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33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
4.2. 여담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번
기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연제공용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구만덕종점)
종점

첫차
04:25
기점

첫차
05:35
막차
22:05
막차
23:10
평일배차
출퇴근 4분 / 평시 5분
주말배차
6분
운수사명
한창여객
인가대수
39대[주말]
노선
연제공용차고지 - 시민도서관 - 부산진고교 - 부산시민공원 - 하마정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가야시장(가야역) - 개금삼거리 - 럭키아파트(주례역)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북부면허시험장 - 모라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2동주민센터 → 만덕1치안센터[단독]구만덕종점[단독] → 만덕초등학교 → 남산정역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7.0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한창여객의 대표 노선으로 금성교통 시절부터 운행한 역사 깊은 노선이다. 옛날에는 33-1번과 33번 좌석버스도 있었지만 모두 폐선되었다. 1990년대 이전에는 만덕성당 - 구만덕으로 다녔으나 1990년대 초반부터 편방향 신만덕을 경유하고 있다.
  • 90년대 당시에는 아시아자동차 AM927과 AM937이 주력차종이었다.[1]
  • 준공영제 이전에는 로얄미디 중형차량이 투입되어 많은 사람을 충격에 빠뜨린 적이 있었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업체에서 경영난을 겪었기 때문이다.[2] 2007년부터는 현대차량만 출고하고 있어 현재도 모두 현대차량으로 구성되어있다.[3]
  • 2016년 5월 21일 개편으로 월드컵대로에 위치한 연제공용차고지로 약간 연장되었다.
  • 만덕5지구 재개발사업으로 구만덕차고지가 철거되고 그 일대의 도로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구만덕 구간 왕복운행이 2018년 9월 30일 부로 편도운행으로 임시변경되었다. 만덕1치안센터>상학산복길>상학초등학교>만덕노인요양원>구만덕종점>만덕1치안센터 순의 단선순환회차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2월 30일중앙대로 BRT 개통으로 그동안 거제대로 방면 좌회전 문제로 연제공용차고지행은 정차하지 않았던 송상현광장 정류장을 양방향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31대, 저상버스 8대로 운행한다.
  • 한창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며 부산 시내버스 중에서 운행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4]
  • 2018년 5월 15일까지 54번, 88번과 함께 카오버스를 운행하였다.[5]
  • 이 노선은 부산 도시철도 노선과 61.7% 가량 겹친다. 즉, 왕복 29km 구간이 도시철도와 겹친다. 부전역에서 서면역까지는 1호선, 서면역에서 모라역까지는 2호선, 구포역에서 남산정역까지는 3호선과 겹친다. 실제로 2호선 1단계가 개통하면서 부산광역시가 33번을 정리하려고 하였으나 반발이 많았는지 폐선 계획은 없던 일이 되었고 변경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승객 수는 옛날보다 증가했다. 승객 수가 몇년째 탑5 안쪽이었으나 2016년 1월 이후 계속해서 전체 노선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였다. 2017년 평균 기준으로는 31번에 밀려 2위로 내려갔으나 승객 수는 2016년보다 증가했다. 그만큼 승객수가 엄청나다. 2번, 11번, 31번, 57번, 68번, 88번, 96번, 113번 등의 노선들이 감차를 당하는 동안에도 이 노선의 인가대수는 단 1대도 감차되지 않았다.
  • 거기에 노선이 160번과 거의 똑같다. 공통점은 구포시장~모라역~모덕역~서부시외버스터미널~주례역~개금삼거리, 서면롯데백화점을 똑같이 경유한다는 점이고 차이점은 160번은 구포시장 이전에는 구포3동을, 서면롯데백화점 이후에는 전포동을, 개금삼거리와 서면롯데백화점 사이에는 신개금, 당감동을 경유하는 반면 이쪽은 구포시장 이전에는 만덕을, 서면·롯데백화점이후에는 양정, 초읍을 개금삼거리와 서면롯데백화점 사이에는 가야동을 경유한다는 점이다.
