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 전투

 

'''장인 전투'''
중일전쟁제2차 상하이 사변의 일부
[image]
장인 해전 상황도.
중화민국 해군은 양쯔강 하류 장인(江阴)에 집결하여 양쯔강을 봉쇄했다.
'''날짜'''
1937년 8월 16일 ~ 1937년 12월 2일
'''장소'''
양쯔강 하류 장인시
'''교전국'''
<^|1>[image] 중화민국
<^|1>[image] 일본 제국
'''지휘관'''
[image] 리우씽
[image] 쑤캉
[image] 모정려오
[image] 천샤오콴
[image] 천지량
[image] 정이딩
<^|1>[image] 하세가와 키요시
[image] 도요다 소에무
[image] 사메지마 도모시게
'''결과'''
일본군의 승리
'''영향'''
장인 함락, '''중화민국 해군의 괴멸적인 피해'''
'''전력'''
방호순양함 5척
구축함 1척
경순양함 3척
해방함 2척
수상기모함 2척
건보트(포함) 18척
어뢰정 5척
기타 소형 함선 다수
정규항공모함 1척
경항공모함 2척
경순양함 9척
중순양함 2척
구축함 다수
항공기390여대
'''피해 규모'''
해방함 2척 및 소형 함선 10여척 외 '''전원 격침'''
항공기 다수 격추
1. 개요
2. 장인 항
3. 전개
3.1. 양쯔강 봉쇄
3.3. 일본군 항공기의 공습
3.4. 항공모함의 도착과 소강
3.5. 재공습
3.6. 중화민국 함대 궤멸
3.7. 최후의 방호순양함
3.8. 장인 함락
4. 양측의 병력
4.1. 해군
4.1.1. 중화민국군
4.1.2. 일본군
4.2. 육군
4.2.1. 중화민국군
5. 참고 문헌
6. 관련문서


1. 개요


제2차 상하이 사변양쯔강을 통해 일본군 해군의 병력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막기위해 중화민국 병력과 해군 함선이 양쯔강 하류의 '장인 요새'를 거점으로 일본군을 상대한 전투. 이 해전으로 중화민국 해군 수상함대는 궤멸하고, 이후 남은 함선도 대부분 자침하면서 중국 해군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존재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었다.
함대에 의한 해전보다는 '''항공기 중심의 전투'''가 이루어졌고, 장인 요새에 대한 상륙전과 공방전 또한 벌어진 전투이다.

2. 장인 항


장인 항은 양쯔강 하류 삼각주에 위치한 지역으로, 상하이에서 서북쪽으로 130km, 당시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과는 200km 떨어져있으며 양쯔강을 통해 난징과 상하이를 오갈 수 있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그때문에 장인 항과 요새에는 다수의 고사포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장인 요새 주위로는 황산 포대(黄山炮台)와 동산 포대(東山炮台), 서산 포대(西山炮台), 어산 포대(鹅山炮台), 샤오산 포대(萧山炮台) 등 5개의 포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중화민국 해군의 주요병력인 1함대와 2함대 중 1함대는 난징에, 2함대는 장인에 주둔하였다.

3. 전개



3.1. 양쯔강 봉쇄


[image]
양쯔강에 침몰된 폐선들
중화민국 해군은 일본군 해군과의 질적, 수적 모두 압도적인 전력차이를 통감하여 넓은 바다에서 교전을 벌이는 것을 피하고 일본군의 양쯔강 진입을 막는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에 따라 중화민국군은 8월 초부터 장인 요새의 해안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양쯔강 하류지역에 폐선들을 침몰시키고 기뢰를 매설하여 양쯔강을 봉쇄했고 난징에 주둔해있던 중화민국 해군 1함대도 장인에 주둔한 2함대에 합류하여 전력을 보강하였다.

