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높임법

 

1. 현대 한국어의 높임법
2. 중세 한국어의 높임법
3. 한국어 방언의 높임법
4. 둘러보기
5. 관련 문서


1. 현대 한국어의 높임법


한국어는 1인칭 대명사에 높임법이 존재하는 몇 안 되는 언어로[1], 청자가 자기보다 높은 사람일 때 자신을 낮추기 위한 대명사 '저'와 '저희'가 따로 존재한다.
원래 이런 식으로 '자신을 낮추는' 높임법도 위에 있는 세 가지 높임법 중 하나로 분류된다.
현재 높임법의 중요도
  • 1순위 상대 높임법: 반말(평어/일방하대), 존댓말(존중어/일방존대)로 대표되는 상대 높임법의 중요도가 가장 높다.
  • 2순위 주체 높임법: 주체를 드높게 가리키거나 주체의 행동을 드높이는 주체 높임법의 중요도가 그 다음으로 높다.
  • 3순위 객체 높임법: 인물을 높일 때 사용하는 동사(상대방:모시다, 뵙다)(사물: 드리다, 여쭙다)들이 별로 존재하지 않아서 중요도가 떨어진다. 또한 가끔은 그 용법을 무시하는 경우도 생긴다.
그 외의 높임법 분류
  • 어휘적 높임법: 명사나 동사를 인물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밥 → 진지, 얼굴 → 용안), (주다 → 드리다, 보다 → 뵙다, 있다 → 계시다)
  • 형태론적 높임법: 서술어(동사)에 선어말어미 '-시-'를 붙이거나 주격조사 '가'를 '께서'로 바꿔서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이다 → 이시다, 가다 → 가시다, 학부모가 → 학부모님께서)

  • 상대 높임법 (1순위)
주인공 → 상대방
기능
문장
주인공 → 부하직원[2]
일방하대
"자네, 나랑 잠깐 얘기 좀 하지."
주인공 → 친구
평어
"나 지금 밥 먹고 있어, 조금만 기다려."
주인공 → 직속상사
일방존대
"예, 저[3]는 지금 밥 먹고 있습니다, 바로 가겠습니다."
상대 높임법은 문장의 끝(서술어 부분)에 어말어미(~요, ~니다) 등을 덧붙여서(영어에서 yes, sir! I'd like to show you an example, sir!의 sir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 상대방 청자에게 '내가 지금 당신을 상급자로 높여 대화하고 있는 상태'라고 알려주는 높임법이다.
[image]
  • 주체 높임법 (2순위)
손아랫사람, 동등 관계
"그가 자고 있다"
손윗 사람
"선생님께서 주무시고 계시다"
주체 높임법은 '주어'와 관련된 주어 조사를 바꾸고(길동씨가→길동씨'''께서''', 그 사람이→그 분'''께서''' 등), 서술어에는 '시' 선어말 어미를 덧붙여 ('갔다→가+시+었다') 등으로 주어와 관련되어 조사와 서술어 등을 변형하는 어법이다.
일부 명사의 어휘적 높임법과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밥 → 식사 → 진지' 등을 사용하여 '할아버지께서 진지를 드시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image]
  • 객체 높임법 (3순위)
객체 높임법은 특수 동사(계시다, 드리다, 여쭙다, 모시다 등)으로 '''객체(목적어,부사어)와 관련된 자신의 행위를 표현하면서 이미 높임의 의미가 들어간 특수 동사''' 사물의 경우에는 사물을 다루는 행위를 높여(선물을 줬다→선물을 '드렸다') 표현하거나 인물인 경우 객체 자체(스승님을 '모시다')를 다루는 행위를 높이는 높임법이다. 객체가 인물인 경우 부사어 조사를 보통 높인다(그 분께 선물을 드린다.)
일부 명사의 어휘적 높임법과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밥 → 식사 → 진지' 등을 사용하여 '그 분께 진지 상을 차리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사물인 경우
인물(간접대상)
사물(직접대상) + 행위
선생님께
"선물을 + 드리다",
아버지께
"(궁금한 것을) + 여쭙다."
[image]
  • 인물인 경우
인물(직접대상) + 행위
"스승님을 + 모시다"
"서방님을 + 뵙다"
[image]
  • 현대 한국어의 주체 높임법
화자가, 자신이 언급하는 사람과 대등한 위치가 아닐 때 자신이 언급하는 사람(혹은 그의 행동)을 직접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한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 경우. 중세 시대에는 '-사-' 선어말 어미도 있었는데, 이것의 흔적이 사옵나이까와 가라사대.[4]

아버지가 오늘 편찮으'''시'''다. 엄마가 시장에 다녀오셨('''시'''었)다. 할아버지가 말씀하신('''시'''ㄴ)다.