  • 양정현대아파트, 화인아파트에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으로 이어주는 수요가 많으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선형이 상당히 겹치나 이렇게 수요가 많은 이유는 2호선의 불편함이 원인 중 하나인데 2호선의 가야대로 구간은 역이 상당히 깊다.[6] 하지만 90년대에 만들어진 역이라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곳은 전무(...) 그리고 2호선이 개통되기 전 33번이 지나가는 가야대로는 상습정체지역이었다. 하지만 2호선이 개통되고 가야대로가 확장되면서 이제는 잘 안막히는 도로가 되어버렸다. 때문에 역에서 지상으로 나올려면 108계단이 아닐까 싶을 정도의 계단이 있는 도시철도를 이용하느니 차라리 자주 오고 잘 밟아주는 33번을 이용하는게 나을 때가 많다.
  • 지하벙커급의 만덕역에서 빠져나온 후 만덕1동 행정복지센터 및 구만덕종점 방향의 출구로 가 보면 지대가 굉장히 급경사인데 이 급경사 도로를 33번은 엄청난 굉음을 울리며 잘만 올라간다. 구만덕 종점 인근에는 금정산 상계봉으로 올라갈 수 있는 등산로가 잘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말공휴일에는 등산객 수요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그 구간이 만덕5지구 재개발 공사 구간인데 저상버스도 잘만 올라간다.
  • 연제공용차고지 방면으로는 신만덕이 아닌 만덕1동 연선 만덕중학교, 만덕초등학교가 위치한 만덕1로를 경유하여 바로 남산정역으로 내려가며 시내버스로는 유일무이한 구간[7]이기에 만덕중학교 통학생들과 더불어 만덕1동 지역 내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다.[8]
  • 이 노선은 영어 알파벳 G자 형태를 하고 있는게 특징이다. 특히 기종점인 초읍동만덕동은 사실 직선거리로는 남북으로 3~4km밖에 안 떨어져 있다. 산을 넘어 1시간 정도면 반대편 동네에 도착할 수 있을 정도. 사람이 지나다니는 산길은 있는데 아직 두 지역을 바로 연결하는 자동차도로는 없다. 대신에 부산어린이대공원으로 가서 백양산 만남의광장까지 등산하여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쉽게 갈 수 있다. 도보로 1시간 정도 걸린다.[9]
  • 2014년 5월에 부산시민공원이 개장하여 시민공원 방문객들로 인한 수요 또한 많이 늘었다. 44번63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엄청 짧고 자주오기 때문이다.
  • 2015년 3차 개편 때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2번, 58-1번, 63번, 130번, 200번 등의 노선들이 단축되거나 폐선되는 수모를 겪었음에도 이 노선은 전혀 개편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도시철도에 전혀 개의치 않고 계속해서 높은 운송수입금과 많은 승객 수를 자랑하는 알짜노선이라서 건드릴 이유가 없는 노선이다.
  • 2017년에는 1일 평균 총 27,700여명 가량의 승객 수를 기록하며 승객수 2위 노선 자리에 머물렀다.[10] 1일 대당 승객수도 7백3십여명으로 확인되었다.[11] 다만 많은 차량대수 및 환승수요가 많아서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승객수에 비해 너무 낮은 편이다. 대당 56만원으로 133번보다도 낮다.
  • 배차간격이 출퇴근 4분/평시 5분이라고는 하지만 주로 덕천 - 만덕 구간 한정으로 어떨 때는 1~2분컷으로 버스가 오기도 하고 또는 두세대가 기차놀이를 하면서 오기도 하는 신기한 버스이다.[12]
  • 여담으로 연제공용차고지에서 서면교차로를 경유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서면역·서면지하상가 정류소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다.[13]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이 노선을 이용하여 부산어린이대공원까지 가려면 시민도서관에서 내려 오른쪽으로 약 300m 정도 걸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양정 부근에서 어린이대공원이나 그 근처까지 가려면 이 노선을 이용하지 말고 44번이나 63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33번은 연지동을 거쳐 부산시민공원 쪽으로 가서 하마정과 송상현광장을 경유하여 부전시장 찍고 서면 롯데호텔 부산 앞으로, 133번은 부산어린이대공원 교차로를 지나 연지자이아파트 찍고 부산진구청 찍고 영광도서 쪽으로 가서 서면 롯데호텔 부산에 도착한다. 그러므로 초읍/연제공용차고지에서 서면으로 빠르게 나가고 싶으면 이 노선보다는 63번, 81번, 83-1번, 103번, 133번을 타는 편이 훨씬 낫다.
  • 초읍동에서 만덕동으로 갈 경우에는 절대로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 가야대로사상로로 가는 굴곡이 있기 때문이다. 신만덕과 덕천역 쪽이 목적지라면 환승저항이 있더라도 44번, 54번, 83-1번[14]을 타고 가다가 44번은 창신초등학교(종합운동장역), 54번은 사직운동장, 83-1번은 미남역(반도스카이뷰)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시철도 3호선이나 111번으로 갈아타서 가고, 구만덕이 목적지면 신만덕에서 다시 이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걸어서 가면 된다.