3.2. 이즈모 뇌격 시도


[image]
이즈모를 공격한 어뢰정 시102(史102)
중화민국의 선제공격으로 제2차 상하이 사변이 시작된 이후인 1937년 '''8월 16일''' 오전, 상하이 항구를 장악하고있던 일본 제국 3함대 기함인 장갑순양함 이즈모에 중화민국의 어뢰정 史102와 史171이 어선으로 위장하여 300m거리까지 근접해 어뢰를 쏘았으나 빗나갔고, 史102는 일본군의 반격에 격침. 史171은 가까스로 퇴각하였다.

3.3. 일본군 항공기의 공습


1937년 '''8월 16일''' 오전 11시, 일본군의 항공기 7대가 공습을 가했으나 장인 항의 맹렬한 고사포 사격에 별 다른 피해를 주지 못한채 퇴각하였다.
이후 8월 19일 오전 11시에는 황산 포대에 대한 일본군 항공기 11~12대의 공습이 가해졌으나 폭격이 빗나가 피해는 주지 못하였고 20일에는 경순양함 닝하이를 향한 공격이 가해졌으나 피해는 없었다.
이 당시의 항공기 공습은 상하이에 일본군의 항공모함이 도착하지 않아 타이완, 제주도, 큐슈에서 일본군 항공기들이 발진하여 상하이 인근 까지 날아와 공격을 시도한 것이었으며, '''이들의 주요 목표는 공격이 아닌 장인 항의 정찰이었다.'''

3.4. 항공모함의 도착과 소강


이후 상하이에 항공모함 카가, 류조, 쇼호가 도착해 제공권에서 우위를 점하게 된 일본군의 장인 항에 대한 본격적인 공습이 8월 22일 부터 가해졌다. 이날 중화민국 군은 고사포 사격으로 카가에서 발진한 제 2항공전대 소속의 94식 함상폭격기 1대를 격추, 2대를 반파시켰는데, '''이는 이 전투에서 중화민국군의 최초의 작은 승리였을 뿐이었다.'''
8월 22일의 항공기 공습이후 '''8월 26일''' 새벽, 일본 해군 제3함대 산하 제11전대의 부설함 야에야마(八重山), 구축함 하소(蓮)및 이외 구축함 1척이 양쯔강을 거슬러 올라왔으나 경순양함 핑하이를 비롯한 중화민국 함선들이 이들을 공격해 쫓아냈다.
[image]
8월 26일 침몰한 측량함 자오리. 원래 이름은 리엔칭(联鲸)이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무장측량함 자오리(皦日)가 격침되었고, 26일 오후에는 카가에서 발진한 함재기들이 함선들에 공습을 가했으나 피해를 주지는 못하였다.
8월 26일의 교전이후 일본군 해군의 병력이 상하이로 몰려드는 중화민국군을 막기위해 상하이로 이동하여 전투는 소강 상태에 들어갔다.

3.5. 재공습


'''9월 19일''' 부터 다시 장인 항에 대한 일본군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19일 오전 8시 15분, 장인 항 상공에 33대의 일본군 항공기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고사포 사격과 함께 난징 공항에 배치된 중화민국 항공기 21대가 출격하여 항공전을 벌였고, 중화민국 항공기 5대 격추, 일본군 항공기 4대 격추, 1대 반파의 전과를 내었다.
'''9월 20일''', 상하이 내륙으로 일본군이 진격해 들어옴에 따라 장인 항의 전황또한 악화되기 시작하였고, 이날 오후 3시, 중화민국 해군 총사령관 천샤오콴(陈绍宽) 일급상장은 중산함에서 휘하 장병들에게 '''곧 다가올 더 거대한 전투'''에 대비할 것을 당부하였다.
천샤오콴은 일본군 함대가 장인 항으로 들어와 포격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그의 예상과 달리 300기가 넘는 항공기로 상하이의 제공권을 장악한 일본군은 '''항공기를 이용한 공격을 계속하였다.'''