유명한 농담으로 '잘 모르겠으면 무조건 '시'를 붙여라'라는 게 있다. 하지만 그대로 시전했다간... '''시아버님 대갈님에 파리님이 앉으셨어요'''. 백괴사전의 존댓말 문서가 이를 비꼰 언어유희다. 사실 이런 '-시-'의 과다 사용(특히 '''서비스업'''에서)은 문법에도 맞지 않기 때문에[5], 국립국어원의 <표준 언어 예절>에서는 이를 지양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 현대 한국어의 상대 높임법, 상대 낮춤법
한국어에서 흔히 높임법이라고 하면 이 상대 높임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반말(평어, 일방하대)이니 존댓말(존중어, 일방존대)이니 하는 경우도 사실은 이것의 사용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격식체
비격식체
존댓말
아주높임
합쇼체[6]
두루높임
해요체
예사높임
하오체[쇠퇴중]
반말
예사낮춤
하게체[쇠퇴중]
두루낮춤
해체#s-2
아주낮춤
해라체[7]
현대 한국에서 사용되는 존댓말은 크게 '합쇼체', '해요체'로 나뉜다.[8]
합쇼체는 종결 어미에서 '-(스)ㅂ니다'(평서형), '-(으)십시오'(명령형), '-(으)시지요'(청유형), '-(스)ㅂ니까?'(의문형)를 사용한다. 간혹 하오체에 속하는 '-(으)ㅂ디다', '-(으)ㅂ시다'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어체나 안내방송, 여러 사람 앞에서 하는 발표나 군대에서 많이 쓰이는 문체. [9] 반대로 대화할 때는 합쇼체로만 이야기하면 상당히 어색하다.[10]
한국어에선 종결 어미로 높임법을 표현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높임법에 쓰이는 종결 어미로 높임법의 이름을 붙인다.
일단 현재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는 높임법은 위의 표에서 보듯 6가지...인데 현재로는 격식체와 비격식체에서 각각 맨 위와 아래에 있는 것들을 제외한 높임법은 사라져 가는 추세다. 현대 한국어에서 하오체나 하게체는 이제 50대를 넘어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나 드물게 발견되는 어투가 되어 가고 있다. 일상적으로는 사극이나 영화,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대화나 문어체에서만 볼 수 있는 정도. 그런데 이상하게 게임, 소설 등에서 등장인물의 대사로는 21세기의 작품에서도 하오체와 하게체가 압도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해체와 해라체는 용법이 아직은 다르다. 해체는 일반적인 상대에게 쓰는 기본 문형이고, 해라체는 확실하게 자기보다 낮은 사람일 경우에 쓸 수 있는 문형이다. 해체는 권유형으로도 쓰일 수 있지만, 해라체는 권유형보다는 '''명령형'''에 가까운 어법이다. 자기보다 나이 많은 사람이거나 상급자에게는 절대 해라체를 쓸 수 없다.[11] 다만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일부 가정에서는 더 나이 많은 가까운 가족한테 쓸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준어인 해체가 어색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무례하게 느껴진다.
참고로 말하면 사극에서 나오는 높임법의 오메가 하소서체는 이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공손법'이라는 별개의 문법 사항을 적용한 것으로 분류한다. 공손 선어말 어미 -옵- 이라는 형태소를 쓴다나.
높임의 정도는 하소서체>>합쇼체*>해요체*>하오체>하게체>해체*>해라체*, 순이라고 보면 된다.
  • 문어체 종결 어미
    • ~다: 평서형, 감탄형, 명령형('하지 않는다. 똑바로 앉습니다' 등)
    • ~가(~까): 의문형
    • ~라: 명령형
    • ~자: 청유형
  • 구어체 종결 어미
    • ~어(힘들어,있어, 먹어, 때려(때리+어) 등):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12]
    • ~아(~지 않아, ~하지):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호격조사: 길동아)
    • (반)~야(그런 거야 등): 평서형, 의문형, (호격조사: 철수야)
    • ~지(하고 있지 등)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 ~가(~고,~까) 의문형
    • (반)~니(~냐, ~나): 의문형
    • ~네(넓네): 평서형, 감탄형
    • ~군(밥 먹고 있군): 평서형, 감탄형
    • (반)~구나(밥 먹고 있구나): 감탄형
    • ~ㄹ래: 펑서형, 의문형
    • (반)~자: 청유형[13]
    • (반)~라: 명령형(웃겨라!), 감탄형(맛있어라!)
    • (존)~ㅂ시다: 청유형(갑시다)
    • ~오: 명령형(가시오, 멈추시오, 하지 마십시오)
특히 시험에서 격식체, 비격식체 구분 문제로 수험생들을 괴롭히고 있다( ) 그래서 편법(?)으로 구분하는 행태가 늘어나고 있다.
  • 저녁식사는 했어? ( 했어요? 가능→ 비격식체 낮춤)
  • 밥 먹어야 한다고 하지 않았니? (않았니요? 불가능→격식체 낮춤)