4.2. 여담


2017년 9월 쯤에는 단편영화 여름, 버스에 이 노선의 차량인 5211호가 출연한 바 있다.링크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5960.71

2015년
25988.29
△ 27.58
2016년
25259.86
▽ 728.43
2017년
27798.14
△ 2728.28
2018년
23762.42
▽ 4035.72
2019년
23488.00
▽ 274.42

4.4.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상학산복길'''
만덕1동주민센터 ▼
▲ 상학산복길
'''상학로'''
만덕시장입구 ▼
▲ 만덕1동주민센터
'''만덕1로'''
남산정역 ▼
▲ 만덕1동주민센터
'''만덕대로'''
'''만덕2로'''
▲ 만덕2동주민센터
'''덕천로'''
▲ 만덕그린코아
'''만덕3로'''
▲ 이노비즈센터
'''만덕대로'''
구포시장 ▼
▲ 덕천역
'''낙동대로'''
북구청 ▼
▲ 구포삼거리
'''사상로'''
럭키아파트(주례역) ▼
▲ 주례1동주민센터
'''가야대로'''
부전시장 ▼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
양정대원칸타빌 ▼
▲ 송상현광장
'''거제대로'''
하마정 ▼
▲ 하마정
'''동평로'''
국립부산국악원 ▼
▲ 부산시민공원
'''성지로'''
초읍삼거리 ▼
▲ 초읍초등학교
'''월드컵대로'''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주말] 토요일 35대 / 공휴일 34대 운행[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1] 구구도색+대우버스표 붓글씨 사명 및 행선판 시절이었다.[2] 이 노선 외에도 23번, 57번, 61번/161번, 81번, 구 111번, 160번, 167번, 202번에도 중형차량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23번 같은 경우는 이제 정리되는가 싶더니 2013년에 다시 중형신차 3대가 들어가서 항의글이 부산시 홈페이지에 몇 건 올라간 적이 있었다.[3] 단 2007년에 대우 준저상 1대가 출고되기도 했다.[4] 2위는 36대인 15번, 3위는 35대인 31번이다. 원래 1위는 운행대수가 45대였던 68번이었다가 2015년 11월 28일168번 분리 신설로 인해 30대로 감차되었다가 4대 증차되어 34대로 운행 중이다. 그 후 이 노선과 31번이 공동 1위였으나 2017년 11월 4일 부로 31번의 인가대수가 39대에서 35대로 감차되면서 이 노선이 단독 1위가 되었다.[5] 차량번호 부산 70자 5211[6] 3호선, 4호선의 역에 비하면 얕은 편이다.[7] 마을버스로는 북구2번이 양방향 경유하고 있다.[8] 허나 만덕1로는 구만덕 차고지에서 연제공용차고지 방면 한정으로 경유하기에 등교 수요는 찾아볼 수 없으나 반대로 하교 시간대 수요는 상당히 폭발적이다. 다만 만덕1로 연선으로 오려면 북구2번에만 의존해야 하기때문에 양방향 만덕1로를 경유하도록 노선을 조정시켜달라는 민원이 계속 올라오지만 서부터미널, 구포 일대에서 신만덕으로 가는 수요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변경하지 않고 있다.(참고로 서부터미널에서 만덕으로 오는 버스 중 10분 이하로 오는 노선은 33번이 유일하다.) [9] 연계도로를 이용해 제일 빠른 길은 제2만덕터널을 지나 사직동~부산의료원이 있는 초읍고개로 넘어가는 것. 하지만 제3만덕터널(초읍터널)의 건설이 확정되어 덕천주공아파트 - 초읍동으로 도로가 날 예정이다. 허나 2022년도에 완공 예정이다.[10] 1위는 31번이며 1일 평균 약 3만명이었다.[11]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33번 264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12] 이러한 기차놀이 현상은 이 노선 뿐 아니라 만덕을 거치는 몇몇 버스들도 겪는 현상이다. [13] 133번연제공용차고지방향 한정으로 경유하고 10번은 부경대방향 한정으로 경유한다.[14] 44번과 54번&83-1번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르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