는 곳이라 역세권이 협소하고, 종근당 본사와 경기대학교를 제외하면 별다른 상권·업무·교육시설이 없고, 도심과 신촌, 홍대, 여의도를 잇는 위치에 있어 다양한 대체 버스가 지나가는 것까지 충정로역은 승객을 끌어올 요소가 많지 않다. 그것을 감안하면 꽤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두 노선의 환승역이라는 점이 가장 큰 이유라 하겠다. 특히 서울의 핵심 지역들을 콕콕 찔러 주는 2호선의 존재는 다른 노선의 역들보다 더 많은 승객을 끌어오는 긍정적인 요소가 된다. 물론 2호선 안에서는 지선을 제외하면 이용객 수가 뒤에서 2등이나, 환승역이라는 점을 빼면 아무런 특징이 없는 그저 그런 역의 이용객이 하루에 3만 명이 넘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눈여겨 볼 것은 두 노선 모두 2013년까지는 조금씩 승객이 늘다가 2013년을 정점으로 서서히 사용자가 빠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역들 대부분이 가지는 공통된 특징이기도 하다.

5. 승강장



5.1. 서울 지하철 2호선


[image]
아현




시청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영등포구청·신도림·사당 방면

시청·을지로입구·왕십리·성수 방면
이 역은 아현방면으로 7퍼밀 상구배가 있다.
이 역부터 합정역까지는 왼쪽 문과 오른쪽 문이 번갈아가며 열린다.

5.2. 수도권 전철 5호선


[image]
애오개




서대문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공덕·신길·까치산·방화 방면

광화문·천호·하남풍산·마천 방면

6. 역 주변 정보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는 오히려 서대문역에서 더 가깝다.[10] 이 역에 경기대 병기역명이 붙을 당시에는 서대문역이 없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신입생들은 병기역명에 낚이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다만, 마을버스를 이용할 경우라면 충정로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5호선 충정로역과 2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종근당 본사 건물이 위치하며, 4번 출구에서 내려 300m만 걸어가면 서소문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2호선 충정로역~아현역 사이에는 지금은 철거된 아현고가차도[11]가 있었다.
이외에도 주한프랑스대사관, 종로학원 본원, 동아일보 충정로사옥(세종로의 사옥은 이와 별개다), 풍산그룹 본사,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의 사옥이 있기도 하다. 이 건물은 과거 화장품 회사인 피어리스의 본사 사옥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충정로역 8번출구로 나와서 쭉 걸은 뒤 우리은행 간판에서 오른쪽으로 꺾으면 기차와 경의선 전철을 바로 앞에서 보면서 분식을 먹을 수 있는 '충정로 철길 떡복이'가 있다. #[12]
서울역도 이 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4번 출구 혹은 5번 출구쪽으로 나가서 큰길을 따라 조금만 걸으면 나오며, 5번 출구에서 500m 정도를 걸어가면 서울로 7017로 갈 수 있다.

7. 기타


한 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당시 모 의원은 근처의 경의선 선로에 승강장을 설치하여 충정로역을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역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했었다. 그러나 구조상 경의선 선로에 역을 설치하고 환승통로를 만드는 것도 난공사과 막장환승이며 현재 1시간에 1대로 배차되고 있는 신촌역 경유 경의선 열차를 위해 역을 설치하는 것도 타당성이 없는 이야기다. 오히려 경의중앙선은 홍대입구역과 공덕역에서 환승이 된다.

[1] 개정 전 43번[2] 충정로3가 295-60[3] 충정로3가 248-1[4] 사실 중림동도 본래 중구는 아니었다.[5] 충정로는 민영환의 호에서 유래되었지만 충정공이라는 시호가 민영환에게만 하사된 것은 아니다. 예로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도 충정공.[6] 조계사 바로 옆에 있는 그 곳에서 터졌다. 그래서 도로명이 우정국로다.[7] 위 사진은 서울교통공사가 제작 역 구조 안내도로, 이 곳에선 공정사용의 개념으로 원작자에게 특별한 허락은 구하지 않고 이용하고 있다.[8] 재미있는 사실은 환승통로가 굴곡져 있다는 점인데 이는 2호선 충정로역과 5호선 충정로역 사이에 우뚝 서 있는 종근당 건물 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건물을 피해서 최대한 피해 안 가게 환승통로를 뚫어야 하니까.[9] 까치산역신정지선이어서 본선으로 가려면 신도림역에서 환승해야하므로 제외한다.[10] 다만 서대문역의 부역명은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보다 역에서 더 가까운 강북삼성병원이다.[11] 현재는 침목 하나가 흔적을 남기는 명목으로 남겨져 있는 상태.[12] 그러나 법적분쟁으로 가게가 철거될 수도 있다고 한다. 다만 확정된건 아니며 계속 영업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