3.6. 중화민국 함대 궤멸


'''9월 22일''' 오전 10시 20분, 일본군 제 12항공대 소속의 92식 함상공격기 12대가 95식 함상전투기 6대의 호위를 받으며 '''중화민국 해군의 주력함,''' 경순양함 '닝하이'와 '핑하이'를 향해 폭격을 가했다. 세발의 폭탄이 핑하이의 좌측 갑판, 선수부, 선미에 각각 명중했고 닝하이도 함미를 맞아 피해를 입었으며, 이후 11시 30분과 4시 30분에도 공격이 가해지는 등 치열한 전투가 벌여졌다.
[image]
핑하이의 함장 가오셴선
이날 주변 민가에도 폭탄이 투하되어 민간인 피해 또한 발생하였으며 집중적인 공격을 받은 핑하이는 대파, 5명이 사망하고 함장 가오셴선(高憲申)을 비롯한 23명이 부상을 입었다. 닝하이 역시 반파되어 4명이 부상을 입었고, 닝하이를 기함으로 삼았던 제 1함대장 천지량(陈季良)은 기함을 이셴으로 바꾸었다.
'''9월 23일''' 오전 5시, 장인 항의 관측초소가 10대 이상의 일본군 함선이 장인으로 접근해 오는 것을 발견하고 중화민국군 함선들이 대응하기 위해 출격했다. 그러나 일본군 함대는 반전하여 되돌아갔고 오전 10시 30분, 한대의 일본군 정찰기가 장인 요새 상공을 비행한 뒤 되돌아갔다.
[image]
닝하이의 함장 천홍타이
그리고 오후 1시 55분~2시 5분, '''58대에 달하는 일본군 항공기 편대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이들의 폭격이 함선에 직접적으로 명중하지는 않았으나, 지속되는 공격에 3시 30분 부터 닝하이의 선체가 침수되어 오른쪽으로 기울기 시작하자 닝하이의 함장 천홍타이(陈宏泰)는 닝하이의 을 잘라낸뒤 선체가 기우는 상황에서 닝하이를 항구로 몰아 4시 30분, 적기 5대 격추. 360여명의 승무원 중 19명이 사망하고 43명이 부상당한 상태로 항구에 배를 대는데 성공하였다.
[image]
물에 잠긴 닝하이
이후 25일 재개된 공습에 1함대 임시기함 이셴 또한 모래톱에 좌초되었고, 이셴에 탑승했던 1함대장 천지량은 부상을 입고 난징으로 후송되었다. 이 외에도 구축함 [1] '지엔캉'(建康)과 포함 '추여우'(楚有)등이 침몰하고 여러 함선들이 지속된 공습에 피해를 입어 전투불가 상태가 되었고 22일날 대파당한 핑하이는 공습에도 가라앉지는 않고 선체가 기운체 물위에 떠 있었으나, 25일 재개된 공습에 침몰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함선들은 완전히 침몰하는 대신 스스로 해안에 좌초되어 고정포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3.7. 최후의 방호순양함


지속되는 공습에도 배수량 2400t의 방호순양함 잉루이(應瑞)와 중산등이 살아남아 운행이 가능했고 2선급 함선으로 빠져있던 배수량 4300t의 방호순양함 '하이치'(海圻)와 배수량 3000t의 하이룽급 방호순양함 '하이룽'(海容), '하이차우'(海筹), '하이첸(海琛)' 등 3척이 남아있었으나 이들은 구식함인 데다가 대공장비가 갖춰지지 않아 항공기를 상대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중화민국군은 하이치, 하이룽, 하이차우, 하이첸을 자침시켜 일본 해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고정포대로 삼기로 결정하였고 9월 25일 밤, 이 네척은 가라앉아 고정포대가 되었다.
25일의 공습으로 중화민국 해군은 사실상 무력화 되었으나 이후로도 일본군의 공습은 계속되어 10월에 들어서서도 어뢰정 후핑(湖鹏), 연안 포함 장닝(江宁), 방호순양함 잉루이 등이 격침되었다.

