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의 후궁 제도
1. 개요
일본사에 나오는 후궁 제도.
2. 덴무 덴노 이전
야마토倭의 왕권이 형성된 고훈 시대와 아스카 시대 초기에는 군주를 칭하는 명칭이 오키미(大王)였고, 정실은 오키사키(王后/王後)라고 칭했다.[1] 덴무 덴노 이후부터 국호가 야마토大和에서 일본日本으로 바뀌고 군주 명칭이 천황天皇으로 바뀌면서 정실의 명칭은 황후(皇后)로 승격되었다.
- 오키사키/왕후(王后/王後) - 일본서기에는 모두 황후라고 썼지만, 실제로 덴무 덴노 이전까지 정실은 왕후였다.
- 왕비(王妃) - 왕후 다음가는 서열로 추정된다. 일본서기에는 왕비라고 나오기도 하고 황비(皇妃)라고 나오기도 한다.
- 비(妃) - 왕후와 왕비 다음가는 서열을 가진 후궁.
- 부인(夫人) - 황부인(皇夫人)이라고도 한다.
- 빈(嬪) - 후궁.
3. 아스카 시대 말기부터 나라 시대까지
정실의 명칭이 황후로 승격되었으며, 왕비의 호칭이 사라진다. 당풍(唐風)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나라 시대로 가면 3부인 9빈 제도를 가져와서 사용했는데, 채녀를 볼 때 27세부나 81어처 비슷한 직책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황태후(皇太后) - 황후나 후궁을 황태후로 추존하기도 했다.
- 황후(皇后) - 천황의 정실.
- 증황태후(曾皇太后) - 초창기에는 황후에 대한 경칭이었지만, 후대로 가면 추존 황후를 칭하는 명칭이 된다.
- 황태부인(皇太夫人) - 정식 황후는 아니지만 사실상 황후나 다름없던 후궁을 칭하는 말이다. 사실상 추존 황후로, 타카노노 니이가사가 대표적이다.
- 비(妃) - 가장 격식 높은 후궁.
- 부인(夫人) - 중국사의 후궁 제도의 3부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빈(嬪) - 중국사의 후궁 제도의 9빈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채녀(采女) - 당나라에서 채녀가 81어처를 칭하는 말이기 때문에 81어처와 비슷한 직책의 하위 후궁으로 추정된다. 헤이안 시대로 가면 궁중에서 식사를 담당하는 하급 궁녀 직책이 된다.
- 궁인(宮人) - 상세불명. 동시대 고려에서 승은을 입은 궁녀를 칭하는 말이었던 것을 볼 때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4. 헤이안 시대
나라 시대 말미 코닌 덴노 시절에 처음으로 고유의 관등으로 여유/노쥬(女嬬)가 나타나고 헤이안 시대의 시작을 연 간무 덴노의 시기에는 여어/뇨고(女御)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된다. 사실 주례에서 여어女御는 후궁을 모시는 시녀로 호칭되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유래된 단어는 맞다. 이후 여유의 호칭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후 상시/쇼지(尚侍)라는 명칭이 간무 덴노의 아들 헤이제이 덴노 때 처음 사용되며 갱의(更衣)가 준나 덴노 시절에 처음 사용된다. 여유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만 사용되었다 사장된다. 부인과 빈은 해당 호칭들이 나타나면서 사라졌으며, 비와 궁인의 호칭은 어느 정도 살아남아 궁인이 가장 오래 지속되었다가 사라진다.
다이고 덴노의 갱의(更衣) 중 하나인 후지와라노 쿠와코(藤原 桑子)가 풍어식소/카에데미야스도코로(楓御息所)라고 불리면서 미야스도코로(御息所)가 처음으로 사용되었지만 갱의에게 붙이는 특별호칭이었으며 미야스도코로(御息所)는 몇몇 갱의에게 붙여주는 칭호로 사용되었던 호칭이다. 상시가 쇼지가 아니라 나이시노카미라고 처음 불린 건 무라카미 덴노의 죠간 덴노 나이시노카미(貞観殿尚侍)였으며 이후에는 상시를 쇼지가 아니라 나이시노카미라고 부르게 된다.
이 시대에는 셋칸 정치의 권력다툼 때문에 일부다처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 황태후(皇太后) - 황후나 후궁을 황태후로 추존하기도 했다.
- 증황태후(曾皇太后) - 주로 추존 황후를 칭하는 명칭이다. 동궁비나 후궁을 추존할 때 사용했다.
