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읍중학교

 



'''초읍중학교''' 草邑中學校
''' Choeup Middle School'''
'''맡은 일을 다 하며 서로 돕는 참된 일꾼이 되자'''
[image]
[1]

'''한글'''
초읍중학교
'''한자'''
草邑中學校
'''로마자'''
Choeup Middle School
'''개교'''
1992년 3월 1일
'''유형'''
일반계 중학교
다행복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형태'''
공립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94번길 71 (초읍동)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2.1. 연혁
3. 상징
3.1. 교표
3.2. 교훈
3.3. 교목
3.4. 교화
3.5. 캐릭터
3.6. 교가
3.7. 교복
4. 교내 시설
4.1. 별관
4.2. 본관
4.2.1. 지하 1층
4.2.2. 1층
4.2.3. 2층
4.2.4. 3층
4.2.5. 4층
4.2.6. 5층
5. 출신 인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7. 여담


1. 개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개교한 남녀공학 공립 일반계 중학교로 1992년에 개교하였다. 동명인 초읍동의 명칭을 따서 지어졌으며 학교가 백양산 자락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성지로에서 한참을 걸어올라가거나 근처에 오는 버스도 마을 버스 15번밖에 없어 대중교통편도 열악하고 등교가 사실 등산 수준으로 힘들지만 산 속이라 공기가 쾌적하고 높은 곳에 있어 학생들의 체력을 보장해준다. 부산진고등학교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해 있다. 두 학교 모두 산자락에 위치해 있어 등교하면서 자주 접한다.
2018년 3월 1일자 부로 다행복학교로 지정되었다.

2. 역사



2.1. 연혁


'''1992년 3월 1일''' 초대 교장 윤한명 취임
'''1995년 9월 1일''' 제2대 교장 이재기 취임
'''1998년 3월 1일''' 제3대 교장 김진호 취임
'''2000년 3월 1일''' 제4대 교장 임정원 취임
'''2000년 5월 9일''' 2001학년도 1학기부터 남녀공학으로 인가 결정
'''2002년 9월 1일''' 제5대 교장 조정 취임
'''2004년 9월 1일''' 제6대 교장 전용득 취임
'''2006년 9월 1일''' 제7대 교장 류철 취임
'''2009년 3월 4일''' 제8대 교장 김종숙 취임
'''2010년 3월 1일''' 제9대 교장 석미령 취임
'''2011년 5월 1일''' 창의인성 모델학교 지정
'''2013년 3월 1일''' 제10대 교장 차동렬 취임
'''2015년 3월 1일''' 제11대 교장 이재법 취임
'''2017년 3월 1일''' 제12대 교장 이상훈 취임
'''2018년 3월 1일''' 다행복학교 시작

3. 상징



3.1. 교표


[image]

전체의 구성은 ''''''과 ''''''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책'''은, 면학에 힘쓰는 학생을 상징하고,

'''산'''은, 초읍 지역을 의미하며,

'''푸른 산'''은 꿈을 키우는 '''이상'''과 '''희망'''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3.2. 교훈


'''맡은 일을 다 하며 서로 돕는 참된 일꾼이 되자'''


3.3. 교목


[image]
우리나라 전역의 표고 1,300m이하에서 자생하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또한 강하여 강인하고 굳건한 기상을 상징한다.

3.4. 교화


[image]

북아메리카 남부 원산인 상록 활엽 교목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5~6월에 흰 꽃이 피는 태산목은 우람한 자태와 은근한 향기로 몸과 마음을 닦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3.5. 캐릭터


[image]

소나무 형태의 머리를 한 중학생으로 소나무는 우리 초읍중학교의 교목으로

항상 변하지 않는 굳건의 의지를 의지하며, 하늘을 향한 형태를 통해 내일을 위해 노력하는

진취적인 초읍중학교 학생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위는 초읍중학교의 캐릭터이다. 다만 재학생들은 이게 있는지조차 모른다

3.6. 교가


작사 윤한명 / 작곡 김종태

'''금용산 정기받은 복터를 다져 '''

'''풀 고을 성지 동산 여기 이곳에 '''

'''미래의 꿈 영그는 우리의 배움터'''

'''드높은 영광 향한 늠름한 기상'''

'''태양같이 빛나리 우리의 요람'''

'''아아 초읍중 초읍중 찬연한 그 이름 초읍중학교.'''