3.8. 장인 함락


양쯔강을 방어하던 해군이 궤멸된 상황에서도 장인 항과 장인 요새에 주둔한 중화민국군들은 필사적으로 항전했으나 상하이 전선이 붕괴되어 일본군의 육상병력이 가세해 들어오면서 수도 난징을 향해 진격하자 결국 난징의 총사령부가 퇴각 명령을 내렸고, 중화민국군의 병력들과 중산을 비롯한 움직일수 있는 함선들은 요새와 항구를 포기하고 난징으로 후퇴했다.
[image]
장인 요새를 점령한 일본군 제 13사단
그렇게 '''1937년 12월 2일 오후 5시, 장인 요새는 일본군에 함락된다.'''
장인 요새가 함락되자 일본군 해군은 기뢰를 제거하고 육전대를 상륙시켜 장인 항을 점령한다. 장인 항을 점령한 해군은 격침당한 닝하이, 핑하이, 이셴 등을 인양하여 일본으로 가져가 개조하여 새로운 이름으로 명명하여 사용하였고, 일부 함선들은 왕징웨이 정권만주국에 넘겨졌다.

4. 양측의 병력



4.1. 해군


'''양측의 해군 총사령관'''
[image]
중화민국 해군 총사령관
천샤오콴
(陈绍宽)

일본해군 제 3함대 사령장관
하세가와 키요시
(長谷川清)


4.1.1. 중화민국군


'''볼드체''' 표시는 장인 전투에서 좌초 및 침몰하지 않은 함선.
  • 중화민국 해군 총사령관 천샤오콴(陈绍宽) 일급상장(一级上将)
  • 중화민국 해군 제 1함대 -함대장 천지량(陈季良) 중장
    • 경순양함 3척
      • 닝하이(宁海)*-함장 천홍타이(陈宏泰) 대령
      • 핑하이(平海)*-함장 가오셴선(高宪申)대령
      • 이셴(逸仙)*-함장 천빙친(陈秉清) 중령
    • 방호순양함 5척
      • (연습함) 잉루이(应瑞)*-함장 천융친(陈永钦) 대령
      • 하이치(海圻)*
      • 하이룽(海容)*
      • 하이차우(海筹)*
      • 하이첸(海琛)*
    • 수상기모함 2척
      • 웨이셩(德胜)*-함장 왕시안난(王夏鼐) 중령
      • 더셩(威胜)*-함장 루환첸(刘焕乾) 중령
    • 해방함(건보트) 2척
      • 중산(中山)-함장 사쉬진(萨师俊) 중령
      • 융지(永绩)-함장 권과닝(曾冠瀛) 중령
    • 건보트(포함) 5척
      • 쓰창(自强)*[2]-함장 장리장(张日章) 중령
      • 타퉁(大同)*-함장 루지퉁(罗致通) 중령
      • 시엔닝(咸宁)-함장 취자셩(薛家声) 소령
      • (측량함) 자오리(皦日)*-함장 지웨이장(谢为良) 소령
      • (측량함) 우셩(武胜)*
    • 어뢰정 2척
      • 첸지(辰字)*
      • 수지(宿字)*
  • 중화민국 해군 제 2함대-함대장 정이딩(曾以鼎) 소장
    • 구축함 1척
      • 지엔캉(建康)*-함장 치주이잉(齐粹英) 중령
    • 건보트(포함) 13척
      • 장위안(江贞)*
      • 장젠(江元)
      • 추퉁(楚同)
      • 추우(楚有)*
      • 추콴(楚观)
      • 추첸(楚谦)
      • 민첸(民权)*-함장 루환치엔(刘焕乾) 중령
      • 민성(民生)*-함장 중쉬장(郑世璋) 중령
      • 융수이(永绥)-함장 후청(傅成) 소령
      • 장시(江犀)
      • 장쿤(江鲲)
      • (측량함)간루(甘露)
      • (측량함)칭톈(青天)*-함장 예유허(叶裕和) 소령
    • 어뢰정 3척
      • 후펑(湖鹏)*-함장 양치자오(梁序昭) 대위
      • 후순(湖隼)*
      • 후어(湖鹗)*

4.1.2. 일본군


※''' 장인 전투 발발 시점에서 동중국해에 주둔한 일본제국 제 3, 4함대의 함선들을 열거함. '''열거된 함선 모두가 장인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았음에 유의.