- 원/인(院) - 헤이안 시대에 상황의 존호나 시호가 인(院)이 되면서 황후 또한 존호나 시호가 인(院)이 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는 황후, 황태후 추존보다 인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만 황태후나 황후로 추존하기도 했다.
- 황태부인(皇太夫人) - 정식 황후는 아니지만 사실상 황후나 다름없던 후궁을 칭하는 말이다. 헤이안 시대로 가면 해당 명칭이 중궁으로 바뀌지만 천황의 생모인 후궁을 추존할 때 사용하기도 했다.
- 황후/고고(皇后) - 천황의 정실로 왕과 똑같은 대우를 받는 유일한 지위다. 고대에는 군주가 오오키미라 불린 것처럼 오오키사키라고 불렸다. 일본 왕실의 근친혼 법률상 본래는 왕족 출신만이 될 수 있었지만, 세도정치 이후로는 그런 거 없다. 하지만 관례는 남아서 귀족 출신인 경우에는 여어女御로 입궐한 뒤 황후가 되었다. 황후는 아들과 상관없이 황후가 되기도 했으나 아들이 태어나야 기반이 생기기에 여어들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 중궁/주구(中宮) - 황후의 별칭이기도 하였으나, 기존에 황후가 있음에도 새로이 황후를 맞아들이는 경우 2번째 황후를 '중궁'이라 하기도 하였다. 무라카미 덴노의 후궁 안시가 황후가 되었을 때 별칭으로 사용했고, 이치조 덴노의 황후 후지와라노 테이시와 중궁 쇼시. 예법상으로는 황후와 중궁이 별개인 경우 반드시 황후를 윗전으로 놓아야 했으나, 천황이 되기 전에 맞아들인 적처가 즉위 후 황후가 되고, 천황이 되도록 밀어준 권력자의 딸이 즉위 후 새 적처로 들어와 중궁이 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실질적인 권력은 중궁이 더 큰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렇기에 당연히 황후만큼 되기 어려운 자리였다.
- 여어/뇨우고(女御) - 황후/중궁 다음 가는 지위의 후궁. 대신이나 황족 등 높은 지위에 있는 자의 딸만이 봉해질 수 있었다. 황후나 중궁은 뇨우고 중에서 뽑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신하의 딸들은 아무리 권세가 크더라도 우선 뇨우고로서 입궁한 뒤 아들을 낳으면 황후/중궁으로 올라갔다. 이는 본래 천황의 '처' 취급을 받을 수 있었던 후/비의 지위에는 반드시 정4품 이상 품계의 내친왕이 올라야 한다는 율령이 있었기 때문이다. 내친왕은 천황의 딸과 손녀에게만 내리는 직위로, 즉 천황과 같은 피를 갖는 왕족이 아니라면 본래 후/비 자리에는 앉을 수 없었다. 헤이안 시대 들어서면서 외척이나 상황이 실권을 쥐는 경우가 많아져 이 율령은 유명무실해졌으나 형식만은 남아 있어서, 신하의 딸이 빈에 해당하는 뇨우고를 건너뛰어 처음부터 황후/중궁으로서 입궁하는 것은 매우 오만한 일로 여겨졌다.
- 갱의/코우이(更衣) - 뇨우고 다음 가는 후궁. 원래는 말 그대로 천황의 옷을 갈아입히는 시녀였으나, 그 특성상 천황의 침소에 들어가는 일이 많아 후궁으로 격상되었다. 통상 대내신/다이나곤(內大臣) 이하 계급의 딸들이 봉해졌다.
- 어식소/미야스도코로(御息所) - 갱의/코우이 다음 가는 후궁. 뜻은 '천황의 침실'이라는 듯으로, 원래는 천황의 침소에서 시중드는 시녀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승은을 입는 경우가 많아 여어와 갱의 다음의 후궁으로 격상되었다. 황자나 황녀를 낳은 여어나 갱의의 호칭이지만 자식을 낳지 않아도 미야스도코로라 불리기도 했다. 나중에는 황태자비나 친왕비를 가리키는 말로 정착되었다.
- 어갑전/미쿠시게도노(御匣殿) - 갱의 다음가는 후궁. 원래는 천황의 옷 등을 담당하는 곳 혹은 거기 소속되어 있는 시녀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이 시녀들이 침소에 들어가는 일이 많아 후궁으로 격상되었다. 미쿠시게도노의 장인 벳토(別当)는 곧 여어가 되는 후궁이 임명되는 경우도 많았다.
5. 내시사
內侍司
헤이안 시대에 정립된 일본의 궁녀 제도. 나이시노 츠카사라고 한다.