3.7. 교복


남학생 교복 하복이 참으로 괴랄한데 하의는 무난한 곤색 계열인 반면 상의는 마치 경남고등학교온천중학교의 파란 색상의 스머프 상의를 채택하고 있어 괴리감이 심하다.[2] 동의중학교의 상의와 매우 비슷하며 상하의는 온천중학교의 교복과 완전히 판박이다. 더군다나 여학생 하복 하의는 무난한 곤색 계열에 상의 또한 무난한 흰색이라 남학생 하복과의 괴리감이 상당히 심하다. 때문에 하복을 바꿔달라거나 여름 생활복을 도입시켜라는 요구가 많이 나오고있으나 어째선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3]

4. 교내 시설



4.1. 별관


별관은 모두 5층이며 2012년에 완공되었다. 주차장, 식당, 강당 같은 시설들이 있고 4층은 운동장과의 통로, 5층은 본관과의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4.1.1. 주차장


별관의 최저층에는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 자체도 좁고 기둥 사이의 공간이 좁아 주차하기도 힘들다.

4.1.2. 식당


별관의 2층에는 식당이 있고 점심시간에 모든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곳에서 식사를 한다. 2017년까지는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식사를 했지만 2018학년도의 (18년. 이번에 규칙이 바뀌어서 3학년은 선착순, 2학년 선착순으로, 1학년 반별로 바뀌었다.) 여담으로 신학기 때에는 1학년이 일주일동안 밥을 제일 먼저 먹는다.

4.1.3. 강당


별관의 3층에는 강당이 있다. 주변 학교에 비해 꽤 넓은 편이며 본교의 운동장보다 넓다. 반지하이고, 또 높이가 굉장히 높아 커튼들이 전동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데, 신입생이거나 전학생이 이 광경을 목격할 경우 굉장히 놀란다.

4.2. 본관



4.2.1. 지하 1층


무용실, 탁구실, 청소함 등

4.2.2. 1층


수학교과실, 인쇄실, 영어교과실, 도서관, 행정실 등

4.2.3. 2층


진로활동실, 교무실, 과학실 등이 있다.

4.2.4. 3층


3학년 교실 1 ~ 7반까지, 2학년 교실 6반. 컴퓨터실, 미술실, 복지실 등이 있다.

4.2.5. 4층


2학년 교실 1~5반까지, 1학년 교실 1 ~ 2반까지. 영어실 2개, 음악실이 있다.

4.2.6. 5층


1학년 교실 3~6반까지 있다. 다른 층보다 더 좁다.

5. 출신 인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7. 여담


  • 봄에 벚꽃이 피면 예쁜 아주 크고 아름다운 나무가 한 그루 있다.
  • 교내에서는 실내화, 삼선슬리퍼를 신고 생활해도 되지만 수업시간에는 실내화 혹은 삼선슬리퍼만이 허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벌점 1점이 매겨진다. 그렇지만 꽤나 관대하다.
  • 2018년부로 초읍중학교가 다행복학교로 지정되어 2022년까지 5년간 운행된다. 화장 및 두발규제가 자율화되었다. 지나치지 않을 C컬 정도의 파마는 가능하지만 염색은 불허.
  • 개요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학교가 다른 학교들보다 해발고도가 굉장히 높은 곳에 있어서 걸어서 등교하기 매우 귀찮다. 바로 아래에 있는 초읍초등학교에서 초읍중학교로 진학한 것이라면 가파른 등굣길에 익숙할 수 있겠지만 맨땅 중 맨땅인 연지초등학교에서 진학한 경우라면 지옥문이 열린다.
  • 남녀공학이 전환된 이후 초읍초, 연지초 외에 당감초도 배정을 받았지만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양정동의 양성초등학교에서 배정을 받은 학생이 있었다고 한다.[4]
  • 고등학교 진학시 남학생은 대부분 바로 인근에 위치한 부산진고등학교를 1순위로 많이 진학한다. 그 이외엔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양정고등학교에도 많이 간다. 사실 이 두학교로 대부분 진학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일 년에 몇 명 당감동에 위치한 개성고등학교전포동에 위치한 부산동고등학교부산동성고등학교, 저 멀리 동구에 위치한 부산고등학교까지 가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는 거의 없다.[5]

[1] 2018년 1월 부산에 폭설주의보가 있었던 날.[2] 상의는 자세히 보면 경남고등학교의 하복 상의보다 더욱 파랗다(..)[3] 혁신학교이면서 교복은 시대를 역행하는 디자인에 학생들 모두가 싫어하는 디자인이라 남학생 대다수가 하복에 대해 불평불만을 느끼고 있다.[4] 2004년에 연산동에 있던 부일여자중학교사상구로 이전하면서 양정동의 남학생은 동의중학교항도중학교로 배정받아서 문제가 없었지만 여학생이 문제였고 양정초는 동평여자중학교를 양동초는 덕명여자중학교, 부산진여자중학교를, 연미초는 남학생만 가던 연제중학교를 양성초는 부산진여자중학교를 다수를 갔고 일부는 남학생소수와 같이 초연중학교와 초읍중학교를 배정받았고 2007년에 양동여자중학교가 개교되면서 원위치로 돌아갔다.[5] 이론 상으로는 동구와 부산진구는 남부교육지원청으로 동일 학군 소속이라 진학이 가능하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