* 현대 한국어의 객체 높임법
화자와 청자 자신이 아니라 화자 혹은 청자에 관련된 제3의 사물에 관련된 높임법. 존대용으로 따로 존재하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여 실현한다. 즉, '존칭 형태소' 등을 끼워서 기존의 반말 어휘를 존댓말로 변화시키는 게 아니라, 아예 반말 어휘와는 '''독립된 존댓말 어휘가 존재'''한다. 낱말 자체가 즉 높임법인 경우다. 언어마다 고유의 문법 영역에는 그 영역의 예외 현상이 있기 마련인데, 이것도 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인도유럽어족의 비슷한 예를 들자면, 복수형이 단수형과 형태상 무관하게 쓰인다거나 하는 예이다.
'주다' - '드리다' 등에서 언급되는 높임법이 이것. 말했듯 반말 어휘와 존댓말 어휘 사이에는 아무런 문법적 연관성이 없고 (당장 '밥'과 '먹다'의 객체 높임법 어휘를 찾아보자. 존대 여부뿐만이 아니라 그 어휘가 쓰이는 상황에 따라서도 단어가 수없이 나뉜다) 시대가 지나면서 점차 과거에 비해 약화된 가정교육 때문인지 요즘 청년들 시대에선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경우가 보인다. 이런 식으로 가다간 객체 높임법 역시 사라지거나 단순히 화자의 취향 문제로 바뀔 수도 있을 듯.
하지만 특수 어휘를 사용한다고 무조건 객체 높임법이란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잡수시다'나 '계시다' 등의 동사는 높임을 받는 대상을 직접 언급하는 동사이므로 주체 높임법으로 분류된다. 위에서 언급한 '드리다'는 높임을 받는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에게 주어지는 물건을 가리키는 경우이므로 객체 높임법인 것.
특이한 단어로 '말씀'이란 단어가 있는데, 이 단어는 '''자신의 말을 낮추는 데도 사용되고 상대의 말을 높이는 데도 사용된다'''. '''평가원 모의 기출문제'''이므로 수험생들은 알아두도록 하자.
높여야 할 대상이지만 듣는 이가 더 높을 때 주체높임법에서의 특정 인물의 존대를 없애는 어법. ‘할아버지, 아버지가 아직 안 왔습니다.’라고 하는 것 따위이다. 일반적인 경우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고, 현재는 군대나 상하관계가 엄격한 곳에서만 사용하는 어법이다. 군대에서는 압존법 문화가 거의 원칙적으로 지켜지고 있고 일부 회사(특히 국방부, 병무청, 군무원 등 군대직 공무원 직렬에서는)에서도 압존법을 지키려고 하는 편이다. 다만, 일부 사람들은 이 압존법이 일본어의 영향으로 생긴 현상인 것으로 보고 있어 거부감을 가지기도 하고, 또한 한국어의 정서상 이것이 부자연스럽다고 보고 있어서 가까운 미래에는 거의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14]
압존법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는 군대에서도 압존법을 없애려고 하고 있다. 국방부, 새 병영언어 생활지침 하달…압존법 관행도 개선 신문 기사에 따르면 다나까를 무조건 쓰지 않아도 되고, 압존법 관행을 없애 나간다고 한다.