내시사에 속한 궁녀들은 '시녀'라는 뜻을 가진 여방女房이라고도 불렸다. 이들은 신분 높은 사람의 바로 측근으로서 모든 일을 대신 처리하기 때문에 교양 있고 똑똑하며 어느 정도 신분이 있어야 했다. 신변의 일처리, 편지 심부름, 둘을 이어주거나 구혼 상대를 부르기 위해 상대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것, 아이들의 교육과 유모 역이 모두 여방의 담당이었다. 즉 단순한 시녀가 아니라 매우 중요한 일들을 수행한 것이다. 다만 하급 궁녀로 가면 조선시대 궁녀들처럼 잡일 담당이었다. 후궁들은 신분이 높을수록 많은 수의 시녀들을 거느릴 수 있었다.
몇몇은 천황의 총애를 받아 자식을 가지는 등 후궁이나 다름없는 대우를 받기도 했지만, 내시사의 후궁이기 때문에 첩보다는 정부에 더 가까운 존재였다.
- 쇼지/나이시노카미/상시(尙侍) - 내시사의 장관. 본래 5위였으나 3위로 승봉되었고 정원은 두 명이다. 내시사의 장관인 만큼 본래 천황의 비서실장 격이었으나, 후대로 가면 후궁이나 다름없는 취급을 받았다. 여어가 보통 3~4위였던 것과 비교하면 높았지만, 본질적으로 내시사의 장관이었기 때문에 황후나 중궁이 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 덴지/나이시노스케/전시(典侍) - 내시사의 차관. 본래 종6위였지만 종4위가 되었고, 정원은 네 명이다. 이들 또한 후대로 갈수록 사실상 후궁이나 다름없는 대우를 받았다.
- 장시(掌侍) - 내시사에서 상시, 전시 다음가는 직책을 가진 궁녀.
- 묘부/명부(命婦) - 본래 명부는 본래 명부는 5위 이상의 궁인(내명부)과 5위 이상 관리의 아내(외명부)를 자칭하는 말이었으나,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상시, 전시, 장시 다음가는 중급 궁녀를 칭하는 말이 되었다.
- 온나쿠도로/여장인(女藏人) - 어갑전에서 봉재나 기타 잡무에 종사하는 여관.
- 채녀(采女) - 본래 하위 후궁을 칭하는 말이었으나, 헤이안 시대로 가면 주방을 담당하는 주수사, 식사를 담당하는 선사에 배속되어 천황의 식생활을 돌보는 여관이 된다.
- 뇨칸/여관(女官) - 궁녀라는 말을 대변하는 별 특색 없는 궁녀.
6.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황실이 혼란에 빠지고 권위가 무너지는 과정에서 본래 내시사의 시녀들에게 사용하던 해당 명칭들이 후궁의 명칭으로 자리잡았으며, 헤이안 시대에 주로 사용된 후궁의 명칭들이 소실된 대신 사라졌던 비나 궁인의 호칭이 다시 사용되기도 했다. 미야스도코로는 후궁의 명칭이 아닌 동궁비나 친왕비를 칭하는 명칭이 되었으며, 이 또한 시대가 지나면서 사라진다. 수백 년간의 혼란기를 거쳐 사회가 자리잡힌 이후에는 다시 여어를 사용했지만, 변함없이 후궁의 명칭이나 다름없어진 궁녀들의 호칭을 사용했다.
후지와라 씨족의 셋칸정치가 몰락하면서 일부다처제에서 일부일처제로 돌아왔지만, 황후가 아닌 중궁의 호칭이 더 일반적이었다.
- 황태후(皇太后) - 황후나 후궁을 황태후로 추존하기도 했다.
- 증황태후(曾皇太后) - 주로 추존 황후를 칭하는 명칭이다. 동궁비나 후궁을 추존할 때 사용했다.
- 원/인(院) - 헤이안 시대에 상황의 존호나 시호가 인(院)이 되면서 황후 또한 존호나 시호가 인(院)이 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는 황후, 황태후 추존보다 인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만 황태후나 황후로 추존하기도 했다.
- 황태부인(皇太夫人) - 정식 황후는 아니지만 사실상 황후나 다름없던 후궁을 칭하는 말이다. 헤이안 시대로 가면 해당 명칭이 중궁으로 바뀌지만 천황의 생모인 후궁을 추존할 때 사용하기도 했다.
- 황후/고고(皇后) - 천황의 정실. 의외로 잘 사용하지 않은 편이었다.
- 중궁/주구(中宮) - 천황의 정실. 일부일처제로 돌아왔음에도 주로 사용했다.
