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게체

 



1. 개요
2. 상세
3. 관련 인물 목록


1. 개요


하게체는 한국어의 높임법(말투) 중 하나로, 보통으로 낮추면서 약간 대우하여 주는 종결형이다. 같은 연배의 친숙한 사이나 나이가 든 어르신께서 마찬가지로 나이 든 손아랫사람에게 주로 사용하는 말투이다.
근현대 소설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어머니가 사위나 장성한 아들에게 쓰던 그 말투가 바로 하게체이다. 이처럼 상대가 손아랫사람이어도 장성한 경우에는 그를 존중하는 의미에서 해라체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하게체를 쓰기도 한다.
의문형 : -나?, -는가?
평서형 : -네
청유형 : -세
명령형 : -게

2. 상세


상대를 높이면서 자신을 낮추지 않는 하오체와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다만 하오체는 존대에 속하나 하게체는 하대에 주로 들어간다. 양 쪽 모두 사장되어 가는 추세라 현대의 대한민국 사람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혹 시대극이나 소설을 쓰는 사람은 상기해볼 만하다 . 하게체는 사극과 소설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상술하였듯 하게체는 사실상 사장되는 중이라 나이 지긋한 교수분들 같은 어르신들 외에는 쓰는 이들이 많지 않다. 현대에는 만약 평소에 하게체를 쓴다면 젊은 사람이 노인 흉내를 내는 걸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하오체에 비한다면 아직 우리 일상에서 훨씬 많이 들을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이 말투는 권위를 드러내면서도 격식을 차리는 좋은 말투이기도 하다.
현대에도 경상도 일부 지역의 친지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쓰이고 있다. 앞서 근대 소설에서 든 예와 비슷하게 장모가 사위에게, 숙부가 자식을 둔 장성한 조카에게, 매형이 처남에게[1] 말할 때 쓰이는 경향이 있다. 막역하나 격식없이 대할 사이는 아니라 하게체를 쓰는 것이다.
외국 시나, 외국 희곡의 독백을 번역하다 보면 하게체 평서문 어미 '-네'(하네)를 쓸 때가 있다. 그런데 감탄문은 해체인 '-군'(하는군, 하더군)을, 서술격 조사가 붙은 평서문은 해라체인 '-다'(이다, 이어라)를 섞어 이도저도 아닌 번역체가 되기 쉬우니 번역자라면 주의해야 한다.
낮춤말이지만 명령문 어미에 -시-를 넣거나, 특수한 단어를 사용하여 더 정중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레드벨벳의 아이린과 웬디가 레벨업 프로젝트2라는 예능에서 게임을 했는데 여기서 아이린이 "입을 여시게"라고 표현한 부분이 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하게체인 '주무시게', '드시게' 등은 자연스럽지만 해라체인 '입을 여셔라', '주무셔라', '드셔라' 등등은 어색하다.
영웅은 공부 따원 안 한다네 역시 하게체의 일종이다.
또한 유머 게시판에서도 (고양이와 연관을 지어 "~할거''''''?"이라는 제목과 더불어) 멍멍이와 연관을 지어서 "~하시''''''"라는 언어유희가 담긴 제목도 볼 수가 있다.
어미 하나로는 '-ㅁ세'도 있다. 이를 '약속형'이라고 따로 정하는 사람도 있다.

3. 관련 인물 목록


[1] 요즘은 처남이 어리다면 그냥 반말투를 쓰는 것이 예시지만 원래 예법대로라면 아무리 어려도 처남에게는 그 집안의 대를 이을 사람이니 함부로 하대하면 안 된다.[2] 원판 한정이고, 더빙판에서는 평범한 말투에 뒤에 뿌띠만 붙인다.[3] 실제로는 김영태가 김두한보다 어렸다고 한다.[4] 비공식 한글번역판 기준. 영어 원문으로도 상당히 정중한 표현을 고수한다.[5] 대개 해체와 섞어서 쓴다.


분류