1.1. 압존법




2. 중세 한국어의 높임법


현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주체, 객체, 상대 높임법이 존재했다. 또한 특수 어휘[15]에 의한 높임법도 존재했다.
  • 중세 한국어의 주체 높임법
현대 한국어와 유사하게 선어말어미 '-시-'[16]를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이 형태는 모음어미 앞에서 이형태 '-샤-'[17]로 교체되기도 한다. 또한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아래에서 매개모음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겨시다(→계시다)'나 '좌시다(→자시다)'와 같은 특수 어휘를 통해 실현되기도 한다.
  • 중세 한국어의 객체 높임법
[image]
대개 'ᄉᆞᆸ'을 대표로 하는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들[18]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대개의 경우에는 목적어 명사가 주어명사보다 화자에게 높다고 인식될 때 쓰였다. 중세국어에서는 주체높임선어말 어미와 객체높임선어말 어미가 함께 쓰인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땐 대개 객체 - 주체의 순서로 쓰일 때가 많다.
받다 → 받잡다[19]
듣다 → 듣잡다
묻다(질문하다) → 묻잡다
좇다(따르다) → 좇잡다
고을 사또의 명을 받잡다.
어머님의 말씀을 듣잡다.
스승의 뜻을 좇잡나이다.
어머니께 묻자오니
출처
'드리다, 뫼시다(모시다), 뵈다'와 같은 특수 어휘에 객체높임선어말어미를 결합하여 객체높임의 의미를 확실하게 하기도 한다.
  • 중세 한국어의 상대 높임법, 상대 낮춤법
ᄒᆞ쇼셔체>ᄒᆞ야쎠체>ᄒᆞ라체의 3등분과 그 외 반말로 나뉜다.
[image]
  • ᄒᆞ쇼셔체 - 상대방을 매우 높이는 말체. "ᄒᆞᄂᆞ이다, ᄒᆞᄂᆞ니잇가"식으로, 평서형의 경우 선어말 어미 -이-, 의문형의 경우 -잇-에 기대어 표현한다.
[image]
  • ᄒᆞ야쎠체 - 상대방을 크게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말체. "ᄒᆞ뇌ᇰ다/ᄒᆞ나니ᇰ다, ᄒᆞ뇟가/ᄒᆞ나닛가"식으로, 평서형은 선어말 어미 -ㆁ-, 의문형은 -ㅅ-에 기대어 표현한다.
[image]
  • ᄒᆞ라체 - 상대방을 동등하게 보거나 아주 낮추는 말체. "ᄒᆞ다/ᄒᆞ니라, ᄒᆞᆫ가" 등이 있다.
[image]

3. 한국어 방언의 높임법



한국어의 모든 방언은 필연적으로 고유한 상대 높임법을 가지고 있다. 각 어체는 화자와 청자의 나이, 위치에 따라 어법에 맞게 사용한다.
현대에 들어 표준어가 격식체로 자리매김하고 강력한 표준어 보급 정책 시행과 사투리에 대한 부정적 시선 등의 이유로 사투리를 자연스럽게 버리고 있다. 보통 젊은이들은 자신의 지역에 어떤 어체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사투리에 대한 편견이 개선되지 않는 한 한국의 고유한 사투리 문화는 머지 않아 모두 절멸할 것으로 본다.
물론 언어는 계속 변화하기에 새로운 사투리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표준어와 특징을 구분지을만한 사투리가 나타날 확률은 극히 적을 것이다.