'''제 3함대'''
  • 제 1 견외함대(第一遣外艦隊)[3]
  • 제 11전대[4]
    • 부설함-1척
      • 아에야마(八重山)
    • 건보트(포함) 8척
      • 아타카(安宅 )
      • 카타다(堅田)
      • 토바(鳥羽)
      • 세타(勢多)
      • 히라(比良)
      • 허즈(保津)
      • 후타미(二見)
      • 아타미(熱海)
  • 제 1항공전대
    • 경항모 2척
    • 구축함 4척
      • 제 2구축대
        • 미네카제(峯風), 사와카제(澤風), 야카제(矢風), 오키카제(沖風)
  • 제 2항공전대
    • 정규항공모함 1척
    • 구축함 4척
      • 제 24구축대
        • 카와카제(江風), 스즈카제(涼風), 야마카제(山風), 우미카제(海風)
'''제 4함대'''

  • 제 5수뢰전대
    • 경순양함 1척
    • 구축함 7척
      • 제 13구축대
        • 와카타케(若竹), 쿠레타케(呉竹), 사나에(早苗)
      • 제 16구축대
        • 아사가오(朝顔), 유가오(夕顔)、후유오(芙蓉)、카루카야(刈萱)
'''제 4항공전대'''
  • 제 4항공전대장 사메지마 도모시게(鮫島具重) 소장

4.2. 육군



4.2.1. 중화민국군


  • 강방집단군(江防集团军) 총사령관 리우씽(刘兴) 상장
  • 제 51군-군장 모정려오(缪征流) 중장
    • 제 111사단-사단장 창엔둬(常恩多) 소장
    • 제 112사단-사단장 호쇼우이(霍守义) 중장
  • 제 103사단-사단장 허치중(何知重) 소장
    • 제 613연대-연대장 루오이빈(罗熠斌) 대령
    • 제 615연대-연대장 중샹궤이(周相魁) 대령
    • 제 618연대-연대장 완시종(万式炯) 대령
  • 제 153사단
  • 제 334여단-여단장 마오완젠(马万珍) 소장
    • 제 667연대-연대장 팡슈훙(方叔洪) 대령
    • 제 668연대-연대장 츠시장(崔锡璋) 대령
  • 제 336여단-여단장 리더밍(李德明) 소장
    • 제 671연대-연대장 주겅양(许赓扬) 대령
    • 제 672연대-연대장 완이(万毅) 대령
  • 제 457여단-여단장 펑지펑(彭智芳) 소장. 부여단장 청칭민(曾庆敏)[5]
  • 제 478여단-여단장 유잉치(喻英奇) 소장
  • 강방 요새 사령관 쑤캉(许康) 중장

5. 참고 문헌



6. 관련문서



[1] 푸포급 1번함 푸포(伏波)의 개명된 이름으로, 390t이라는 배수량 때문에 구축함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많은 곳에서 구축함으로 표기하기에 구축함으로 표기함.[2] 쓰창은 젠웨이급 1번함 젠웨이(健威)의 개명된 이름이며, 타퉁은 2번함 젠안(建安)의 개명된 이름이다. 중국측 자료에서는 이들도 경순양함으로 분류하나, 871t이라는 적은 배수량으로 건보트 단락으로 옮겼다.[3] 바이두 江阴海战 문서와 일본어 위키피디아의 第一遣外艦隊 문서의 자료를 교차검증하여 장인 전투 이전에 제적된 함선 및 소속이 바뀐 함선은 제외함.[4] 참고자료[5] 1937년 8월 17일 장인 전투에서 전사. 사후 소장으로 추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