- 비(妃) -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에 부활했다. 여어의 호칭이 사라진 시기에는 가장 높은 후궁을 대변했으나, 여어가 부활한 이후에는 다시 사라진다.
- 여어(女御) - 수백 년 동안 사라졌다가 에도 시대에 부활한다.
- 상시(尙侍) -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갱의의 호칭을 대신했다. 지위는 의외로 높았으나 황후나 중궁이 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 전시(典侍) -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미야스도코로의 호칭을 대신했다.
- 장시(掌侍) -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 미쿠시게도노의 호칭을 대신했다.
- 궁인(宮人) - 헤이안 시대 말기 이후에 부활하여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었다. 하위 후궁이나 승은궁녀를 칭하는 말로 보인다.
- 여방(女房) - 궁녀를 칭하는 명칭이었지만 후궁을 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된 적도 있었다.
7. 근현대
메이지 덴노의 처인 쇼켄 황후는 처음에는 여어(女御)였다고 하며, 이외에도 여러 후궁이 있었다. 다만 메이지 덴노의 자식들은 5남 10녀의 총 15명이었지만 요절한 자식들이 많았으며 아들은 야나기하라 나루코 소생 3남 요시히토 하나만 살아남았고 딸들은 전부 소노 사치코의 4명만 살아남아서 결국 다이쇼 덴노는 불임이었던 쇼켄 황후의 양자가 된다.
다이쇼 덴노의 처 데이메이 황후가 아들 넷을 낳게 되면서 후궁 제도는 사라졌으며 쇼와 덴노 시절에는 고준 황후가 딸만 줄줄이 4명을 낳아 측실 제도의 부활이 거론되었으나 쇼와 덴노가 이를 거부하고 고준 황후가 간신히 두 아들을 낳아서 잠잠해졌다. 다만 현대 일본이 민주주의 체제를 받아들인 이후로 여권 신장이 이루어져 아무리 황후가 아들을 못낳아도 후궁을 들일 가능성은 없어졌다. 나루히토 천황만 보더라도 확인 가능하다.
8. 번외 : 오오쿠
막부의 정이대장군은 이들의 처첩을 칭하는 별다른 호칭이나 거주 구역은 없었다. 하지만 에도 시대에 접어들어 에도 막부에 쇼군의 후궁인 오오쿠가 만들어졌다. 카스가노 츠보네가 만들었으며, 오만노카타 이후 거대하고 호화로운 오오쿠의 형태로 완성된다.
오만노카타 이후에 교토 공가 귀족풍으로 바뀐 만큼 엄격한 계급제였다. 정이대장군의 자식을 낳아야 '사마様(님)'라는 경칭이 붙으며 측실로 인정되었으며, 그 전까지는 그냥 오오쿠에서 쇼군과 쇼군의 정실인 미다이도코로의 시중을 드는 고용인에 불과했다.
계급
- 미다이도코로 - 정이대장군의 정실로, 부를 때는 미다이사마라고 했다.
- 오메미에이죠(御目見得以上) - 오토시요리와 지체 있는 측실들을 포함한 고위 신분이다. 오메미에(御目見得)는 '눈에 보일 수 있다', 즉, 누군가의 앞에 나갈 수 있다(그럴 자격을 부여받았다)는 뜻으로 이 누군가란 당연히 오오쿠의 주인인 쇼군을 의미한다.
- 오메미에이게(御目見得以下) - 정이대장군의 소실들과 시녀들을 칭하는 하위 신분이다. 上과는 비율이 1:9에 이르렀다.
- 미다이도코로
- 오헤야사마(お部屋様) - 정이대장군의 아들을 낳은 시녀.
- 오하라사마(お腹様) - 정이대장군의 딸을 낳은 시녀.
- 오테츠키(お手つき) - 정이대장군과 잠자리를 가진 시녀.
- 오토시요리(御年寄り) - 오오쿠의 관리인을 맡는 시녀. 오오쿠 내에서는 정이대장군도 함부로 못할 정도의 실권을 휘둘렀다.
- 오츄로(御中臈) - 미다이도코로의 시녀이자 측실 예비로, 미다이도코로를 제외하면 처음 오오쿠에 들어올 때는 모두 형식적이든 실질적이든 이쪽에 속했다. 여기서 정이대장군의 눈에 띄면 오토시요리의 주재로 잠자리를 가졌고, 밖에서 지목된 바 없이 이 등급으로 오오쿠에 들어올려면 어느 정도 집안이 받쳐주거나 굉장한 미녀여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