4. 둘러보기




5. 관련 문서



[1] 일본어는 1인칭 대명사에 높임법이 훨씬 더 다양하게 존재한다. 성별에 따른 1인칭 대명사도 따로 있다. 그 외 인도유럽어 계열 언어 중 존댓말이 있는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은 2인칭 대명사에 존칭 대명사와 존댓말 시제가 따로 있는 정도이며 그나마 가까움과 멂에 의한 구분에 더 가깝고, 높임법의 종류도 딱 두 가지다.[2] ex) 교수->제자[3] 겸양어[4] '가르다'가 중세 국어에서 '말하다' 라는 뜻이었다. '가로되'와 '가르치다' 라는 단어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가르치다'라는 단어는 말로('가르-') 기른다('치다'. 양치기 생각하시면 되겠다)는 뜻. 가르 + ㅏ + 사 + 대 의 형태소이다. 맨 뒤의 '대'는 '~~하되'의 '되'와 어원이 같다.[5] 대표적인 예로 '3만원 되시겠습니다'와 같은 사물존칭이다. 물론 서비스업 종사자들도 이게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표현인지는 다들 알고 있다. 하지만 올바르게 '3만원 나왔습니다'로 말할 경우 버릇없다고 개진상을 피우는 무식한 손놈새끼들 때문에 정말 '''어쩔수 없이''' 쓰는 경우도 상당하다. 장사하는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피곤할 일은 최소화해야 하니 어쩔 수 없는 일.[6] '''하십시오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학교문법을 기준으로 해서 7차교육과정 학교문법부터는 합쇼체가 하십시오체로 바뀌었다.[쇠퇴중] A B 현대 한국어에서는 그 쓰임이 줄어들고 있다.[7] 실제 일상생활에서는 '해체'에서 명령형 종결어미인 '-라'만 붙인 채로 활용되는 것이 거의 전부다. 그 외에는 '너 자신을 알라(너 자신을 알아야 한다)', '무엇이 되든 알아야 하노라(무엇이 되든 알아야 한다)'같은 격언이나 속담 등 옛 느낌이 물씬 풍기는 문장에 사용된다.[8] 아래 표에 정리가 되어 있지만, 이들의 차이는 아주높임, 두루높임의 차이다.[9] 통칭 다나까체라고 해서 말끝을 무조건 '~니다.' '~니까?' '~해라' 식으로 끝낼 것을 요구하며 , '-(으)십시오'는 대체적으로 후임보다 나이가 어린 상관이 아니면 배제된다. 다만 '~니까?'가 따지는 느낌을 주기도 하므로 군대 이외의 장소에서는 의문을 나타낼 때 '~시는지요?'나 해요체로 바꾸어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10] 미녀들의 수다의 브로닌이 구사하는 합쇼체를 들으면 실감할 수 있다.[11] 해체는 상호합의에 따라 쓸 수도 있다.[12] '매워', '추워' 등의 형태는 '맵+어', '춥+어'에서 'ㅂ'이 w 반모음화되고 어미와 축약된 것이다(여린 비읍 , 한국어/불규칙 활용 참고). 사투리에서는 '맵아', '춥어'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13] 북한에서는 '가자요', '먹자요' 처럼 존댓말에서도 청유형 '~자'를 붙인다. 한국에서는 '가요', 먹어요'요 표현한다. 여기에서 동사 '가다부르다' 등의 소수의 동사들은 명령형일 때도 종결어미 '어아'등이 붙지 않아 '가''불러' 등의 특이한 형태를 가진다.[14] 조선시대 궁중에서도 압존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상급자 앞에서 다른 상급자를 지칭할 때는 지위고하에 관계없이 무조건 "~님"을 붙였다.[15] 체언, 조사, 접사, 동사 등이 있다.[16] 다만 연결어미 '-니'앞에서 실현되는 '-시-'나 고려가요 일부에서 사용된 '-시-'는 높임의 기능이 없다.[17]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나르샤가 용비어천가 1장에 사용된 이형태를 그대로 가져온 예명이다.[18] ᄉᆞᆸ, ᄌᆞᆸ, ᅀᆞᆸ, ᄉᆞᇦ, ᅀᆞᇦ, ᄌᆞᇦ : 이들을 한 음절로 모으면 된다.[19] 보통 '받들다'라는 단어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